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116)
  • 리포트(910)
  • 시험자료(83)
  • 방송통신대(80)
  • 논문(38)
  • 서식(2)
  • 자기소개서(2)
  • 기업보고서(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이시옷" 검색결과 121-140 / 1,116건

  • 2022년 대비 9급 국어 (연도별 문제집)
    )④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툇간(退間), 횟수(回數) 6개 단어만은 사이시옷을 붙인다. 그러므로 홧병
    시험자료 | 412페이지 | 5,500원 | 등록일 2021.06.2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통신대 글쓰기 기말시험)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하시오.(1) 뒷처리/뒤처리한글맞춤법 제30항의 사이시옷 표기법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사이시옷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뒷말의 첫소리 ... 일, 예삿일 등)에서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뒤처리는 순우리말 ‘뒤’와 한자어 ‘처리(處理)가 결합된 합성어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아니고, ‘ㄴ, ㅁ’도 아니며, 모음 ... 도 아니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수 없다.(2) 겉잡다/걷잡다표준어 ‘겉잡다’는 ‘겉으로 보고 대강 짐작하여 헤아리다.’라는 뜻으로, “그것은 겉잡아도 일주일은 걸릴 일이다
    방송통신대 | 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4.25 | 수정일 2021.05.21
  • [미디어영상학과] 2021년 1학기 글쓰기 기말시험 과제물(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 등)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에서만 사이시옷을 받쳐서 적는다. 뒤처리는 순우리말 뒤와 한자어 처리가 결합 된 합성어 ... 로서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가 아니며, ㄴ, ㅁ도 아니다. 또한 모음도 아니기에 사이시옷을 받쳐서 못 적는다.(2) 겉잡다/걷잡다 : 사용 의도에 따라 두 가지 모두 가능 표준어 겉잡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11,500원 | 등록일 2021.05.02
  • [유아교육과] 2021년 1학기 글쓰기 기말시험 과제물(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 등)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에서만 사이시옷을 받쳐서 적는다. 뒤처리는 순우리말 뒤와 한자어 처리가 결합 된 합성어 ... 로서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가 아니며, ㄴ, ㅁ도 아니다. 또한 모음도 아니기에 사이시옷을 받쳐서 못 적는다.(2) 겉잡다/걷잡다 : 사용 의도에 따라 두 가지 모두 가능 표준어 겉잡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11,500원 | 등록일 2021.05.02
  • [공통교양과목] 2021년 1학기 글쓰기 기말시험 과제물(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 등)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에서만 사이시옷을 받쳐서 적는다. 뒤처리는 순우리말 뒤와 한자어 처리가 결합 된 합성어 ... 로서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가 아니며, ㄴ, ㅁ도 아니다. 또한 모음도 아니기에 사이시옷을 받쳐서 못 적는다.(2) 겉잡다/걷잡다 : 사용 의도에 따라 두 가지 모두 가능 표준어 겉잡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11,500원 | 등록일 2021.05.02
  • 맞춤법과표준어 ) 다음에 밑줄 친 예들 중 띄어쓰기가 옳은 것을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라도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장맛비’가 맞다. 순우리말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이다.‘등굣길 ... 에서는 '위'로 표기하도록 정하고 있다.‘머릿말’은 ‘머리말’로 고쳐야 한다. 고유어 ‘머리’와 ‘말’이 결합할 때는 ‘ㄴ’소리가 덧나지 않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첨가하지 않는다.‘인삿 ... 는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앞말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도록 한다. ‘혼잣말’은 ‘혼자’+‘말’의 형태로 [혼잔말]로 발음되어 ‘ㄴ’소리가 덧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2.25 | 수정일 2021.03.03
  • 글쓰기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2) 겉잡다/걷잡다 : 둘 다 바른 표현이며 사용이 따라 다르다.1) 겉잡다 : 겉으로 보고 지레 짐작하다.2) 걷잡다 : 한 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 ... ,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1997, pp. 1-423(2)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국어학회 ... , p. 105-138, 1981년.: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 국어학회 , 1981, 105-138쪽(3) 임홍빈?장소원, 1995년, 국어문법론 Ⅰ
    리포트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8.24
  •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Saeed, J. I. (1997). Seman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2)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 , 국어학회, p. 105-138, 1981년.임홍빈 (1981).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1-35.(3) 임홍빈?장소원, 1995년, 국어문법론 Ⅰ, 한국
    방송통신대 | 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5.11
  • 글쓰기
    게 완성하시오.(1) J. I. Saeed, Semantics, 19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pp. 1-423.(2) 임홍빈, 사이시옷 ...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1) 뒷처리/뒤처리뒤처리‘뒤처리’는 ‘뒤’와 ‘처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한글 맞춤법' 제30항의 사이시옷 규정을 보 ... 면 명사와 명사 사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는데, 뒷말의 초성이 된소리인 ㄲ·ㄸ·ㅃ·ㅆ·ㅉ이나 거센소리인 ㅋ·ㅌ·ㅍ·ㅊ일 때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고 돼 있다. “뒤+처리”는 뒷말
    방송통신대 | 1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05.22 | 수정일 2021.09.01
  • 만 5세 2학기 관찰일지
    말한다. 교사가 종이를 보며 ??아, ?맛있?의 ?있?을 말하는 것이군요. 시옷이 두 개 들어가야 해요.??라 말하자 OO가 시옷의 옆에 시옷을 한 개 더 쓴다. 교사가 끄덕이 ... ! 그럼 나머지는 몇 명이지?”라고 말한다.2학기 총평친구와 혐동하며 사이좋게 놀이하는 경험을 한다. 친구와 도움을 주고받으며 서로 협력하는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보이며 ?미래?라는
    리포트 | 10페이지 | 5,800원 | 등록일 2025.01.22
  • 통시적 논의로 보는 ‘웃-’의 정체성 연구 (Identity research of ‘ut’ through diachronic discussion)
    우리말학회 손평효
    논문 | 3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4.21 | 수정일 2025.05.1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사회언어학 과제
    에 혼란 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띄어쓰기 규칙이나 사이시옷 사용의 차이가 문법적 이질성을 더욱 심화시킨다. 예를 들어, 남한의 "우리나라"는 북한에서 "우리 나라"로 띄어쓰는 규범 ... 를 보인다. 북한은1966년 "조선말규범집"을 통해 어문 규범을 체계적으로 정비했고, 남한은 1989년 "한글맞춤법"을 최종 개정하여 사용 중이다. 사이시옷 사용의 유무나 두음법칙
    리포트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4.11.27
  • 글쓰기 기말] 2021년 1학기 방통대 글쓰기 기말 과제물 A+ -방송대 글쓰기 기말, 글쓰기 기말시험 온라인 과제
    또는 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든 복합명사(합성명사)의 두 요소 사이에 삽입되는 시옷을 ‘사이시옷’이라 하는데 사이시옷 현상으로 인해 처리의 구성요소가 이미 된소리나(ㄲ,ㄸ,ㅃ,ㅆ,ㅉ ... )나 거센소리(ㅋ,ㅌ,ㅍ,ㅊ)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기 때문에 해당 단어는 뒷말의 첫소리가 거센소리인 ㅊ으로 시작함으로 뒤처리가 맞는 맞춤법이다.(2) 겉잡다/걷잡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9,000원 | 등록일 2021.08.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공학보고서 중간고사 정리본
    ’ 로 적는다. → 양심, 역사, 예의, 용궁, 유행, 이발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또는 ‘ㄹ’소리로 나더라도 ‘역이용, 열역학’사이시옷·합성어로 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시험자료 | 3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4.12.18 | 수정일 2025.04.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2021_방송통신대학교_글쓰기_기말과제물
    거센소리인 경우 앞말에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는다. (2) 겉잡다/걷잡다 정답) 겉잡다, 걷잡다이유) ‘겉잡다’의 경우 겉으로 보아서 대충 짐작한다는 뜻으로 사용하며, ‘걷잡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10.14
  • 한국어어문규정-표준 발음법 제1항은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하여 예시와 함께 설명하세요.
    ], 절연[저련], 신용[시ː뇽]이 소리의 첨가 없이 발음해야 하는 단어들이다.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을 된 ... 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냇가[내ː까/낻ː까]샛길[새ː낄/샏ː낄]빨랫돌[빨래똘/빨랟똘]콧등[코뜽/콛뜽]깃발[기빨/긷빨]대팻밥 ... 되 합리성을 고려하여 표준 발음법을 정함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맛있다’는 실제 발음에서는 [마싣따]가 자주 쓰이나 두 단어 사이에는 받침 ‘ㅅ’을 [ㄷ]으로 발음
    리포트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0.12.12
  • 구강해부학 요점정리
    의 봉합➌ 인자봉합(시옷봉합, 람다봉합):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봉합➍ 인상봉합(비늘봉합): 측두골과 두정골 사이의 봉합02. 두개골 앞면1. 전두부 ➊전두융기(이마뼈융기) ➋미궁(눈 ... (2), 비골(2), 상악골(2), 구개골(2), 관골(2)=> 8종류 14개01. 두개골 위면, 두개관➊ 관상봉합: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의 봉합➋ 시상봉합: 양쪽 두정골 사이 ... 열: 접형골의 대익과 소익 사이에 틈새, 동안신경, 활차신경, 안신경, 외전신경, 상안정맥➎ 하안와열: 상악골의 안와면과 접형골의 대익 사이의 틈새5. 악골부▶ 상악골 ➊ 안와하공
    시험자료 | 18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2.11.19
  • 현대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실태, 유형, 배경에 대해 논하시오
    ·ㄾ), 관형사형 어미 –ㄹ+ㄱ·ㄷ·ㅂ·ㅅ·ㅈ→ -ㄹ + ㄲ·ㄸ·ㅃ·ㅆ·ㅉ할 것을[할꺼슬]갈 데가[갈떼가]할 바를[할빠를]제28항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 ... 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ㄷ,ㅂ,ㅅ,ㅈ'을 된소리로 발음문-고리[문꼬리] 손-재주 [손째주]아침-밥 [아침빱] 등 ... 에는 경음화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합성 명사에서 보이는 경음화는 항상 예외 없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 조항에서는 '관형격 기능'을 지닌 사이시옷이 있을 때 경음화
    리포트 | 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1.07.27
  • 글쓰기 기말] 2021년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온라인 과제물
    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1) 뒷처리/뒤처리뒤처리☞ 사이시옷을 넣는 조건이 세 가지가 있다. ‘두 단어가 합해져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것’, ‘그 두 단어 중 하나 ... 는 반드시 고유어일 것’, ‘원래에는 없었던 된소리가 나거나 'ㄴ'소리가 덧날 것’이라는 세 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하면 '사이시옷'을 넣는다. 단, 합성명사를 구성하는 뒤의 요소 ... 가 이미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ㅋ, ㅌ, ㅍ, ㅊ)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뒤+처리’에서는 두 번째 단어의 첫소리가 ‘ㅊ’이므로 사이시옷
    방송통신대 | 12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05.21 | 수정일 2021.09.01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