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349)
  • 리포트(314)
  • 자기소개서(33)
  • 논문(1)
  • 시험자료(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부산대 물리실험 2" 검색결과 121-140 / 349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화학과 수학, 연구계획서
    수학, 연구계획제가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화학과에서 지망하는 연구실은 총 세 곳입니다. 저는 OOO 교수님의 OOOOOO 연구실에서 Acetylcysteine ??또는 N ... 에서 CF2ICF2I의 Conformer-specific 광해리 역학 연구 등을 하고 싶습니다. 저는 OO대학교 화학과 학부에서 물리화학실험, 분자분광학개론, 물리화학1,2,3, 기기 ... 프라이머를 사용한 고체상 재조합효소 중합효소 증폭 연구 등을 하고 싶습니다. 저는 OO대학교 학부에서 일반생물학실험1,2, 생화학기초실험1, 유기화학1,2 등을 수강하였습니다. 저
    자기소개서 | 1페이지 | 3,800원 | 등록일 2022.05.3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바이오소재과학과 자기소개서학업계획서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의공학과
    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는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한 기사에서 부산대학교가 바이오 분야를 집중 양성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기사를 본 뒤 ...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에 대한 열망이 더욱 간절해졌습니다. 그래서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에 진학하게 된다면 제가 오랫동안 생각했던 연구원이라는 꿈을 널리 펼칠 수 있을 것이 ... 하고 소통하며 공감하는 능력도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동아리 활동으로 봉사 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할 계획입니다. 또한, 부산대학교만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인 ‘대학
    자기소개서 | 4페이지 | 15,000원 | 등록일 2023.03.0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일반물리실험』, 5판; 민음사, 2019, pp 210~212page PAGE \* MERGEFORMAT2 ...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5주차 보고서축전기의 충전과 방전실험 목적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과정의 시간에 따른 전압을 관찰하여 축전기의 기능과 특성을 확인한다.실험 원리축전기 ... , Breadboard, Laptop Computer실험 방법실험 0) 사용 소자 측정실험에 사용할 저항 R1, R2의 저항값을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기록한다.실험에 사용할 축전
    리포트 | 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유도기전력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11주차 보고서유도 기전력실험 목적자기장의 세기, 코일의 단면적, 감은 횟수에 따른 유도 기전력을 측정하여 패러데이 유도 법칙을 이해한다.실험 원리이상적인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은 아래와 같다.코일을 지나는 자기 다발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때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며, Faraday 유도 법칙에 따라 아래와 같다.교류 전류 가 흐르는 매우 긴 솔레노이드 내부에 다른 코일이 놓여 있을 때, 내부 코일을 지나는 자기다발은 가 되고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은가 되며, 유도 기전력의 진폭은 =, 실효값은 가 된다.실험 장비Multimeter(x2), Solenoid Coils, Function Generator, Ruler실험 방법실험 1) 내부 솔레노이드 코일 깊이와 유도 기전력Function Generator를 100Hz로 설정한다.외부 솔레노이드 코일의 직경과 길이를 확인한다.내부 코일 하나를 선택하여 직경과 길이를 확인한다.Function Generator를 조정하여 외부 솔레노이드에 교류 전류 실효값 50mA가 흐르도록 조정한다.내부 코일을 외부 솔레노이드 코일에 5cm 단위로 삽입하며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실험 2)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와 유도 기전력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내에 내부 코일을 밀어넣는다.외부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류를 10mA 단위로 0~50mA까지 증가시키며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실험 3) 진동수와 유도 기전력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를 50mA로 조정한다.Function Generator의 진동수를 100Hz 단위로 500Hz까지 증가시키며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 진동수 변경 시마다 외부 코일 전류를 50mA로 조정한다.실험 4) 코일 단면적과 유도 기전력감은 횟수는 같고 단면적이 서로 다른 3개의 내부 코일을 선택한다.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를 50mA로 조정한다.3개의 내부 코일을 번갈아 삽입하여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실험 5) 감은 횟수와 유도 기전력단면적은 같고 감은 횟수가 서로 다른 3개의 내부 코일을 선택한다.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를 50mA로 조정한다.3개의 내부 코일을 번갈아 삽입하여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측정값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직경 = 76mm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단면적 = 45.36cm^2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감은 횟수 = 1435외부 솔레노이드 코일 길이 = 400mm외부 솔레노이드 단위 길이당 감은 횟수 = 3.59회/mm실험 1) 내부 솔레노이드 코일의 깊이와 유도 기전력f = 100Hz내부 코일 직경 = 38mm내부 코일 단면적 = 11.34cm^2내부 코일 감은 횟수 = 1100내부 코일 길이 = 300mm전류 Iac=49.3mA깊이(mm)기전력(V)00.006500.0261000.0531500.0842000.1152500.1463000.177실험 2)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류와 유도 기전력f = 100Hz내부 코일 직경 = 38mm내부 코일 단면적 = 11.34cm^2내부 코일 감은 횟수 = 1100내부 코일 길이 = 300mm전류(mA)기전력(V)0.080.00210.10.03720.20.07429.70.10940.70.15049.50.182실험 3) 진동수와 유도 기전력내부 코일 직경 = 38mm내부 코일 단면적 = 11.34cm^2내부 코일 감은 횟수 = 1100내부 코일 길이 = 300mm전류 Iac=50.0mAf(Hz)기전력(V)1000.1792000.3393000.4694000.5685000.6436000.6987000.738실험 4) 코일의 단면적과 유도 기전력f=100Hz전류 Iac=50.1mA내부 코일 감은 횟수 = 558회내부 코일 길이 = 300mm직경(mm)단면적(cm^2)기전력(V)265.310.46328.040.683811.340.95실험 5) 코일의 감은 횟수와 유도 기전력f=100Hz전류 Iac=50.3mA내부 코일 직경 = 38mm내부 코일 단면적 = 11.34cm^2내부 코일 감은 횟수기전력(V)5580.0958000.13311000.178실험 결과실험 1) 내부 솔레노이드 코일의 깊이와 유도 기전력깊이(mm)기전력(V)기전력(이론)(V)상대오차00.0060.000-500.0260.02311.93%1000.0530.04614.09%1500.0840.07020.54%2000.1150.09323.77%2500.1460.11625.71%3000.1770.13927.00%평균20.51%로 계산하였으며, 깊이 0mm 지점을 제외한 전체 영역에서 기전력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보다 전반적으로 크게, 평균 20.51%가량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삽입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기전력은 과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험 2)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류와 유도 기전력전류(mA)기전력(V)기전력(이론)(V)상대오차0.080.0020.0003489.56%10.10.0370.0428-13.61%20.20.0740.0857-13.61%29.70.1090.1259-13.45%40.70.1500.1726-13.09%49.50.1820.2099-13.29%평균-13.41%오차가 지나치게 크게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는 전류 0.08mA 지점을 제외한 전체 영역에서 기전력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보다 전반적으로 작은 평균 -13.41%가량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다만 10~50mA 지점에서 상대오차는 -13% 부근에서 형성되었으며, 와 같이 전류에 따라 선형적으로 기전력이 증가하여 측정 자체는 일관적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실험 3) 진동수와 유도 기전력f(Hz)기전력(V)기전력(이론)(V)상대오차1000.1790.14126.64%2000.3390.28319.92%3000.4690.42410.60%4000.5680.5650.46%5000.6430.707-9.02%6000.6980.848-17.70%7000.7380.989-25.41%평균0.78%전체 영역에서 기전력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것과 400Hz 지점에서는 일치하였으며, 그보다 진동수가 적을수록 예상보다 크게, 진동수가 클수록 예상보다 작게 나타났다. 을 보면, 이론적으로 기전력은 진동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해야 하나 실제 측정한 값은 로그함수 형태를 그리는 걸 확인할 수 있다.실험 4) 코일의 단면적과 유도 기전력단면적(cm^2)기전력(V)기전력(이론)(V)상대오차5.310.460.505-8.83%8.040.680.764-10.99%11.340.951.078-11.84%평균-10.56%단면적에 대한 기전력은 이론적으로 예측한 값보다 평균 -10.56%의 Depression을 보였으며, 내부 코일의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도 기전력 또한 증가하는 것을 에서 확인할 수 있다.실험 5) 코일의 감은 횟수와 유도 기전력내부 코일 감은 횟수기전력(V)기전력(이론)(V)상대오차5580.0950.1082-12.20%8000.1330.1551-14.26%11000.1780.2133-16.55%평균-14.34%감은 횟수에 대한 기전력은 이론적으로 예측한 값보다 평균 -14.34%의 Depression을 보였으며, 내부 코일의 감은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도 기전력 또한 증가하는 것을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결과에 대한 논의실험 전반적으로 오차가 다소 크게 발생하였으나 실험 1의 경우 elevation이 나타나고, 실험 2, 4, 5는 일정한 정도의 depression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험 전반적으로 선형적인 이론적 예측과 동일한 선형적 측정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유독 실험 3의 경우는 측정 결과가 로그 형태를 나타내는 걸 확인할 수 있다.실험 3에서는 실험 과정 중 치명적인 오류가 있었는데, 주파수를 변경할 때마다 전류를 재조정/확인하지 않았던 것이다. 솔레노이드 코일은 주파수에 따라 유도 리액턴스가 변화하고, 그 값은 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액턴스가 증가하여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해 로그 형태의 기전력을 보일 수 밖에 없다.결론실험의 목적은 자기장의 크기, 코일의 단면적, 횟수에 따른 유도 기전력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었으며, 실험 결과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모든 단일 변수에 대해 선형적인 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는 전반적으로 편차가 적었으나 실험 3의 경우 특이하게 로그 형태의 기전력을 보였으며, 이는 실험 과정 상의 실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일반물리실험』, 5판; 민음사, 2019, pp 238~245page PAGE \* MERGEFORMAT2
    리포트 | 10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전자기기사용법(1)
    하였고, Oscilloscope의 경우 종/횡축 scale이 커질수록 측정 오차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일반물리실험』, 5판; 민음사, 2019, pp 12 ...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1주차 보고서전자기기 사용법(1)실험 목적기본 전자측정 장비인 Oscilloscope 및 Multimeter 및 전원발생장치인 Fucntion ... 와 DMM으로 각각 측정하여 비교한다.전압을 2, 5, 10V로 변화시키며 2)를 반복한다.실험 2) 교류 전압 측정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100Hz의 사인파
    리포트 | 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직류회로
    의 오차는 대체로 균일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Digital Multimeter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와 기타 외부 요인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AT2 ...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4주차 보고서직류회로실험 목적여러 개의 저항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직류 회로를 구성하고 각 저항과 회로 전체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Ohm ... , Resistors실험 방법실험 0) 저항값 측정저항 R1, R2, R3의 저항값을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기록한다.실험 1) 직렬 회로 측정위 과 같이 장치를 구성한다.DMM
    리포트 | 9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시스템학과 연구계획서
    1.수학, 연구계획저는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시스템학과에 진학한 다음에 나노입자: 환경유전독성학적 관점에서 장단점 비교 연구, Nrf2/ARE 신호 전달 경로 ... 의 Deregulation of Nrf2/ARE 신호 전달 경로가 디스트로핀 결핍 근관의 메나디온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성을 유발하는 기전 연구, PRMT1에 의한 Neurogenin 3 ... 을 통한 노화 및 염증의 리소좀 조절 연구, TIM23 복합체의 Mgr2 하위 단위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주변 정지 전달 신호의 막 삽입을 조절하는 기전 연구, 췌관 선암종에 대한
    자기소개서 | 1페이지 | 3,800원 | 등록일 2024.05.10
  • 화학공학과 편입 학업계획서 (부산대학교)
    [ 학업계획서]부산대학교 편입학화학공학과 학업계획서#화학공학연구계획서,화학공학과자기소개서,제약학과자소서,편입학업계획서,부산화학공학자소서,부산대편입연구계획서,부산대편입학업계획서 ... 어, 스스로 사고하고 탐색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이었습니다.저의 선택인 바로 이곳 부산대학교, 그 중에서도 화학공학과는 국내 화학공학 분야에서 매우 높은 연구 역량 ... 을 위한 학업 준비 노력에 대해 기술하시오.2. 살아오면서 가장 힘들었던 일과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3. 편입학 후 학업계획, 관심분야, 향후진로계획에 대해
    자기소개서 | 4페이지 | 4,900원 | 등록일 2025.06.1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일반물리실험 2 - IOLab장치를 사용한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한다는 사실을 통해 키르히호프제2법칙이 실험적으로 만족함을 확인하였다.9. 참고문헌 및 출처1) 일반물리실험, 개정판 6판, 부산대학교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교문사, 2021년.2) 부산대학 ... 과정에서 축전기 양단의 전압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IOLab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이로부터 축전기의 충방전 특성을 공부하고 축전기의 기능을 알아본다.2. 실험 원리축전기 ... 실험 1&2와 3&4의 축전기 전기용량을 구분해서 실험을 진행해야 했으나 실험자의 착오로 전기용량이 같은 축전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실험 간에 비교분석하기 난해한 측정값을 얻
    리포트 | 1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4.09.1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전자기기사용법(2)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2주차 보고서전자기기 사용법(2)실험 목적기본 전자측정 장비인 Oscilloscope와 Multimeter 및 전원발생장치인 Fucntion generator,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힌다.저항기의 색띠 표기법을 익히고 Multimeter를 통해 실제 측정한 저항값과 비교한다.Function generator 및 DC Power supply에서 발생된 AC 및 DC 전원의 전류를 측정한다.실험 원리저항기의 색띠 표기법일반적인 고정 저항값을 가진 저항기는 4개 또는 5개의 색깔 띠로 저항값과 그 오차 범위를 표기하고, 본 실험에 사용할 4색 띠 표기법을 해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A, B, C, D는 왼쪽으로부터 1, 2, 3, 4번째 띠의 색에 부여된 숫자이다. 각 색깔에 부여된 숫자는 아래 과 같다.색숫자오차범위Black0-Brown1±1%Red2±2%Orange3-Yellow4-Green5-Blue6-Violet7-Gray8-White9-Silver-±10%Gold-±5%Clear-±20%예를 들어, 4-band 저항기에 표기된 색띠가 왼쪽부터 Green, Red, Orange, Gold 색이라면 이 저항기는 62*10^3 ±5%, 즉 62000 ±5%의 저항을 가진다.Ohm’s Law (전류)전압 V, 전류 I와 저항 R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이번 실험에서 주로 측정하고자 하는 값은 전류이며, 이 식을 전류에 대한 식으로 바꾸어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고정된 저항값에서 전압을 변화시키면 전류는 선형적으로 증가한다.실험 장비DMM(Digital Multimeter), Function generator, DC Power supply, Resistors실험 방법실험 1) 저항값 측정주어진 저항에 표기된 색띠를 해석하여 저항값을 확인한다.Multimeter를 사용해 저항값을 측정하고 1)에서 확인한 값과 비교한다.저항기를 바꾸어 1)~2)를 반복한다.실험 2) 직류 전류 측정위 과 같이 장치를 구성한다. DMM 1은 DC 전압, DMM 2는 DC 전류 mode로 설정한다.DMM 1에 표시되는 전압이 1V가량 되도록 DC Power Supply의 출력을 조절한다.DMM 1에 표시되는 전압과 DMM 2에 표시되는 전류를 기록한다.Target Voltage를 2, 3, 4V로 변화시켜 1)~3)을 반복한다.저항기를 바꾸어 1)~4)를 반복한다.실험 3) 교류 전압 측정위 과 같이 장치를 구성한다. DMM 1은 AC 전압, DMM 2는 AC 전류 mode로 설정한다.DMM 1에 표시되는 Vrms가 1V가량 되도록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조절한다.DMM 1에 표시되는 전압과 DMM 2에 표시되는 전류를 기록한다.Target Voltage를 2, 3, 4V로 변화시켜 1)~3)을 반복한다.저항기를 바꾸어 1)~4)를 반복한다.실험 중 주의사항DC Power Supply와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전압을 측정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갑자기 증가시키지 않는다.측정 기기의 Range를 큰 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변경한다.Multimeter를 전류 측정 mode로 한 상태에서는 probe를 절대로 저항에 병렬 연결하지 않는다. 전류 측정 mode에서는 Multimeter의 내부 저항이 매우 낮도록 switching 되므로 과전류가 흘러 퓨즈가 끊어지거나 내부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측정값실험 1) 저항값 측정저항기색1색2색3색4표기값멀티미터 측정값R1BrownRedRedGold1,200Ω ±5%1,203ΩR2BrownGreenRedGold1,500Ω ±5%1,492Ω★측정 단위DMM-Resistance mode: (~2kΩ) :1Ω실험 2) 직류 전류 측정저항기저항(Ω)전압(V)측정영역(전압)전류(mA)측정영역(전류)R11,2031.043~2V0.830~2mA2.01~20V1.593~2mA3.07~20V2.44~20mA4.03~20V3.21~20mAR21,4921.031~2V0.661~2mA2.02~20V1.292~2mA3.02~20V1.928~2mA3.97~20V2.54~20mA★측정 단위DMM-DC Voltage mode (~2V) :0.001V, (~20V) :0.01VDMM-DC Current mode (~2mA) :0.001mA, (~20mA) :0.01mA실험 3) 교류 전류 측정저항기저항(Ω)교류전압(V)측정영역(전압)전류(mA)측정영역(전류)R11,2030.99~20V0.797~2mA2.02~20V1.617~2mA2.97~20V2.36~20mA3.96~20V3.15~20mAR21,4921.01~20V0.655~2mA2.02~20V1.300~2mA3.00~20V1.932~2mA4.01~20V2.57~20mA★측정 단위DMM-AC Voltage mode (~20VAC) :0.01VDMM-AC Current mode (~2mA) :0.001mA, (~20mA) :0.01mA실험 결과실험 1) 저항값 측정저항기표기값멀티미터 측정값상대오차R11,200Ω ±5%1,2030.250%R21,500Ω ±5%1,492-0.533%실험 1에서 저항기에 표기된 저항값과 Multimeter를 이용해 측정한 값은 평균 상대오차 -0.142%로 표기된 저항값의 Tolerance인 ±5% 이내로 일치하였다.실험 2) 직류 전류 측정저항기저항(Ω)전압(V)V/R(mA)전류(mA)상대오차평균1000/Rgradient상대오차평균R11,2031.0430.8670.830-4.267%-4.462%0.83130.797-4.12%-4.39%2.011.671.593-4.66%3.072.552.44-4.39%4.033.353.21-4.18%R21,4921.0310.6910.661-4.344%0.67020.639-4.66%2.021.3541.292-4.571%3.022.0241.928-4.749%3.972.6612.54-4.54%실험 2에서 측정한 직류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값의 변화는 측정된 저항값과 전압에 따라 계산한 것과 비교하여 평균 약 -4.46%의 값을 나타내었다.과 같이, I-V 그래프는 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값의 gradient는 I=V/R의 1/R과 비교하여 약 -4.4%의 값을 가진다.실험 3) 교류 전류 측정저항기저항(Ω)Vrms(V)V/R(mA)전류(mA)상대오차평균1000/Rgradient상대오차평균R11,2030.990.820.797-3.15%-3.89%0.83130.83130.01%-2.33%2.021.681.617-3.70%2.972.472.36-4.41%3.963.293.15-4.31%R21,4921.010.680.655-3.24%0.67020.639-4.66%2.021.351.300-3.98%3.002.011.932-3.92%4.012.692.57-4.38%실험 3에서 측정한 교류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값의 변화는 측정된 저항값과 전압에 따라 계산한 것과 비교하여 평균 약 -3.89%의 값을 나타내었다.과 같이, I-V 그래프는 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값의 gradient는 I=V/R의 1/R과 비교하여 약 -4.4%의 값을 가진다.결과에 대한 논의실험 2, 3에서 측정한 전류는 I=V/R을 통해 계산한 값보다 대략 -4%가량 낮게 측정되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기본적으로 Multimeter는 회로에 있어 저항이다. Voltmeter mode에서는 가능한 한 높은 내부저항을 저항에 병렬로 연결하여 모든 Voltage를 내부저항이 받게 함으로 Voltage dividing 현상으로 일어나는 전압 강하를 최대한 줄이려고 하고, Ammeter mode에서는 가능한 낮은 내부저항을 저항에 직렬로 연결하여 모든 Voltage를 Target 저항이 받게 함으로 직렬 저항 합성으로 인한 전류 강하를 최대한 줄이도록 설계되어 있다.하지만, 현실적으로 무한대 또는 0의 내부저항을 가질 수는 없다. 따라서 Voltmeter mode로 회로에 병렬 연결하면 약간의 전압 강하가, Ammeter mode로 회로에 직렬 연결하면 약간의 Current 강하가 발생한다. 이번 실험에 사용한 저항은 각각 1.2K, 1.5K로 일반적 Digital Multimeter의 Voltmeter mode 내부 저항에 비해 매우 작아 전압 강하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전류 구간이 0.6~3.2mA로 매우 작았던 이번 실험에서는 Ammeter mode의 작은 내부저항도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 실험 2실험 3에서 전류값의 상대오차가 -4% 구간에서 상당히 균일하게 측정되는 것이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결론저항기의 색띠 표기를 해석한 저항값은 실제 측정값과 오차 범위 이내로 일치하였다.저항이 동일할 때, 직류 및 교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선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 실험 원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rms와 같은 크기의 VDC는 저항에 같은 크기의 전류를 흘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 2와 3의 오차는 대체로 균일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Digital Multimeter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로 유추할 수 있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일반물리실험』, 5판; 민음사, 2019, pp 167~174page PAGE \* MERGEFORMAT2
    리포트 | 8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광학실험 실험보고서 - 렌즈
    포물면경을 사용하거나, Gradiant 굴절률 렌즈를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광학실험매뉴얼, 렌즈.pdfpage PAGE \* MERGEFORMAT2 ... 광학실험 2주차 보고서렌즈Lens실험 목적렌즈들의 초점거리를 이해한다.다양한 수차의 종류를 이해하고 측정한다.실험 원리렌즈 제작자 식과 부호 규약렌즈라 함은 중심축을 공유하는 두 ... 될 때의 광로도.위 과 같이 두 개의 렌즈 L1, L2로 이루어진 복합 렌즈계에서, 및 는 각각 대응하는 주요 면으로부터 측정한 두 렌즈의 물체와 상까지의 거리 및 초점거리이다. 이
    리포트 | 1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부산대학교 일물실1 A+]일반물리실험1 단조화 운동 결과보고서
    일반물리실험(I) 결과보고서 Tracker 프로그램을 사용한 단조화 운동 결과보고서 1. 실험 목적 -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track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기를 측정 한다. 참조1 - 주기와 물체의 질량 및 용수철 상수와의 관계를 배운다.참조1 2. 실험 원리 용수철이라는 이름은 용의 수염과 같이 모양이 변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이처럼 용수철을 당겼다가 놓으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탄성’이라고 하며 우리 주변에서 탄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를 이용하는 경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다. 또한 탄성을 가진 물체를 탄성체라고 하며, 탄성체의 모양을 변하게 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생기는데, 이러한 힘을 ‘탄성력’이라고 한다. 참조2 그림 1. 용수철의 탄성력 탄성력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실험을 통해서 밝힌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인 로버트 훅이며 그는 1678년 용수철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탄성력의 크기가 탄성체의 모양이 변한 정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로버트 훅이 발견한 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으며 이것을 훅의 법칙이라고 합니다.참조2 F`=`-kx 위의 식에서 F 는 용수철의 탄성력의 크기를 말하고, x 는 용수철의 모양이 변한 정도, 즉 용수철의 길이의 변화량을 말한다. k는 탄성력과 용수철의 길이 변화가 어느 정도로 비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탄성 계수’, 혹은 ‘용수철 상수’라고 부른다. 참조1 훅의 법칙 및 운동 방정식으로부터 아래의 식을 유도가능하다. M {d ^{2} x} over {dt ^{2}} `=`-kx 위 미분 방정식의 일반해는 x=`A _{0} cos(wt+a)이며 일정한 진폭과 주기를 가지고 진동하는 단조화 운동을 나타낸다. 참조1 omega `= sqrt {{k} over {M}}은 각진동수 (각주파수), A _{0}는 진동을 하는 물체의 진폭을 의미한다. 각진동수의 정의인 omega `=2 pi f를 이용시 참조1 4. 실험 방법 실험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1) 수레의 질량을 측정하고 스탠드와 피벗 클램프를 사용하여 장치를 설치한다. 트랙의 기울 기는 적절히 조정한다. (2) 추걸이에 추를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수레의 위치를 기록한다.(x _{0}) (3) 추의 질량(m)을 증가시키면서 수레가 어느정도 이동한지와 추의 질량을 기록한다. (4) 힘(F=mg)와 평형점으로투버의 위치 변화 x에 대한 그래프를 그린다. 데이터들로부터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이 기울기가 용수철 상수 k가 된다. 실험 2) 주기 측정하기 (1) 추와 추걸이를 제거한다. (2)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가 트랙을 정면을 바라보도록하고 수평을 맞춘다. (3) 수레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춘다. (4) 동영상 녹화와 동시에 평형 위치에서 수레의 초기 진폭 A _{0}를 적당히 선택하여 진동시킨 다. (5) Tracker 프로그램으로 시간에 따른 수레의 위치 그래프를 질점을 통해 구한다. (6) 수레가 같은 위치에 오는 시간 혹은 수레가 최대 혹은 최소 지점간의 차이에 2배를 하여 서 수레의 진동 주기를 구한다. (7) 초기 진폭을 다르게 한 후 위 과정을 반복한다. (8) 식 T`=`1/f`=` {2 pi } over {omega } `=`2 pi ` sqrt {{M} over {k}}를 이용하여서 주기를 구한 후 측정 주기와 비교한다. (9) 수레에 질량을 추가하고 위 과정을 반복한다. (10) 용수철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7) 과정을 제외하고 앞 과정을 반복한다. (11) 용수철 2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7) 과정을 제외하고 앞 과정을 반복한다. 5. 측정값 실험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수레의 질량 M(kg) 평형점 위치(x _{0})(m) 0.504 0.579 표 1. 수레의 질량 및 평형점 위치 m(kg) F(=mg)(N) 수레의 위치(m) x(m) 0.000 0.000 0.579 0.000 0.020 0.197 0.605 0.026 0.040 0.394 0.629 0.00.216 표 2. 위치에 따른 힘의 크기 실험 2) 주기 측정하기 M(kg) 0.504 0.753 A _{0}(m) 0.118 0.078 0.164 0.114 T(s) 1.607 1.603 1.949 1.936 표 3. 용수철 1개 사용한 경우의 주기 직렬 연결 병렬 연결 M(kg) 0.504 0.753 0.504 0.753 A _{0}(m) 0.120 0.120 0.045 0.070 T(s) 2.265 2.715 1.136 1.374 표 4. 직렬, 병렬 용수철의 주기 6. 실험 결과 실험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그림 2. F - x 그래프 기울기(용수철상수)(N/m) 7.7352 표 5. 용수철 상수 F=`-kx라고 정의되는 훅의 법칙을 통해서 쉽게 용수철 상수를 구할 수 있다. (-) 부호의 경우 우리가 무게를 증가시켰을 때 평형점에서 기울어진 수평계에서 아래로 갔기에 이미 x라는 변수에 포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어찌되었던 간에 x에 절대값을 씌우고 k를 구하여도 무방하다는 말과 동일하다. 실험2에서 사용될 용수철 상수는 2개의 용수철 모두 실험1에서 사용된 용수철 상수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직렬 및 병렬 용수철 상수를 구한다. 실험 2) 주기 측정하기 note : 실험 순서의 경우 용수철 1개를 사용한 측정 결과에서 왼쪽에서 오른쪽(T : 1.607 -> 1.603 -> 1.949 -> 1.936)으로 그리고 용수철 2개를 사용한 측정 결과에서 왼쪽에서 오른쪽 순(T : 2.265 -> 2.715 -> 1.136 -> 1.374)이다. 그림 3. 실험1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4. 실험2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5. 실험3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6. 실험4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7. 실험5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8. 실험6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9. 실험7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그림 10. 실험8 시간에 따른 변위 그래프 순서 측정 주기 T(s) 이론적 주기(s) 상대오차(%) 1 1.607 측정 주기와 이론적 주기 및 상대오차 이론적 주기의 경우 T`=`2 pi ` sqrt {{M} over {k}}를 통해서 구하였다. M은 각 실험마다 측정한 값으로 그리고 k는 7.7352실험 1에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였다. k _{직렬} `:`( {1} over {k} `+` {1} over {k} ) ^{-1} `=` {k} over {2} =3.8676 k _{병렬} `:`k+k`=`2k`=`15.4704 7. 결과에 대한 논의 실험1은 용수철 상수(k)를 훅의 법칙 F=`-kx을 통해서 구하는 것이 목표였다. 만약에 실험을 잘못하여 용수철 상수를 이상하게 구하였다면 실험1의 결과로는 그래프를 통해 관찰하는 수 밖에 없고 잘못된 수치를 사용하여 실험2에서 결과가 이상하게 나오는 것을 통해서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험1의 경우 선형적으로 잘 결과값들이 추세선을 따라가기에 F=`-kx(훅의 법칙)가 잘 성립하고 용수철 상수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 2에서 용수철을 1개 사용한 경우 초기 진폭을 달리하여 실험을 하였지만 예상한바와 같이 초기 진폭은 주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2 pi ` sqrt {{M} over {k}}로 진폭에 관한 term이 존재하지 않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을 예상하였고 실제로도 그러하였다. 이는 실험2의 용수철을 여러 개 사용한 경우도 만약 물체의 무게를 같게 하였으면 그러하였을 것이다. T`=`2 pi ` sqrt {{M} over {k}}이기에 M을 증가시키면 주기가 증가하고 k가 증가하면(직렬의 경우 의미) 주기가 늘어날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2. 주기 측정하기 파트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실험 5와 6의 그래프는 다른 그래프에 비해서 주기가 큰 것을 확연히 볼 수 있었다. M을 증가시킨 경우는 수치적으로 주기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실험의 경우 오차가 매우 작은데 그 이유는 tracker프로그램에서 샘플링된 데이터 수가 다른 실험들에 비해이 증가하였고 용수철 상수 역시 잘 구하였기에 큰 오차없이 결과가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오차가 존재하는 데 그 이유를 분석해보면 미분방정식의 해가 x=`A _{0} cos(wt+a)로 지속적으로 정현파가 나와야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원인이다. M {d ^{2} x} over {dt ^{2}} `=`-kx를 통해서 미분방정식을 풀었지만 실제로는 다른 힘들(마찰력, 공기저항)도 작용하고 있고 따라서 시스템을 생각해보면 s-domain에서 pole이 LHP에 있는 즉 다시 말해 time domain에서는 미분방정식이 감소하는 해인 e ^{- sigma t}인 term을 지니고 원래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게 되었기에 그래프가 진동하면서 점차 초기상태로 수렴하는 형태를 보였다.참조3 그리고 또 다른 오차 원인으로는 직병렬 용수철을 사용할 때 실험1의 용수철 상수를 2개의 용수철에 대해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엄밀히 따지면 용수철 상수는 용수철의 힘 혹은 유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로 각각의 용수철마다 다른 값을 갖는다.참조4 따라서 2개의 상수가 비슷하더라도 같진 않기에 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였다. 8. 결론 이번 실험은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를 관찰하고 주기에 물체의 질량 및 용수철 상수가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는 것이 목표였다. 실험1에서는 용수철 상수(k)를 훅의 법칙 F=`-kx을 통해서 구해보았고 측정 결과들도 추세선을 따라서 선형적인 분포를 보였다. 실험2에서는 주기에 어떤 parameter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 훅의 법칙에서 유도된 T`=`2 pi ` sqrt {{M} over {k}}을 이용하였다. 초기 진폭의 경우 주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9. 참고문헌 및 출처 1) 일반물리실험, 제6판, 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2017, p.377 ~ p384 2) 훅(Hooke)의 법칙, https://blog.naver.com/moeblog/220429063671 3) 라플라스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4.06.2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일반물리실험2 교류회로
    의 오차는 대체로 균일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마일러 축전기의 허용 오차와 구조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로 유추할 수 있었다.참고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일반물리실험』, 5판; 민음사, 2019, pp 247~251page PAGE \* MERGEFORMAT2 ... 물리학도를 위한 물리실험(Ⅱ) 9주차 보고서교류회로실험 목적저항기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직렬 RC 회로에서 교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교류 회로에서 저항과 전기용량의 특성 ... .1Hz로 설정한다.멀티미터 두 대에 표시되는 전압을 동시에 영상으로 촬영하여 1초 단위로 각각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전압과 전류 간의 위상차를 비교한다.실험 2) C 회로실험 1
    리포트 | 13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일물실] 일반 물리실험 '전류 저울' 실험 결과 보고서
    을 줄 수 있을 수 있다고 이번실험으로 알게 되었다.참고 문헌 및 출처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 일반물리실험 5판, 청문각PAGE \* MERGEFORMAT10 ... 일반물리실험 보고서전류 저울실험목적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측정하여 자기장을 계산하고 전류와 자기력과의 관계를 이해한다.실험원리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자기장 ... ) , 멀티미터 , 직류 전원 공급기(3A)실험방법.직류전원 공급기의 정전류 상태 설정(1) 직류 전원 장치의 출력 단자에 아무것도 연결시키지 말고 전원을 켠다.(2) 전압 조정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11.0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이성분계 단순증류 예비보고서
    실험목적증류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유기산, acetone, diketone 등의 유기물질과 물의 2성분계를 시료로 하여 단순 증류를 행하여 이에 대한 물질 수치를 구하고 이론치와 실험치를 비교 고찰한다.실험이론증류 (distillation)액체 혼합물을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열하여 나오는 증기를 냉각시켜 다시 액체로 하여 받이기에 모아두는 조작으로 용액 중의 성분을 분리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는 액체 혼합물의 각 성분의 휘발도 차이를 이용하여 증발 응축을 조합해서 원액보다 휘발되기 쉬운 부분과 휘발되기 어려운 부분으로 나누는 조작으로 화학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물리적인 성질을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이다.증류법단순증류 (Simple distillation)일정량의 비휘발성 물질과 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혼합 액체를 증류 장치에 넣고 열을 가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응축기로 냉각시켜 시간에 따라 비점의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가장 단순한 증류법으로 액체 불순물이 섞여 있는 끓는점 차이가 비교적 클 때 이용하는 방식이다.시간과 비용이 적게 든다비등점이 비슷한 물질은 분리하기에 어렵다분별증류 (Fractional distillation)두 종류 이상의 액체를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끓는점이 낮은 것부터 차례대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플라스크 위에 설치한 분별 증류관의 높이에 따른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기화와 액화가 반복되도록 하여 분리효율을 높인 증류 방법.단순 증류보다 효율은 좋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가까운 비등점을 가진 물질을 분리하기에 용이하다증기압액체 또는 고체에서 증발하는 압력으로 증기가 고체나 액체와 동적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포화 증기압.이론적인 법칙으로는 비 휘발성이면서 비전해질인 물질의 용액의 증기압은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에 용액속에 존재하는 용매의 몰분율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Raoult의 법칙 (Raoult’s law)이상 혼합물의 경우 용액 A 가 의 몰분율 만큼 존재하고, 용액 B가 의 몰분율 만큼 존재하면(P : 용액의 증기압, : 실험 온도에서 A의 순수한 증기압, : 실험 온도에서 B 의 순수한 증기압)비휘발도 (상대휘발도, )혼합액상과 증기상이 평형일 때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휘발도의 비Rayleigh 식분축이 없는 단증류에서 유출량과 잔류액 조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여기에서 완전히 보온한 플라스크에 2성분 혼합액(그 액량을 L0, 끓는점이 낮은 성분의 조성을 x0로 한다)을 넣어 증류하고 잔액량이 L, 조성이 x가 되었을 때에 액 조성에 평형인 증기 조성을 y로 하여 얻은 식을 적분하여 얻은 식굴절계굴절률이 알려져 있지 않은(n) 물질을 굴절률이 알려져 있는(n°) 물질을 붙여 놓고 그 경계면으로 빛을 조사하였을 때 전반사 되는 때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굴절률을 구하는 기계로 굴절률(n)은 로 계산이 되며 빛이 물질을 통과하는 속력을 진공 중에서의 속력의 비로 계산한 값으로 단위가 없다. 표준 굴절계는 액체나 고체 상태의 투명한 물질에서 빛이 굴절하는 정도를 측정하며 이를 활용하여 액체물질의 종류를 알아내거나 표본에 불순물이 있는 정도,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의 농도를 알아내는 데 사용한다.(묽은 시료일 때는 프리즘과의 사이에 굴절률 차이가 크게 되어 크게 굴절하고 짙은 시료일 때는 프리즘과의 사이에 굴절률 차가 적게 되어 적게 굴절) ◀ 굴절지수실험방법시료 및 시약에탄올 (C2H5OH)끓는점: 78.32℃ (1atm)분자량: 46.07밀도: 0.789g/㎤증기압: 43.5mmHg (20℃)굴절률: 1.361 (20℃)물 (H2O)끓는점: 100℃ (1atm)분자량: 18.02g/mol밀도: 1g/㎤증기압: 17.5mmHg (20℃)굴절률: 1.330 (20℃)Asbestos(보온재)석면내구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하고 값이 쌈비등석 (끓임쪽)액체가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갑자기 끓어오르는 현상을 방지 (내열성+다공성 재질)실험기구알린냉각기(Allihncondenser)내측의 관에 몇 개의 공 모양으로 불룩해진 곳이 있고 외측의 관 사이에 냉각수를 통과하는 형태의 유리제 냉각기.증류, 환류 냉각기로 사용된다.ABBE 굴절계빛에 대한 물질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수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비메스실린더, 화학저울, 가열장치, 온도계50wt% 에탄올 수용액 350ml 제조에탄올 + 증류수 (wt%)50질량(g)에탄올154.360g (=195.640ml x 0.789g/ml)증류수154.360g부피(ml)에탄올195.640ml증류수154.360ml: 에탄올 ml, 증류수 ml실험과정증류관은 500 ml 증류 플라스크를 사용하고 석면(asbestos)로 충분히 보온한다50wt%의 에탄올 수용액 350ml를 만든 다음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약간의 비등석을 넣는다냉각기에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한다냉각기의 물은 찬물이 아래로 들어가 위로 나오도록 비스듬히 설치한다가열된 증기가 냉각기를 통해 액화되게 하여 최초로 유출액이 나오면 이를 ‘초류점’이라 한다.일정시간마다 유출액의 부피와 농도를 측정한다계속 증류하여 반 정도 유출되었을 때 가열을 중지하고, 플라스크 내 액체의 온도가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킨다.상온에 도달한 플라스크 내 액체의 굴절률을 굴절계를 이용해 측정하여표로부터 에탄올 수용액 농도를 구한다.Rayleigh 식을 이용하여 잔류액량으로 조성의 이론값을 구하고 실험을 통해얻은 측정값과 비교한다.- 굴절계 사용법1. 프리즘을 알코올에 적신 솜으로 가볍게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이때 프리즘이 긁히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2. 물을 순화시킬 수 있도록 항온조와 프리즘 덮개를 연결한다.3. 프리즘을 들어서 바닥에 시료 용액을 2~3방울을 떨어뜨린 다음 프리즘을덮어서 고정한다.4. 망원경의 시야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이 정확하게 ½이 될 때까지조절나사를 돌려서 프리즘을 이동시킨다.5. 시야를 반으로 나누는 선이 정확하게 교차선이 만나는 점에 오도록 조정한다.6. 눈금을 읽는다.7. 한 시료의 측정이 끝날 때마다 프리즘과 바닥을 알코올 솜으로 닦아서청결하게 한다.실험결과시간 (min)실린더(g)실린더 + 용액 (g)유출액질량 (g)유출액부피 (ml)굴절률*************56307358409451050실험 시 주의사항굴절계 취급 시 램프 파손주의증류장치를 클램프로 고정시킬 대 유리기구가 파손되지 않도록 클램프와 유리 사이에 코르크나 헝겊 같은 것을 끼우고 클램프로 서서히 죄어 고정한다.증류플라스크의 목을 고정시키는 클램프의 방향은 실험하는 사람을 향하도록 한다.가지달린 플라스크를 암면 등으로 충분히 보온하여 증기가 부분적으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한다.연결부분에서 액체나 기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의한다,레일리식 계산 시 단위 주의출처 및 참고문헌화공 기초 실험, 부산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김원호NIST Chemistry Web Book002분반 4조 텀페이퍼 (2021)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3.01.01
  • [일물실] 일반 물리실험 '음파의 성질' 실험 결과 보고서
    할 수 있었고진동수를 변화 시킬때마다 소리가 변하는 것을 알수있었다.파의 속력을 구해보면서 온도가 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깨달았다.9. 참고문헌 및 출처1. 일반물리실험교재 5판 (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 일반물리실험 보고서음파의 성질1. 실험 목적관 속에서 파의 공명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음파의 파장과 속도를 측정한다.2. 실험 원리기체 속에서 압력의 요동 ... ()이다.3. 실험 기구 및 재료공명 관 장치, 함수 발생기, 헤드폰 증폭기, 헤드폰4. 실험 방법(실험 1) 공기 기둥의 한쪽이 막힌 경우(1) 실험실 내부 온도를 기록한다..(2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11.0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광학실험 실험보고서 - 간섭과 회절
    문헌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광학실험매뉴얼, 간섭과 회절.pdfpage PAGE \* MERGEFORMAT2 ... , 우 – Holes)2) 532nm Green 레이저결론 및 검토이번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슬릿을 통과한 빛의 세기를 위치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슬릿의 구조에 따른 회절 및 ... 광학실험 8주차 보고서간섭과 회절실험 목적슬릿의 구조에 따른 회절 및 간섭무늬를 관찰하고, 그 관계에 대해 확인한다.실험 원리단일 슬릿의 회절, 좌: 폭이 a인 단일 슬릿
    리포트 | 15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4.03.09
  • 부산대학교 일반물리 실험 A+ 자료 ( 단조화 운동 )
    학과: xxxxxx부 학번: 20xxxxxx 이름: xxx 공동실험자: xxx 담당교수: xxx 담당조교: xxx 실험날짜: 20xx년 x월 x일 제출날짜: 20xx년 x월 x일 제 17장 단조화 운동 1.실험목적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의 운동 방정식과 해를 살펴보고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단조화 운동을 한는 물체의 특성을 배운다. 2.실험원리 물리학에서 단조화운동은 자연계의 많은 현상들을 기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 진자, RLC 전기회로, 고체물질이나 분자 내에서 원자의 진동 등은 근사적으로 단조화운동으로 기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험에서는 몇가지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진동하는 물체의 운동상태를 관찰하고 주기를 측정하여 주어진 조건에 따라 진동하는 물체의 운동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본다. 물체가 두개의 용수철 끝에 매달려 있는 경우를 살펴보자. 용수철 상수를 k, 물체의 질량을 M, 평형점 x_0로부터 늘어난 길이를 DELTAx라고 하면 용수철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복원력)은 Hook의 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ec { F}= vec {F _{ 1} }+vec {F_2 }=-k(vecX + DELTAvecx )+k(vecX - DELTAvecx ) = -2k DELTAvecx (17.1) 식 (11.1)에서 DELTAvecx를 vecx로 두면 물체의 운동방정식은 M{ d^2 x} over {dt^2 } = -2kx (17.2) 이 된다. 이 미분방정식의 일반해는 x=A_0cos(wt+ alpha ) (17.3) 이다. 여기서 A_0는 진동을 하는 물체의 진폭, w(=root2k/M)는 각 진동수, alpha는 초기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w=2pif를 이용하면 주기 T는 다음과 같다. T=1/f={2pi over w} = 2piroot{M over 2k} (17.4) 3.실험 기구 및 재료 트랙(track), 수레, 저울, 용수철, 도르래, 수평계, 초시계, 실, 추와 추걸이 4.실험 방법 실험1 수평면에서의 진동 1. 수레의 질량을 측정하고 수평계를 이용하여 트랙의 수평을 조정한다. 2. 용수철을 수레와 트랙 끝단에 연결하고 수레의 평형점 위치를 기록한다. 3. 추걸이를 도르래를 거쳐 수레에 연결한다. 4. 추의 질량(m)을 증가시키면서 수레의 위치와 추의 질량(추걸이 질량 포함)을 기록한다. 5. 힘 F(=mg)와 평형점으로부터의 위치 x에 대한 그래프를 그린다. 그리고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직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이 기울기가 용수철 상수의 두 배 2k가 된다. 6. 수레에 묶인 실을 떼어내고 평형 위치에서 수레의 초기 진폭 A_0을 적당하게 선택하여 진동시킨다. 7. 수레가 5번 진동한 시간을 반복 측정한다. 8. 수레의 초기 진폭을 다르게 한 후 5번 진동한 시간을 반복 측정한다. 9. 식 (17.4)을 이용하여 주기 T를 구한다. 10. 수레에 질량을 추가한 후, 7~9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2경사면에서의 진동 1. 스탠드를 사용하여 장치를 5 DEG~10 DEG 정도 기울인다 2. 평형 위치에서 수레의 초기 진폭 A_0을 적당하게 선택하여 진동시킨다. 3. 수레가 5번 진동한 시간을 반복 측정한다. 4.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주기 T를 구한다. 5. 용수철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1) ~ (3)과정을 반복한다. 6. 용수철 2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1) ~ (3)과정을 반복한다. 5.측정값 실험1 수평면에서의 진동 평형점위치: 수레의 질량 m(kg) F(=mg) 수레의 위치(m) x(m)   0.055 0.554 0.58 0.07   0.102 0.999 0.64 0.13   0.149 1.457 0.71 0.19   0.196 1.921 0.76 0.25   0.246 2.406 0.82 0.31   측정값으로부터 F-x에 대한 그래프를 그린다. 최소 제곱법을 이용하여 구한 기울기 : 2k=7.71N/m 용수철 상수 : k=3.86N/m M(kg) 0.512 0.559 A0(m) 0.12 0.17 0.12 0.17   5번 진동한 시간 5번 진동한 시간 5번 진동한 시간 5번 진동한 시간 1 7.73 7.63 8.08 8.12 2 7.82 7.71 8.18 8.21 3 7.51 7.59 8.13 8.01 4 7.57 7.48 8.09 8.03 5 7.69 7.81 7.98 8.11 평균 7.66 7.64 8.09 8.09 표준오차 0.11 0.11 0.12 0.11 실험2 경사면에서의 진동       직렬연결 병렬연결 M(kg) 0.512 0.512 A0(m) 0.05 0.05   5번 진동한 시간 5번 진동한 시간 1 10.97 15.36 2 10.95 15.81 3 10.93 15.18 4 10.97 15.42 5 10.88 15.61 평균 10.94 15.48 표준오차 0.03 0.03 6.실험 결과 M(kg) 0.512 0.559 A0(m) 0.12 0.17 0.12 0.17 실험1 T 7.66 7.64 8.09 8.09 이론값 8.10 8.10 8.46 8.46  상대오차 0.44 0.46  0.37 0.37   1개 연결 병렬연결 M(kg) 0.512 0.512 A0(m) 0.05 0.05 실험2 T 10.94 15.48  이론값 11.44 15.97 상대오차 0.50 0.49 7.결과에 대한 논의 질문 및 토의 1. 실험 2에서 트랙을 기울이는 이유를 설명해 보자. 실험 1은 실험기구의 특정상 2k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2k를 쉽게 구하기 위해서 기울 기를 기울여서 실험 1에 비해 2k를 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다.. 2. 실험 1의 결과와 실험 2의 결과에서 용수철 상수가 2k일 때를 비교해 보자. 다른 조건은 같다고 보았을 때 수평면과 경사면에서의 진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1)이론상으로는 병렬연결된 용수철의 상수가 직렬 연결된 용수철 상수보다 4배가 크고 주기는 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서는 결과 값이 그 반대의 양상의 값을 보이고 있다. 아마도 실험자가 기록을 할 때 기록하는 위치를 헷갈려서 잘못 기록한 것 같다. 다음에는 이런 일이 없도록 주의 하겠다. (2)수평면에서의 진동이 일어날 때 물체의 위치에너지에는 변화가 없지만 기울기를 기울였을 때에는 위치에너지의 변화가 생기고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를 고려할 때 수평면에서의 진동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 {1} over {2} kx ^{2} = {1} over {2} mv ^{2}와는 다르게 {1} over {2} kx ^{2} = {1} over {2} mv ^{2} +mgh라는 식으로 계산을 해야한다. 이번 실험은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가 있을 때 그 물체의 질량, 주기, 진폭과 용수철 상수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물체의 주기는 물체의 질량의 제곱근과 비례하고 용수철 상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며, 물체의 진폭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오차가 발생한 원인은 아마도 수레와 트랙사이의 마찰과 공기의 마찰때문이고 실험자의 측정오류일 것이다. 이번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차와 트랙사이의 마찰을 줄여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는 바퀴에 기름같이 마찰력을 줄이는 것을 칠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로 차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외형을 갖추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기를 구하는데 중요한 정확한 용수철 상수 값과 정확한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오차를 줄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 참고로 실험과는 무관하지만 F=kx=mg임을 이용하여 k(용수철 상수)의 값을 구해보면 각각의 용수철 상수가 3.84, 3.45로 나온다. 실험에서 구한 2k값은 7.71인데 이 값은 3.84와 3.45를 더한 값인 7.29와 유사하다. 또한 {1} over {2} kx ^{2} = {1} over {2} mv ^{2} +mgh임을 이용하여 물체의 속력 또한 구해 낼 수 있다. 8.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기록에는 문제가 있어 보이나 이 값들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다면 주기는 rootM와 root{1over 2k에 비례하는 모양이 나온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과실 오차는 작은 편에 속하는 실험이라고 생각해서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실험이다. 9.참고 문헌 및 출처 책제목 : 일반물리실험 판수 : 개정3판 지은이 : 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출판사 : 청문각 제작년도 : 2014년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6.14
  • 액체, 고체의 밀도 측정 예비레포트
    화공생명기초실험실험 1 예비 report[액체, 고체의 밀도 측정]실험목적: 비중병으로 분말과 액체의 밀도를 측정한다.실험 이론① 밀도: 밀도란 물질의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한다. 부피는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밀도를 표기할 때는 온도도 같이 측정해주어야 한다. 밀도는 ρ(로)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단위: g/ml, g/cm3 등)밀도는 세기 변수로 양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밀도는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므로 엄밀하게 밀도를 얘기할 때는 어떤 온도와 압력에서의 밀도인지를 말해야 한다. 하지만 고체나 액체의 밀도가 온도나 압력에 아주 민감하지는 않으므로, 보통 온도와 압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1 기압 실온에서의 밀도를 그냥 밀도라고 하기도 한다.② 비중: 비중은 물질의 고유 특성으로서 기준이 되는 물질의 밀도에 대한 상대적인 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의 경우 4 °C, 1atm 물을 기준으로 하고, 기체의 경우에는 0 °C, 1atm 공기를 기준으로 한다.SG = / ref (:어떤 물질의 밀도, : 기준 물질의 밀도③ 아르키메데스 원리: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어떤 물체를 유체에 넣었을 때 받는 부력의 크기가 물체가 유체에 잠긴 부피만큼의 유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는 원리이다. 이를 아르키메데스 부력이라고 하며, 이는 유체에 잠긴 물체의 형태에 무관하며 유체의 특성에 관계없이 나타난다.(F: 단위질량당 부력 크기, g: 중력 가속도, ρ: 부력을 받는 유체 덩어리 또는 물체의 밀도, ρ0: 주변 유체의 밀도)④ 밀도 측정_비중병1) 액체: 병이 비었을 때와 시료를 채웠을 때의 질량을 구하여 순수 시료의 질량을 구한 뒤, 비중병의 부피로 나누어 주면 밀도를 구할 수 있다.:비중병 질량, :증류수를 가득 채운 비중병 질량, 액체 시료를 채운 비중병 질량,:측정 온도에서의 액체 시료 밀도)2) 고체: 병이 비었을 때와 시료를 채웠을 때의 질량을 구하여 순수 시료의 질량을 구한 뒤, 비중병의 부피로 나누어 주면 밀도를 구할 수 있다. 고체 시료의 경우 주변물질과의 밀도비(비중)를 알 수 있는데, 해당 온도에서 주변물질의 밀도를 곱해주면 고체의 밀도를 알 수 있다.실험 시료 및 기구① 고체시료1) PP (Polypropylene)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밀도는 0.905g/cm³, 녹는점은 130°C~165°C이다. 용도는 이불솜, 돗자리, 보온병, 섬유, 의류, 파이프, 잡화 등 폭넓게 쓰인다.2)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이다. 밀도는 0.91~0.93g/cm³. ethylene(CH2=CH2)에 산소나 과산화물 등의 라디칼 개시제를 가하여 150~300℃, 1,000~3,000kg/cm2의 조건에서 중합시켜 만든다. 기계적 강도는 떨어지지만 가공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투명필름, 단열재 등으로 쓰인다.3)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LDPE와 마찬가지로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이다. 밀도는 약 0.95g/cm³.알킬알루미늄-할로겐화 티탄을 촉매로 하는 저압법(치글러 법)과 실리카-알루미나-크로미아 촉매에 의한 중압법(필립스 법)으로 만든다. LDPE와는 반대로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가공성 등이 약간 떨어져 콘테이너, 파이프 등으로 쓰인다.4)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역시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이다. 투명성이 좋고 부드러워 포장재료나 공업용, 농업용 필름에 적합하다. 밀도는 약 0.92g/cm³.② 액체시료1) 증류수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말한다. 밀도는 1.000g/cm3무색 투명, 무미, 무취의 액체이다. 증류수는 유기물 등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주사액, 약품의 조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어는점은 0℃, 끓는점은 100℃ 이다.2) 에탄올화학식은 C2H6O. 사슬모양의 탄화수소 중 탄소의 수가 2개인 에테인(C2H6)에서 수소 원자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화합물로, 휘발성과 가연성을 가진 무색 액체이다.밀도는 0.789g/cm3. 어는점은 -114℃, 끓는점은 78℃ 이다.3) 아세톤화학식은 CH3COCH3. 가장 간단한 케톤으로 향기가 있는 무색의 액체이다. 유기용매로서 다른 유기물질과 잘 섞이며,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되나 폭발 위험이 있다. 밀도는 791kg/m³. 어는점은 -94.6℃, 끓는점은 56.5℃이다.③ 실험기구: 비중병, 화학저울, 온도계, 비커실험 방법① 고체의 밀도 측정1) 비중병을 씻어 건조한 다음 그 질량을 M0이라 하고, 비중병에 고체 시료를 넣고 측 정한 질량을 M1이라 한다. 즉 분말의 질량은 (M1 - M0) 이 된다.2) 위 비중병에 에탄올을 넣고 열탕에서 가열하여 고체시료와 에탄올 중의 기포를 제거한다.3) 실온(T℃)으로 냉각시킨 다음 모세관 뚜껑을 닫아 흘러 넘치는 액체를 닦고 질량을 측정하고 이를 M2라 한다.4) 이번엔 비중병에 시료를 제외한 에탄올만 채우고 모세관 뚜껑을 닫고 위와 같이 질량을 잰다. 이 질량을 M3라 한다.5) 1)에서 4)까지의 과정을 세번 반복한다.6) T℃에서 시료의 비중(St)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2)에서 에탄올은 인화성이므로 실제 실험시에는 가열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 없이바닥을 쳐서 제거한다.7) T℃에서 시료의 밀도(ρt)는 T℃에서 에탄올의 밀도를 ρe 라 하면 다음과 같다.② 액체의 밀도 측정1) 비중병을 씻어 건조한 다음 모세관 뚜껑과 함께 잰 질량을 M0이라한다.2)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우고 구멍을 통해 나오는 유실분은 닦은 뒤 증류수의 온도를 재고(T1) 모세관 뚜껑을 닫고 측정한 질량을 M1이라 한다.3) 증류수와 아세톤의 질량비가 1:1이 되는 시약을 만든다(50wt% 아세톤)4) 비중병에 50wt% 아세톤을 채우고 구멍을 통해 나오는 유실분은 닦은 뒤 시약의 온도를 재고(T2) 모세관 뚜껑을 닫고 측정한 질량을 M2라 한다.5) 비중병에 아세톤을 채우고 구멍을 통해 나오는 유실분은 닦은 뒤 시약의 온도를 재고(T3) 모세관 뚜껑을 닫고 측정한 질량을 M3라 한다.6) 1)에서 5)까지의 과정을 세번 반복한다.7) 비중병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액체의 밀도(ρ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실험시 주의사항-에탄올은 인화성의 위험이 있으므로 실제 실험시에는 가열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 없이 바닥을 쳐서 제거한다.-시료를 교환하였을 경우 증류수로 깨끗이 씻고 건조해야 한다.-고체 시료 주위에 공기 방울이 맺혀선 안 된다.-밀도는 온도에 민감하므로 원하는 온도를 잘 유지하면서 실험을 진행한다.-고체 밀도 측정 실험에서 뚜껑 위로 올라온 시료는 닦아낸다.-밀도가 물보다 낮아 시료가 물위로 뜰 경우엔 표준 물질을 다른 것으로 바꿔야한다.-안전 사고에 유의해 복장을 제대로 착용한다.참고 자료 및 문헌물리학백과(한국물리학회)_밀도, 비중기상학백과(한국기상학회)_아르키메데스 원리,화공기초실험, 부산대학교 화학공학과표준일반화학실험(5차개정판), 대한화학회, 2002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0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화학및실험]유리기구의 불확실성 결과레포트
    . 8. 참고 문헌 1) 서울시립대학교 일반화학실험 교양책 2) 부산대학교 일반물리실험실 오차론 https://gplab.pusan.ac.kr/gplab/44361/subview.do ... 224KR 사용범위 : max 220 g 정밀도 : 0.0001 g ②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부피(mL) 2.00 mL 5.00 mL 10.00 mL 실험횟수 1회 2회 ... : 10.03±0.17 mL 이다. ③ 피펫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부피(mL) 2.00 mL 5.00 mL 10.00 mL 실험횟수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4.08.20 | 수정일 2024.08.2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