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수사권체제는 검사에게 절대적이고 막강한 권한이 부여된 절대적 검사주재형이다. 이는 정부수립 초기의 국가적 혼란상황을 시급히 수습하여 법질서를 확립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 ... 었다. 즉, 형사소송법 제196조 2항에 경찰에 수사개시․진행권을 부여한 것이다. 그러나 동조 3항에 경찰의 모든 수사에 대한 검사의 수사지휘권을 부여하고, 지휘의 범위에 관한 대통령령 ... 의 절대적 검사주재형 수사권 체제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므로 연구자는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리에 부합하면서 급격한 혼란을 방지하고 우리나라의 현 실정
계 국가의 수사체제3. 일본의 수사체제Ⅳ. 현행 수사체제의 문제점 ---------------------------- 141. 검사주재형 수사구조로 인한 문제2. 인권보호의 문제Ⅴ ... 으로는 수통제하고 있는 모순을 한꺼번에 일소하는 것이다.(2) 검찰에의 사건송치의무사법경찰관은 모든 사건을 수사종결시 관할 검사장 또는 지청장에게 송치하여야 하며(사법경찰관리집무규칙 제 ... 의 송치 후에 당해 사건에 속하는 피의자의 여죄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즉시 주임검사에게 보고하여 그 지휘를 받아야 한다(동규칙 동조 제2항). 이 법규들로부터 사법경찰관은 “혐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