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명을 배합하여 朝謝貼, 朝謝關, 朝謝牒 등으로 호칭함이 바람직하다. 高麗末에서 조선 왕조의 太宗 대까지는 조사 문서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朝謝牒을 줄여 謝牒으로 주로 사용 ... 朝謝는 한국한자어이다. 이 단어는 16세기에 조선에서 간행된 字學書들을 감안해 볼 때 朝와 謝의 대표적인 새김을 결합한 것으로서 그 본뜻이 ‘뵙고 사례하다’이며, 관리 임명 ... 의 경우엔 관원으로 임명된 자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에게 謝恩하는 일을 가리키는 단어였다. 朝謝의 가장 보편적인 사용 의미는 관원의 자격을 심사하는 일이다. 따라서 朝謝와 署經은 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