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세국어 시기에 나타나는 조사 연결 구성 가운데 처격 조사 ‘애’와 관형격 조사 ‘ㅅ’의통합 구성을 ‘NP1앳 NP2’ 구성이라 하고, 이러한 구성의 기본적 구조 및 의미 ... ③ NP1앳 NP2 (2) ‘NP1앳 NP2’ 구성은 ‘NP1ㅅ NP2’구성과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지면서 동일한 문맥에서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었다.(3) ‘NP1앳 NP2’ 구성 ... 을 나타내는 요소이다.(5) 처격 조사 ‘애’는 필요한 경우 ‘NP1ㅅ NP2’구성의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기능을 위해통합될 수 있다.(6) 통시적으로 ‘NP1앳NP2
앗이’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이것은 ‘앳’에 대한 인식이 사라졌음을 반영하는 표기라 할 수 있다. ‘NP1+ㅅ+NP2’구성 역시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는 구로 쓰이다가 현대 한국어 ... 한국어에서 ‘NP1+엣+NP2’구성과 ‘NP1+ㅅ+NP2’구성에 나타나는 ‘NP1’과 ‘NP2’의 의미 관계는 차이가 있다. ‘NP1+엣+NP2’구성에서 ‘NP1’과 ‘NP ... 2’의 관계는 ‘대상-결합물’의 간접적인 관계로 둘 사이에 분리가 가능할 때 이 구성이 주로 쓰이고 ‘NP1+ㅅ+NP2’구성에서 ‘NP1’과 ‘NP2’의 관계는 ‘전체-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