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佛說阿彌陀經疏』****< 목 차 >Ⅰ. 서론1. 『佛說阿彌陀經疏』解題2. 원효의 彌陀淨土관련 저술 목록3. 원효의 정토와 관련된 연구 목록Ⅱ. 『佛說阿彌陀經疏』의 구성 ... 과 내용1. 『佛說阿彌陀經疏』의 科目2. 『佛說阿彌陀經』과 주석 및 연구 문헌3. 핵심 원문Ⅲ. 원효의 정토사상1. 여래장의 一心思想2. 極樂淨土의 往生因3. 원효의 독창성1)佛身 ... 佛土論 2)十念論 3)本願思想Ⅳ. 결론Ⅰ. 서론원효의 『佛說阿彌陀經疏』를 통해서 원효의 一心思想이 淨土思想과 어떻게 合致하는지를 알아보고, 淨土를 통한 一心思想의 수행관이 어떻게
壽經宗要』,『阿彌陀經疏』,『阿彌陀經通鑽疏』,『彌勒上生經疏』,『彌勒上生經宗要』,『遊心安樂道』,『觀經宗要』,『彌陀證性偈』등 13종이나 되므로 전체 저술중 1할 이상을 차지하고 있 ... 다. 그러나 현존하는 아미타 정토관련서로는 『無量壽經宗要』와 『阿彌陀經疏』및 『彌陀證性偈』이며 『遊心安樂道』는 眞僞의 문제가 있다).먼저 無量壽經宗要 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 ... 다고 하겠는가?題名의 大意言佛說者 從金口之所出 千代不刊之敎 阿彌陀者 含實德之所立 萬劫無盡之名 能所合擧以標題目 故言佛說阿彌陀經也?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함은 부처님께서 직접 한 말씀이어서다.
수 있다.Ⅳ. 元曉의 淨土 信行)1. 阿彌陀經疎 와 無量壽經 宗要의 大義에 나타난 淨土觀1) 원효의 佛說阿彌陀經疏 大意 )전문과 해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衆生心의 바탕第 一述 ... 의 하나는 ?物質이란 표현이다. 여기에는 淨土를 自受用土와 他受用土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元曉는 먼저 ?淨不淨門에서 『仁王經』의 淨土를 自受用土로 『攝論』, 『瑜伽 ... 의 겨져 왔으나 최근에는 진위의 여부가 문제시 되었다. 그 이유로서는 첫째, 원효의 『無量壽經宗要』의 대부분이 전제되었다는 점. 둘째, 원효의 입적(617-686)으로부터 20년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