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예로 들었다. 이 발사체는 실패 원인 분석 최종 보고서가 나오기까기 5개월여가 걸렸고, 오류 수정에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A 교수는 “나로호는 페어링 불완전 분리에 대한 ... 있다면 일어날 재해를 정확히 알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단지 재해의 크기와 확률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실패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하고 사건 결과 ... 이기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건 결과 예상도에 처음 고장들 전부를 가지고 있다고 결코 확신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위험성의 확률을 높이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