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 공동체 사회나 근세 한국의 농촌사회에서는 노동은 인간의 자연스런 삶의 활동으로 떳떳한 생활이었다는 점이다. 『한국 노동 민요론』, 김무헌 (집문당,1986) P.22즉, 이러 ... 는 민요의 일종으로, 놀음놀이를 할 때 부르는 의식요(儀式謠)나 의식을 치르면서 부르는 유희요(遊戱謠)와는 구별된다. 그 기능은 노동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킨다. 그리고 집단노동시 ... ·노동요의 위치는 달라진다. 하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민요의 기능에 의한 분류를 따르기로 하고, 노동요의 세부 분류를 올리고자 한다. 그래서 가장 일반적인 노동요의 분류표를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