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펜더(Pender)-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Model)III. 간호의 네 개념: 인간. 건강, 환경, 간호1. 인간homo Sapiens:인간은 생각하는 존재 ... )진 왓슨(Jean Watson)-돌봄의 과학이론(7)마가렛 뉴만(Margaret A. Newman)-건강모형이론4)간호이론의 발전 도약기(1980이후)(1)로즈마리 파시 ... ,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여 건강의 회복, 질병의 예방,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미국간호협회(ANA, 1980)간호
간호이론 Report - Nola J. Pender '건강증진 모델'놀라 펜더 Nola J. Pender(1941 - 현재)건강증진 모델(Health Promotion Model ...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연구하여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이라는 도구를 개발(Pender et al., 2002 ... 이나 맥락에 대한 사람의 지각과 인지는 행동을 방해하거나 강화할 수 있다. 건강증진모형에서 상황적 요인은 건강 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행위나 행위 결과에 바로
, 생물학적 특성을 재배치하여 개정된 건강증진모형을 제시하였다.(Pender, 1996)건강증진모형은 개인이 건강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동기화 시키는 복잡한 생리, 심리 ... 적 과정을 설명하는 지침이 된다.Ⅱ. 본론1. 건강증진모형의 개념건강증진모형은 건강을 추구할 때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인간의 다차원적인 본질을 묘사하기 위하여 Pender가 기대 ...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Pender는 건강한 생활양식(Healthy life style)의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건강보호 및 건강증진행위를 제시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적 건강행위를 위한 개념적 모형 (A conceptual model for preventive health behavior) 출판1982년- 간호실무에서의 건강증진 (Health ...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출판여기에서 건강증진모형을 처음 제시, 계속적인 연구 통해 수정모형 제시하고 있음(1987, 1996)1990년 이후- 미시간 ... 의 합리적 행위이론, 건강신념모형, 인간발달이론, 실험 심리학, 사회심리학 등)의 영향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터의 기대 가치 이론과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을 건강증진모형의 기본
되고 있다.(Padilla&Bulcavage) 이는 펜더Pender의 건강증진모형에서도 일부 변수들만이 사용되는 것으로 미루어서 알 수 있다. 또한 후향적 설계가 아닌 건강신념과 건강 ... Ⅰ. 서 론건강신념 모형은 1950년대에 보건 서비스의 이용과 보건 행태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서 예방적인 보건 행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당시 미국에서는 여러 예방 ... 에 관심을 갖게 된 이론이 건강신념 모형이다.로전스톡(rosenstock)은 이 모형이 레빈(Kurt Lewin)의 장 이론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고, 베커(Becker)는 이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