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0)
  • 리포트(10)

연관검색어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草部본초강목이시진" 검색결과 1-10 / 10건

  • 명나라 이시진본초강목 草部第十二卷 감초 석명 집해 기미 주치 초 주치 두 주치 부방
    草部第十二卷草之一초의 첫째山草類三十一種산초류 31종류甘草감초(《本經》上品)본초경 상품이다.【釋名】이름풀이蜜)甘(《別錄》)、蜜草(《別錄》)、美草(《別錄》)、?)草(《別錄》)、靈通 ... 에서는 또 국로라고 한다.弘景曰?此草最爲衆藥之主,經方少有不用者,猶如香中有?香也。도홍경이 말하길 이 감초는 가장 모든 약의 주인이니 경방에 조금도 사용되지 않음이 마치 향 속에 침향이 있 ... 음과 같다.國老?帝師之稱, 雖非君而爲君所宗,是以能安和草石而解諸毒也。국로는 황제 스승의 칭호이니 비록 임금이 아니나 임금의 마루가 되니 그래서 편안히 풀과 돌을 조화롭게 하고 여러 독
    리포트 | 1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1.02
  • 草部第十二卷 황기 석명 집해 수치 근 기미 주치 발명 부방 황기경엽주치
    草部第十二卷 草之一초부 제 12권 1 초黃耆황기(《本經》上品)신농본초경 상품이다.【釋名】이름풀이黃?(《綱目》)、戴?(《本經》)、戴?(《別錄》,又名獨?)、?)草(《別錄》, 又名蜀脂 ... )、百本(《別錄》)、王孫(《藥性論》)。본초강목에는 황기, 본경에는 대삼, 명의별록에서는 대심이라 하고 또한 독심이라고도 명명했다. 명의 별록에서는 기초라고 하고 또한 독지라고 명명 ... 했다. 명의별록에서는 백본이라고 하고 약성론에는 왕손이라고 했다.(時珍曰?耆,長也。黃耆色黃,爲補藥之長,故名。今俗通作黃?。)이시진이 말하길 기는 어른이다. 황기는 황색이고 보약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1.05
  • 본초강목 목부 근백피根白皮 목피 별명 부방 삼나무 석명 집해 삼재 피 엽 자 단질목피
    일부에 나타난다.艾納애납見草部苔類桑花下。초부 이끼류 뽕나무꽃 아래 나타난다.松?소나무버섯見菜部香?下。채소부분 향담아래에 나타난다.杉)삼나무(《別錄》下品)명의별록 하품【釋名】이름풀이 ... ?)(音杉)、沙木 (綱目). ?)木(音敬)점의 발음은 삼이며 사목이다. 본초강목, 경목 발음은 경이다.【集解】집해頌曰?杉材舊不著所出州土,今南中深山多有之。木類松而勁)直,葉附枝生,若 ... 를 더한다. 대명본초木皮목피【別名】별명赤龍皮。소나무 껍질을 적룡피라고 한다.【主治】주치癰疽瘡口不合,生肌止血,治白禿、杖瘡、湯火瘡(時珍)。송목피의 주치는 옹저로 창구가 유합되지 않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11.07
  • 이시진 본초강목 木部第三十四卷목부 34권 목록 백잣나무
    , 포, 잡이라고 부른다.舊本木部三品,共二百六十三種。오래된 판본에 목부는 3품이니 모두 263종류가 된다.今?)入二十五種,移一十四種入草部,二十九種入蔓草,三十一種入果部,三種入菜部 ... 에 들어가며 2종류는 충부에 들어간다.自草部移入二種,外類有名未用移入十一種。초부에서부터 2종류가 옮겨 들어와서 외부에 이름이 아직 11종류가 옮겨서 사용되지 못했다.《神農本草經》四十四 ... 1종 송나라때 사람 대명《證類本草》一種(宋 唐?微)증류본초 1종 송나라 당신미《本草補遺》一種 (元 朱震亨)본초보유 1종 원나라 주진형《本草綱目》二十一種 (明 李時珍)본초강목 21종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05.07
  • 본초강목 水之一 露水이슬 감로 감로밀 동상 겨울서리
    水部第五卷 水之一 露水수부 제 5권 물의 첫째 이슬물(《拾遺》)본초습유【釋名】이름해석時珍曰?露者,陰氣之液也,夜氣著物而潤澤於道旁也。이시진이 말하길 이슬은 음기의 액이다. 야간의 기 ... 》)본초습유【釋名】이름 해석膏露(《綱目》)、瑞露(《綱目》)、天酒(《綱目》)、神漿。본초강목에서는 고로, 본초강목에서는 서로, 본초강목에서는 천주, 신장이라고 한다.(時珍曰?按《瑞應圖》云 ... 하고 굶주리지 않고 신선이 된다.(진장기)水部第五卷 水之一 甘露蜜수부 제 5권 물의 첫째 감로밀(《拾遺》)본초습유【集解】집해(藏器曰?生巴西?域中,狀如?也。)진장기가 말하길 감로밀은 파서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9.01
  • 본초강목 12 蘆갈대 기미 주치 발명 사삼 석명 집해 양유의 원문 및 한글번역
    ?)(《綱目》)、鈴)兒草(《別錄》)、虎鬚(《別錄》)、苦心(《別錄》,又名文希,一名識美,一名志取。)오보본초에는 백삼, 명의별록에는 지모, 명의별록에는 양유, 강목에는 양파내, 명의별록에는 영아 ... 蘆갈대【氣味】기미苦,溫,無毒。갈대는 고미, 온기로 독이 없다.【主治】주치吐虛勞痰?(時珍)。허로 담음을 토하게 한다. 이시진【發明】발명吳綬曰?人弱者,以人參蘆代瓜?。오수가 말 ... 】교정?入《別錄》有名未用部羊乳。함께 명의별록에 또한 이름만 있고 사용이 없는 부분의 양유로 되어 있다.【釋名】이름 풀이白參(《吳普》)、知母(《別錄》)、羊乳(《別錄》)、羊婆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2.13
  • [한의학]본초강목序例第二卷 宋本草舊目錄 백병주치약상 제풍
    序例第二卷 宋本草舊目錄본초강목 서례 제 2권 송본초구목록주석李時珍曰 舊目不錄可也,錄之所以存古跡也,又以見三品之沮亂,不必泥古也.이시진이 말하길 예전 조목에 기록이 없는 것이 가능하나 ... 種《食療》餘8종은 식료본초의 나머지이다.一百種《圖經》外類100종은 도경본초의 바깥 종류이다.(已上皆唐愼微 續收補入者)이상은 모두 당신미의 속수본초에서 보충해 들어간 것이다.玉石部 ... 옥석부(上品七十三種,中品八十七種,下品九十三種。)상품 73종, 중품 87종, 하품 93종이다.草部초부(上品之上八十七種。上品之下五十三種。中品之上六十二種。상품중에 상약은 87종류이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2.14
  • 본초강목 화부육권火部第六卷 艾火 신침화 화침
    가 직접 병소에 들어가게 하여 효과가 더욱 빠르게 한다.(?忌冷水。 )두 침은 함게 냉수를 금기한다.火部第六卷 火之一 火針화부 제 6권 첫째 불 화침(《綱目》)본초강목【釋名】석명燔針 ... 火部第六卷 火之一 艾火화부 제 6권 첫 번째 불 쑥불(《綱目》)강목【主治】주치灸百病。若灸諸風冷疾,入硫黃末少許,尤良(時珍)。모든 병에 뜸을 뜰 수 있다. 만약 여러 풍냉질에 뜸 ... 水精下。)화주는 석부 수정아래에 나타난다.火部第六卷 火之一 神針火화부 제 6권 첫 번째 불 신침화(《綱目》)강목【主治】주치心腹冷痛,風寒濕痺,附骨陰疽,凡在筋骨隱痛者,針之,火氣直達病所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16
  • 천 연 염 색
    (增補山林經濟), 해동농서(海東農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규합총서(閨閤叢書), 본초강목(本草綱目), 천공개물(天工開物).① 산림경제(山林經濟)조선 숙종 때 실학자 유암(流 ... 는 대부분의 식물을 분류하였으며, 총 1,871종의 약재가 망라되어 있다. 전편(全篇)은 수부(水部), 화부(火部), 토부(土部), 금석부(金石部), 초부(草部), 곡부(穀部 ... , 느티나무꽃을 이용하여 초록색, 왜황련과 황백을 이용하여 두록색, 먹을 이용하여 잿빛을 내는 방법이 서술되어 있다.⑥본초강목(本草綱目)중국 명나라 때(1596년 본초학자(本草學者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2.29
  • 火部第六卷 양화 음화
    》一十種(明李時珍)명나라 이시진본초강목에 10종류가 있다.【附注】부가 주석元 朱震亨。원나라 주진형이 있다.火部第六卷화부 제 6권火之一1 화凡一十一種모두 11종류가 있다.火部第六卷 ... 火部第六卷화부 제 6권李時珍曰?水火所以養民,而民賴以生者也。이시진이 말하길 물과 불은 백성을 기르므로 백성이 그것에 의뢰하여 살게 된다.本草醫方,皆知辨水而不知辨火,誠缺文哉。본초 ... 火之一 陽火、陰火화부 제 6권 첫째 화 양화, 음화(《綱目》)본초강목【集解】집해李時珍曰?火者五行之一,有氣而無質,造化兩間,生殺萬物,顯仁藏用,神妙無窮,火之用其至矣哉。이시진이 말하길 화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6.16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