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다가올 미국 대선 등 10년 전과 비교하면 상상도 없는 상황들이 한반도를 둘러쌓고 있으며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하기에는 여전히 어렵다. 강성학저 새우와 고래싸움은 현실주의 이론을 기반 ... 이 존재하는 동북아 지역의 다극화 및 새로운 경쟁체제가 발현됨에 따라 이 지역 안보균형자 또는 조정자로서 한미동맹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역내 패권추구는 이 ...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중국의 부상이 남한에게는 대미편승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본다. 스테판 왈트에 따르면 ‘아시아의 동반자들이 계속 중국에 대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