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취한 이와 같은 전략이 아동극 장르가 정착되지 않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였고, 그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공유점에도 불구 ... 하고 는 일본의 교육제도와의 연계를 전제로 학교 교육 ‘안’에서 “착한 어린이”와 “좋은 일본인” 육성을 지향하였다면, 방정환의 는 소년문화운동과의 연계 속 ... 에서 제도권 교육 ‘밖’에 있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가진다. 특히 는 일본의 동화 모집의 실패를 극복하고자 민족성을 강조한 ‘조선고래동화 발굴’의 기획, 그리고
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척독은 예전의 편지를 이르는 말로 이해교육을 강조하는 가운데서 유독 쓰기의 교육 장르 중 편지가 강조되었다.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 제 5권 제 14과 ... 관리를 하였다. 이 중 일본어의 보급은 조선교육방침(「매일신보」 1910.9.11) 제 2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종 학교의 교육 용어를 일본어로 하고 일본어로 된 교과서 ... 를 개발하며 일본어로 된 일반 가정 서류(호적서식, 편지글 서식, 각종 기술서)를 보급하는 일로 요약된다.다음은 조선교육령에 따른 교과서 변화이다.시기정책내용1906보통교육령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