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아동들은 부모가 갖고 있는 도덕적 양심을 내면화 한다고 본다.신정신분석학에서는 죄책감이 개인화의 과정에서 생겨난다는 관점도 있다. 예컨대, Jung은 Freud가 생각하는 것 ... 능력으로서의 도덕성Ⅲ. 도덕성의 발달요인 및 도덕성 발달이론의 특징 비교정리1. 도덕성 발달이론의 형성배경(1) 사회학습이론적 입장(2) 정신분석학적 입장(3) 인지발달론적 입장(4 ... 가 어떻게 발달해 가는 것인지에관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2) 정신분석학적 입장Freud(1923)에 의하면 인격은 크게 원본능, 자아, 초자아로 구성되며, 개인의 도덕적 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