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에 파리가 해방된 것을 필두로 다음 해 5월의 독일 항복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영토의 해방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고, '부역자', 즉 대독협력자들에 대한 첫 숙청 작업은 해방 ... 었다. 바른 대독협력(부역)은 이러한 '국가적 협력' 외에 일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적 협력', 기업가들의 '경제적 협력',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개인적 협력'(레지스탕스에 대한 밀고 ... 프랑스 과거청산의 해방직후의 과거청산과 전후세대의 과거청산에 대한 인식의 비교를 통한 민족주의적 입장의 비판Ⅰ. 프랑스는 과연 과거청산을 제대로 한 것일까?최근 몇 년간 일제강점
, 1995,p 139∼ p 161 참조노서경, , 《대구사학》 69집, 2002, p 189∼p 203 참조프랑스는 과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에게 4년간 점령 ... 부터 대독협력자들에 대한 처벌을 단호하게 진행시켰다. 심지어 1997년에는 유태인들을 소용소로 보내는 데 협조한 파퐁 이란 87세의 노인을 재판에 회부시켜 1998년 4월에 10년 ... 의 과거청산(1945∼1948)5. 프랑스의 과거청산 태도6. 맺음말인문대학 사학과 9822106 최용1. 머리말해방 직후 반민족 행위자 처벌의 불철저성은 그 이후의 현대 한국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