한 공직선거법제200조제2항단서 중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 당선인이 제264조(당선인의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의 규정에 의하여 당선이 무효로 된 때’ 부분(이하 ‘심판대상 ... 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공직선거법을 개정한다면 합헌일지 위헌일지를 대의제 원리와 책임정치 원리에 따라 알아보고자 한다.2. 본론1) 대의제 원리대의제라는 주권자인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표 ... 통치의기본구조국회의원을 3번까지만 연임할 수 있고 4선 연임은 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내용으로 공직선거법을 개정한다면 합헌일지 위헌일지를 (1) 대의제 원리 (2) 책임정치 원리
. 공직선거법 제200조 제2항 단서위헌확인4. 2007헌바132 . 구 하천법 부칙 제2조 제2항 등 위헌소원1. 2009헌가6 . 의료법 제91조 제2항위헌제청Ⅰ. 사건 ... 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장되게 표현하자면 결국엔 학생들의 행복추구의 자유까지 빼앗길 수도 있다고 본다.3. 2009헌마350 . 공직선거법 제200조 제2항 단서위헌확인Ⅰ ... 는 공직선거법제200조 제1항으로 인해 당선이 무효가 되면 나머지 비례대표국회의원의 자리를 승계하지 못하게 되어 자신들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하기 때문이다.Ⅱ. 주문공직선거법제200조
에 따라 형사소송법도 피의자신문에 있어서 자백을 얻기 위한 고문 또는 기타 강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피의자신문 이전에 진술거부권을 고지하도록 하고 있다(제200조제2항). 뿐만 아니 ... 을 권리이다. 이는 구속 여부를 떠나 모든 피의자?피고인에게 인정되어야 함은 법치국가원리, 적법절차원칙에 비추어 당연하다.② 헌법 제12조 제4항은 본문과 단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헌법 ... 제12조 제4항 단서는,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에 관하여는 (구속 여부를 불문하고) 피고인에게만 이를 보장하고 있으므로, 그 본문인 (사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은 권리
단서 제 1,3호의 위헌여부, 즉 명확성의 원칙 위반 여부에서 공선법 제 58조 제 1항 단서 제 3호 “정당의 후보자 추천에 관한 단순한지지 반대의 의견개진 및 의사표시“의 이해 ... 들이 벌인 낙천낙선운동은 선거법 제58조와 제59조, 그리고 제 87조 등을 위반한 혐의에 의해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총선연대는 헌법재판소에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 관해 ... ②누구든지 자유롭게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법 또는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금지 또는 제한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2) 제59조(선거운동기간)제59조
다. 오법과 법률에 정한 임기개시 까지는 의원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행사할 수 없는 까닭에 임기개시설이 타당하다.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4조 제2항은 국회의원의 임기는 총선 후 ... 하못하게 하면서도 금지되는 겸직의 구체적 범위는 법률로써 정하도록 하고 있다. 국회법 제29조 지방공무원법 제2조와 규정된 국가 및 지방공무원, 대통령 헌법재판소 재판관 각급 선거 ... 를 가지는가에 관하여 국회의원을 국민의 대표로 본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그 대표의 성격에 관해서는 정치적 대표설과 법적 대표설이 갈리고 있다. 생각건대. 헌법 제1조 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