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된다. 따라서 반(反)형식주의(Anti-Formalism)로 축약되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렘쿨하스의 건축은 컬럼비아 대학의 건축이론가이자 비평가인 케네스 프램프턴(Kenneth ... Rem Koolhass/OMA현대 건축사실내디자인 공학과199820048, 199998008김 동 현 , 김 건 우2004. 06. 12.정 선 영 교수님◎램 쿨하스그가 런던 ... 에세이와 사진, 선언서, 일기, 알 듯 모를듯한 명상적 언어... 등이 그저 꾸러미처럼 묶인 책(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쿨하아스는 이 책을 꾸러미라 스스로 칭하고, '건축에 관한
디자인은 하나의 현상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관한 리움 미술관의 설계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름인 렘쿨하스가 디자인한 프라다의 뉴욕 소호 매장, 빌바오 구겐하임을 설계 ... 하여 소비자가 제품에 관한 정보를 광고를 통해 접하게 될 때, 소비자는 그 정보에 반응하게 되는데, 이런 반응 과정을 설명해 주는 모델이 바로 계층효과모델이다. 계층효과모델이란
적 전통에 신선한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렘쿨하스 . 그는 이른바 포스트모던 (Post-modern)의 시대에 네오 아방가르드 (Neo Avant-garde)로서 기성문화와 건축의 ... 을 하며 독일의 합리주의 건축가 웅거스(O.M. Ungers)의 유형학과 형태론에 관한 가르침을 받고, 뉴욕에서 피터 아이젠만과의 만남도 중요한 사건이다무엇보다도 그에게 많은 건축 ... 는 별개이다.4) 크기에 관한 한 거대한 건물은 선과 악을 떠나 윤리 영역을 벗어난다.5) 거대한 건축은 스케일, 건축적 구성, 전통, 투명성, 윤리등과는 관련 없다. 거대한 것은 더
관점으로 나누어 생각될 수 있다. 먼저, 그 하나는 네덜란드의 건축가 그룹인 OMA의 리더격인 렘쿨하스가 러시아 구성주의 건축가인 이반 레오니도프의 디자인 형태를 인용해서 서구 ... 으로 해체적 건축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 후로 렘쿨하스와 관계를 가진 건축가들 - 그의 AA 스쿨의 자하 하디드 그와 함께 AA 스쿨 선생이었던 베르나르츄미, 또 그 ... 해체주의 디자인1. 용어의 정의해체는 오늘날의 예술과 건축, 그리고 문학비평 등에 있어서 가장 관심을 갖게하는 경향들 중의 하나이다. 예술가들은 작크 데리다의 해체에 관한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