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자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3. 옥편, 자전, 색인의 사용법 훈련4. 숙제의 중요성5. 교육도구6. 漢文敎育을 지향하는 한자교육III. 강의내용, 연습, 평가법1. 강의내용2 ... Bibliographie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책자의 중심내용은 한국어 한자문화의 특징과 교육에 배정된 한자이다.6. 漢文敎育을 지향하는 한자교육한국학을 전공하는 자에게는 한자교육의 목표 ... 는 자율학습에 필요한 실력을 습득하고 한자어를 공부하는 데 있다. 마지막 수업 때엔 故事成語를 통해서 漢文文法의 기본요소인 虛字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따라서 강의는 한자어
中世 國語 표기의 특징漢文敎育科 19924630 崔姬珍일반적으로 中世 國語란 訓民正音이 창제된 15세기 중반에서 16세기 후반 壬辰倭亂 때까지의 한국어를 가리킨다. 한국어의 역사 ... 이 창제·사용되면서부터는 점차 쓰이지 않게 되었다.구결은 주로 문법적인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들로서 文法史 연구의 자료가 되고, 한자를 차용한 표기로서는 文字史 연구의 자료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