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의 관심을 끌만한 연극이 있다고 할 경우에 바로 그작품을 좋아하게되는 것이다. 등장인문의 사랑,증오,슬품, 기쁨에 마음을 동하면서 그것들이마치현실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것처럼 자기 자신 ... 의 현실은 이것을 상이한 시점에서 보았을 경우 많은 상이한 현실들로 쪼개져 나갈 수가 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긴다. 이렇게 무수하게 분열된 현실속에서 그 어느것이 진실 ... 이냐하는점이다. 우리가 이 중에서 그어떤 것을 취한다고 했을 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의적이라고밖에 말할 수가 없다. 그리고 또 우리가 그 어떤 것을 선택했다고 한다면 그 선택
하다고 말한다. 아무리 고전이 열려진 책이어야 한다지만, 이렇게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또한 일정한 해석학적 틀이 없이 읽혀지는 고전은 자신의 잘못을 합리화하기 위해 쓰여지는 증거본문 ... (10版)논어를 둘러싼 최근의 열기는 우리 사회의 인문학적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는 일대사건이다. ...(생략) 이씨는 논어의 제1장에 나오는 `인부지이불온(人不知而不 : 남이 나 ... 라인에서의 성공은 사실상 정통으로 동양학을 한 사람과 그것에 이전부터 맛을 들여 깊이 잠겨져 있었던 나 같은 이에게는 상당히 슬픈 느낌을 전해준다. 예를 들면 과연 이 시대의 누
까지와는 다 objects 을 보는 인문학적 관점이다. 문화를 하나의 생산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에 따라 사회의 상부구조에 따라가는 문화를 이야기하게 되며, 이데올로기 ... 은 인류학에서 유래한 용어로서 학자와 이질 문화간의 오랜 사회적 상호 작용에 관한 문서적 기록을 뜻한다. 문화 연구에 차용되면서 대중문화를 텍스트 중심적인 시각에서 어느 정도 ... 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정치성을 띠게 된다.문화연구는 전형적인 학제간 연구이다. 문화읽기를 하기 위해서는 인류학, 사회학, 구조주의, 언어학, 기호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의 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