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었던 곳이다. 이곳의 모셔진 위패의 주인공들로는 진종의 어머니인 정빈 이씨,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 장희빈으로 더 유명한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 원종의 생모인 인빈 김씨 ... 실존또 잠깐 잠이 들었습니다. 또 소변은 잠시 통했으나, 대변이 불통한지 이미 3일이나 되었습니다.”이에 박세거와 홍침이 들어가 진맥을 한 뒤에, 장금과 의논하여 오령산에 마황(麻黃 ... 사치하다 하여 혼가 납채일에 의녀를 보내어 그 물품들을 검찰하게 하였으며 10년 6월에도 진연시에 여기들과 함께 의녀들을 어전계상에 좌열케 하였다고 한다. 그 해 12월에는 의녀
하는 것을 보고 노하여 애매한 민중전을 내치고 불상한 태보를 죽이었으니 어찌 원통치 아니하리오. 중전 민씨는 환궁하고 장씨는 육시하고 간을 빼라 분부 하였다고 나타나 있다.이것 ... 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다. 인현왕후를 폐출한 것을 후회하던 숙종은 인현왕후를 궁으로 다시 불러들이고 중전이었던 장희빈을 희빈으로 강등시킨다. 그 후 중전의 자리에 있던 인현왕후는 병 ... 오면 충신이 되오리까. (중략) 소신이 이제 죽기는 원통치 않거니와 사백년 사직이 만분위태하기로 통곡하나이다 상이 무슨 고집인지 장씨의 재초간 듣고 기여이 죽기를 마음만 두시니 애매
되었다. 이때 소인배로 지목된 남곤과 훈적에서 삭제당한 심정 등은 조광조의 탄핵을 받은 바 있는 희빈홍씨의 아버지 홍경주와 손잡고 조광조 일파를 몰아낼 계략을 꾸며 왕의 마음 ... 의 폐단을 시정하고, 성리학(주자학)을 지도이념으로 내세웠다. 정도전은 ?불씨잡변?, 권근은 ?입학도설? 등의 철학서를 저술하면서 성리학을 지도이념으로 정립하였으며, 이를 사회개혁 ... 를 조상한다는 내용 이나, 실은 세조에게 죽은 단종을 조상하고 세조의 찬탈을 비난한다는 글이다.② 갑자사화(1504)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의 복위문제에 얽혀서
다. 원제는 『인현왕후 덕행록』이다. 숙종때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사이의 총애받기를 서로 다투는 내용을 주로 다룬 작품으로 조선조 궁중의 염정애사를 그린 내간체 문학이다. 숙정이 인현왕후 ... 이고 사도세자의 빈이었던 혜경궁 홍씨가 남편의 참변과 자신의 기박한 운명을 회상하여 자서전적으로 쓴 회고록이다. 『한중만록』이라고도 하며 한문으로 된 것 중에는 『읍혈록』이라는 것 ... 도 있다. 총4편으로 되어있는데 제1편은 정조19년 작자의 회갑 때 쓰여졌고, 나머지 3편은 순조1년에서 5년 사이에 쓰여졌다.☆지은이혜경궁 홍씨 - (1735-1815):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