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서 미암 유희춘의 『속몽구분주』에서 해당 예를 살펴보고 학습 내용의 개발 가능 분야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속몽구분주』는 미암 유희춘이 유배지에서 17년간 공들여 저술한 책 ... 으로, 이 책의 목차 제목과 본문 내용 안에는 이자성어, 사자성어, 오자성어, 육자성어 등 고사성어들이 다수 들어 있다. 이들이 특별히 『속몽구분주』에만 수록되어 있는 성어는 아니 ... 나, 『속몽구분주』는 책 앞부분에 「인물언론출처」라는 항목을 제시하여, 여기서 인물과 관련한 정보와 일화의 인용 출처를 분명히 알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교육서와 차별화된다.이에 본고
본고는 미암 유희춘이 유배지에서 저술한 『續蒙求分註』에 대해 『蒙求}와 차이를 가지는 分註 방식을 시험적으로 고찰하여 그 학술서로서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속몽구 ... 에 한꺼번에 제시하고 본문에서 일화 소개와 함께 분주의 방식을 취하였음을 밝혔다.이어서 『속몽구분주』의 분주 방식을 자세히 살펴, 『속몽구분주』가 네 가지의 分註法, 곧 泝流而窮源, 汾源而 ... 분주』와 『몽구』의 본문 구성에 차이가 있는 점을 들어, 『몽구』가 각 편마다 인용출처를 제시하고 인물 일화 중심으로 본문을 구성하였다면, 『속몽구분주』는 인용출처를 맨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