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음운이나 음운 연쇄를 포함한 전체 형태소들에 대한 발음이 둘 이상 공존하는 현상을 말한다. 본고는 발화 산출 과정 중, 隨意的 音韻 交替에 의한 변이를 交替 支配 變異 ... 로, 基底形의 隨意的 選擇에 의한 변이를 基底形 支配 變異로 분류한다. 교체 지배 변이의 要因은 새로운 交替의 添加와 이것의 漸進的인 必須化에 있으며, 새로운 교체의 첨가는 해당 지역어
化 鼻音化 및 流音化로 나뉘게 된다.邊子音化란 齒音 및 硬口蓋音의 邊子音 즉 脣音 硬口蓋音에 의하여 邊子音 으로 同化되는 規則인데, ) 오직 逆行同化만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隨意的인 ... 여 軟口蓋音化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이 경우도 隨意的인 것으로 다음의 형태에서 볼 수 있다.2.a 밥+까지 →박까지(~바까지)입+거라 →입꺼라 →익꺼라(~이꺼라)갑+고서 →갑 ... → K의 交替는 가능하여도 *K → P 와 같은 반대방향의 역행동화가 실현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위의 後舌邊子音化規則은 비가역적인 것이다.形態素境界에서 介在子音이 없이 流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