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다.(1) 韓語通(前間恭作, 1909)① 품사분류는 日本文法에 따라 10품사(명사·수사·대명사·동사·형용사·부사·접속사·감동사· 爾乎波·조동사)를 설정하였고,② 명사에 있어서는 어근 ... 는 韓語通에서도 많은 회화문의 용례에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문법연구가 주로 일본문법과의 비교에서 회화습득의 편리를 도모하는 데 있 ... 기에 畸形的인 것이 되어버렸다.6) 音韻에 대한 연구음운에 관해서는 韓語通이나 韓語文典에서도 소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즉, 韓語文典은 총 233면으로 문자 및 음성에 관한 것은 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