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아세아언어집(亞細亞言語集)≫初版의 에 근거한 것이고, ≪지나어집성≫와 ≪화어정선≫의 은 제목, 배열 순서의 면에서 1903年版 ≪화어규보(華語跬步 ... )≫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 ≪화어규보≫는 ≪어언자이집≫ 제2판을 저본(底本)으로 한 ≪증정아세아언어집(增訂亞細亞言語集)≫을 바탕으로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 일제강점기에는 중국과의 교류, 일제에 의한 이주, 중국에서의 독립운동으로 인한 필요 등에 의해 중국어 학습서가 편찬되었다. 본고는 ≪속수한어자통(速修漢語自通)≫, ≪지나어집성(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