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宋錫夏가 소장했던 것으로 왕력과 제1권만 남은 殘本으로 현재 소장처는 不明이며 송은본 또한 잔본으로 현재 郭永大가 소장하고 있는데 석남본.송은본을 모사한 필사본이 고려대 중앙도서 ... 이 행해져 이 시기 고판본의 인본인 석남본과 송은본이 현존한다.석남본은 송석하가 소장했던 것으로 왕력과 제1권만 남은 잔본으로 현재 소장처는 불명이며 송은본 또한 잔본으로 현재 곽영대 ... 가 소장하고 있는데 석남본.송은본을 모사한 필사본이 고려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본서는 1512년(중종 7) 경주부윤 이계복이 중간한 중종임신본(정덕본)이다.현재 권말의 발문
에 안주하면서 금에 사대하려는 인물을 서술하였다. 윤관(?~1111)은 문과에 급제하고 출사하였다. 1095년(숙종 즉위)과 1098년에는 요와 송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수호를 닦 ...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원에서 귀국하여 공민왕의 전폭적인 신임하에 이부시랑 한림직학사 겸사관편수관지제고 겸병부낭중에 발탁되어 문·무관의 인사행정과 문한을 주관하면서 공민왕의 개혁 ... ) 성균관대사성으로서 이인임 등이 주장하는 배명친원에 반대하고 유배되기도 하나, 곧 복직되어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384년(우왕 10) 명에 파견되어 공민왕 사후 단절되었던 명과의
을 한몸에 받게되었다. 885년 당나라의 모든 영광을 물리치고 그는 고국으로 돌아왔다. 귀국하자 그는 곧 한림학사에 입명되었다. 그러나 그 무렵 신라의 운명은 이미 기울어져 가고 있 ... 었으나 지금 전해지고 있는 것은 과 몇 수의 시뿐이다.2.설총( 聰)?~? 통일 신라 시대 학자.원효 대사의 아들로 어머니는 요석 공주이다. 소년 시절부터 총명하여 경사(經史 ... 와 계속 싸우다가 벼슬에서 물러났다. 이이의 학설을 칭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송시열,송규렴과 함께 3송 으로 불린다.7.정여창1450~1504 조선 문신,학자 호는 일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