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質)의 생성과 전환에서 그 의미를 찾는다.둘째, 몸의 구성요소를 형태적·물질적 요소로 분할하지 않는 대신 기능적 연관을 중시한다.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에는 오장육부와 척추의 삼관 ... 인의 신체관을 살펴보는데 있어 동의보감만큼 적절한 텍스트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 책이 내경과 외형의 편을 두어 명시적으로 사람의 몸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논하고 있 ...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 동의보감에 근거하여 동아시아 의학의 신체관을 살펴보도록 한다.첫째는, 사람의 몸을 우주의 생성과 운행의 이치에 맞추어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