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표현되게 하는 데 있어서 시가 정서를 순화하고 성정을 가다듬고, 희노애락의 감정이 중(中)을 유지하면서 화(和)를 이루는 것, 즉 중용의 덕을 성취하는 마음을 형성시킨다고 생각 ... 는 인위적인 문화를 부정하고 어린애와 같이 순박함과 自然의 섭리대로 살아가는 소박한 삶을 이상으로 제시하고, 인위적이고 외형적인 물질문명이 인간의 소박한 감각을 해치고 있음을 지적 ... 적으로 비야 한다(無爲政治)고 생각했다.유가가 치욕에 대하여 결벽한 태도를 고집한데 반하여 노자는 오욕에 더러워진 흙탕물과 같은 생활 모습을 이상으로 한다. 유가에서 음탕하지 않은 거처
, 애오욕자연상태에서 투쟁->惡(편험패란)기질지성▷ 예가 필요. 질서와 조화가 중요수양, 실천, 심성, 주체가 필요 ← 모두 善. 정리편치2 心사려(慮)능력(能)노력(僞) => 문화 ... 과 관련된 부분, 신과 관련된 부분이 따로 있다.도덕적 당위성을 이야기하는 것이 맹자!性性=본성* 특징 : 선천적, 보편적, 본질적 情인간의 육체적 본질 욕망(차별적임)- 희노애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