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레사랑성서사랑김교신선생- 서정민 지음 >김교신선생은 일본이 우리 나라의 주권을 빼앗아 통치하던 수난의 시절에 일선 고등학교의 평교사로서 암흑기의 청년들에게 민족 혼 ... 를 지닌 사람만이 성례전을 거행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김교신선생의 무교회주의 기독교는 오직 성서를 통한 순수한 기독교 신앙 그리고 신과의 직접적인 교류와 연결 ... 하고 이해하며 감싸는 삶을 사는 곳이었다. 교회라는 곳은 나에게 있어서도 제도적인 교회 존재 의미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하는 직접적인 배경으로 작용했다. 김교신선생은 제자들을 향해 가슴속에서 뜨거운 사랑이 샘솟으면서도 겉으로는 엄격한 교훈으로 가르쳤던 휼륭한 선생님이셨다.
처럼 그는 “우리가 10년에 걸쳐서 선생에게 배운 것은 무교회주의가 아니고 성서요, 복음이었다.” 라고 말하고 있다.2-5. 성서조선 (1927-1942)1)의 창간배경김교신이 동경 ... 과 우치무라와의 만남 (1920-1927)2-4. 조선성서연구회2-5. 성서조선 (1927-1942)2-6. 교직생활 (1927-1941)2-7. 민족 복음화에 바친 생애3. 김교신 ... 유명한 카알라일은 말한 바 있다. 근대 한국의 정신사에 길이 남을 선각 중에서 1901년에 태어나 1945년까지 44세의 일기로 그리 길지 않은 생을 살면서 김교신선생처럼 평생
, 해방 후의 정치, 사회운동으로서의 국민운동은 오늘의 시점에서 재평가되고 비판받아야 할 많은 부분을 남겨 놓고 있다.* 김교신 - 조선을 성서 위에, 성서를 조선 위에김교신은 그렇 ... 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 후 세례를 받고 한글성서번역에 종사했으며 차차 조국을 향한 복음전도의 사명을 깨달았다. 또한 서상륜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사명과 역할은 권서 ... 과 떠돌이 같은, 이름도 다 전해지지 않는 무관의 전도자들에 의해 가꾸어졌다.성서번역, 교열자, 전도자, 권서인으로 규정되는 서상륜의 삶의 매 구비에서 한 시대의 민족과 교회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