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설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밀란 쿤데라의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모스트 모더니즘의 선구적인 소설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내가 아는 포스트모더니즘은 형식이나 틀 ... 이 없다고 들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떤 틀이나 형식에도 구애 받지 않는 경향을 뛰고 있다. 그러기에 이 소설 역시 소설이 가진 일반형식을 따르지 않기에 소설을 이해하는데 ... 음만을 강조 하였던 시대를 벗어나 좋음-나쁨, 빛-어둠 등등 우리가 흔히 이분법적으로 경계를 분명히 하던 것들에서 벗어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맞게 모호한 경계 속에 무엇이 가벼운
의 파괴를 동시에 의미하듯이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영화 '슈렉'에서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공주의 이미지를 괴물로 표현했다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단적으로 말하고 있다고 할 수 있 ... 다.좀 더 나아가면 문학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독자 혹은 청중의 반응에 초점을 둔다. 문학텍스트는 예기치 못한 굴절과 예상을 깨는 선회를 하기도 한다. 이는 슈렉이 해피엔딩으로끝 ... 1. 포스트모더니즘이란?포스트모더니즘이란 간단히 플라톤 패러다임에서 니체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삶의 형식이라정의할 수 있다. 이때 플라톤 패러다임에는 진리, 이성, 원본, 토대
으로 패러디 문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할 지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1)문학작품패러디라는 개념이 현대 문학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패러디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이나 현대문학 ... 들이 사용되고 있는 흔적들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고전에서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패러디는 문학 창작의 주요한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독창성과 창조 ... 정리해 보면 우선 패스티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패러디는 자주 패스티쉬와 혼동되며 그 구분이 어렵다. 패스티쉬는 포스트 모던한 사회를 반영하는 예술행위 양식의 한 특징
대중문화의 이해대한민국에 울리는 판타지Ⅰ. 들어가며?? 포스트모더니즘이 일상화된 현시점에서 문화에 대한 국가나 민족 차원의 논의는 점차 그 가치를 상실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 슈렉?? 오늘날 판타지가 대표하는 장르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 가장 상업성이 짙은 분야가 게임 산업이다. 게임, 특히 롤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