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에서부터 로마의 왕정, 공화정에 이르는 로마 이해의 초석을 제공한다. 물론, 2권 이하 다른 『로마인 이야기』에 비하면, 다소 흥미가 덜하고, 지루한 면도 없지 않다. 많 ... 에서는 틀린 이야기들이 전문가의 입장이 아닌 나의 눈에도 제법 띈다. 그 예로 페르시아 전쟁이 종교적 이유의 이데올로기 전쟁이었다던가, 혹은 페르시아 왕이 소아시아의 그리스인들에게 민주
있다. 그것은 물론 중세적 절대왕조체제를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세운 부르주아의 프랑스혁명이나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삼권분립의 민주정을 수립한 미국혁명, 더 나아가서 짜르를 붕괴 ... 적 문제들을 일찍이 여과시킬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 후 다시 왕정복고를 거쳐 두 번째로 등장한 명예혁명에 의하여 근대적 영국사회의 면모를 갖출 수 있었기 때문이다.Ⅳ. 혁명의 원인
직무범위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2 대통령 소속 기관으로서의 지위헌법 제97조는 「국가의 세입 세출의 결산, 국가 및 법률이 정한 단체의 회계검사와 행 정기관 및 공무원 ... 돼 왔던 것은 감사원이 대통령에 소속됨으로써 감사의 독립성이 없었기 때 문이었다고 본다. 특히 고위공직자들의 도덕성ㆍ책임성ㆍ민주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정치풍 토에서 감사원을 행정부소속 ... 나폴레옹 1세에 의하여 통일적인 회계검사원이 설치되었고, 이것이 1815년 왕정복고시대에 국민의회의 요청에 의하여 행정감독을 위한 입법부 보좌기관이 되었다. 또 1818년 결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