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3. ‘贊’의 문류(genre)적 영역 확장劉?은 ?文心雕龍?에서 ‘贊’의 장르 類型에 대하여 ‘至相如屬筆 始贊荊軻 及遷史固書 託贊褒貶 約文以總錄 頌體以 ... 에 대하여 褒貶한 것, 일반 동식물의 선악에 대하여 褒貶한 것 등으로 분류해 놓고 있다. 또한 徐師曾은 ’其體有三 一曰雜贊 意專褒美 若諸集所載人物文章書畵諸贊是也 二曰哀贊 哀人之沒而 ... 하면서 작가의 다양한 개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Ⅶ. 근대국어의 문체1. 표기 문체근대 국어의 여러 자료에서 채택된 표기 문체는 漢文體, 吏讀文體, 國漢文體, 國文體의 네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