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동사(複合動詞)복합동사란 복수의 단어가 결합하여 생겨난 새로운 동사이다. 「동사+동사」의 형태가 제일 많으며 대개 동사의 ます형 뒤에 또 다른 동사가 붙어서 전체가 하나의 동사처럼 쓰이게 된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복합동사에는 앞부분에 오는 동사와 뒷부분에 오는 동..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Ⅰ. 서론Ⅱ. 본론1. 국어의 개념1) 정의2) 계통3) 특성(1 ... 으로 할 수 있는 어휘수는 그리 많지 않다. 신라어는 이들 자료 외에도 향가 25수의 차자표기(借字表記), 고대 일본어에 반영된 차용어 등으로 그 성격을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서술 ... 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신라어, 알타이 제어(특히 퉁구스제어), 고대 일본어 등 다른 언어의 어휘와 대응된다. 특히 알타이 제어 사이에는 수사(數詞)가 일치되는 일이 드문데 고구려어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Ⅰ. 기호의 개념1. 기호의 정의2. 기호이론3. 기호와 커뮤니케이션Ⅱ. 언어의 개념1. 언어의 정의 ... 의 '사람'이라는 기호는'人'이라는 시니피에와 /sa:ram/ 이라는 시니피앙이 연합된 것인데, 이 시니피에 '人'은 중국어의 /j?n/, 일본어의 /hito/, 영어의 /men ... 다- 家[자], 일본어 - 家[이에](2) 동음어와 동의어가 있다.예시) 동음어 : 손(手) - 손(客) - 손() / 동의어 : 꽃집 - 화원(花園)(3) 의성어와 의태어도 나라
언어학개론서 요약(「언어학 개론」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성백인, 김현권 공저)※주교재 '언어', 1학기때 배운 '국어학개론'도 참고했음.제1장 언어와 언어학언어란?1)말은 인간 ... 생각의 결정체이므로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는 힘들다.2)말의 실체를 알기 위해서는 문법의 연구가 필요하다.(문법: 구조나 원리 또는 현상을 발견 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정해놓은 '틀 ... 에 일어 날 때.유기음- 폐쇄의 개방 얼마 후에 성대가 진동하기 시작하는 것.초분절음①음조(높이): 문장이나 구절이 음조의 높낮이로 인해 의미가 달라지는 것.→ 문장이나 구절이 음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