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범에 내재된 분류의식이 가진 차별점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먼저 『풍소궤범』에 수록된 소식 시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확인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풍소궤범 ... 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풍소궤범』은 여느 고전 시선집과 마찬가지로 수록 층차의 곳곳에 선자의 의도가 표출되어 있었으며, 특히 시들 간의 상호 관계와 맥락을 중요하게 여긴 사실 ... 을 확인할 수 있었다.다음으로 같은 주제별 분류 양식을 사용하고 있는 『풍소궤범』 후집과 『증간교정왕장원집주분류동파선생시』의 분류 형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선자의 의도와 분류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