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제거하고 두풍을 치료하며 뇌중한을 치료하니 부족을 보하고 음기를 왕성하게 한다. 명의별록【地】(《圖經》曰)生益州山谷及越?山有銅處, 銅精熏則生.지역 본초도경에서 말하길 증청은 익주 ... 로운 물건은 황은으로 본초도경에 기재되어 있다.銀甕 丹甑, 非人所爲, 旣堪爲器, 明非瑞物.은 항아리와 단 솥은 사람이 만든 것이 아니니 이미 그릇이 되면 분명히 상서로우 물건이 아니
원판인 신 유문태 신 왕경, 신 왕반, 수직랑태의원어의 신 고정화등이 삼가 본초품휘정요를 편수했습니다.進呈者(臣)等, 誠惶誠恐, 稽首頓首, 伏以民生, 有欲式弘慮患之規.책을 올리 ... 가 없이 하늘을 우러러 폐하를 보고 격렬하고 두려움이 일어 삼가 본초품휘정요 42권(밖에 목록 1권)은 36질이 이루어 주상께 표로 아뢰어 폐하께서 듣게 했습니다.(臣)等誠惶誠恐 ... 《進本草品彙精要》表진본초품휘정요 표承德?太醫院院判(臣)劉(文泰)(臣)王槃, 修職?太醫院御醫(臣)高(廷和)等謹以所修《本草品彙精要》槃(쟁반 반; ?-총14획; pa?n)승덕랑태의원
지만, 어느것도 「증류본초」와 약리설과를 합병한 것이었다.칙선의「본초품휘정요」가 간행되지않고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데에 반하여 사찬의 「본초강목」은 완전히「 증류본초」의 지위 ... 의 기간서로서 중용되었지만, 그것과 동시에 약리를 설명한 많은 본초도 저작되었다. 「본초품회정요」와 「본초강목」과는 그 「증류본초」에 이어졌을 것이라는 의도의 기초로 만들어진 것이 ... 본초(本草)-개 요-* 본초의 정의* 본초학의 의미* 본초의 기원* 우리나라와 중국의 본초학의 발달 과정* 본초학 서적* 대표적인 본초 약제* 참고문헌본초에 대해 알아보기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