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는 부제(副題)가 말하듯이, 1950년대에 대두된 부조리(不條理) 연극의 효시가 된 작품이다. 스미스와 마틴이라는 두 쌍의 부부가 등장하는 이 극은 플롯이 전혀 없는 상황 속 ... 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70년 극단 ‘가교(架橋)’에 의해 공연된 후, 여러 극단에서 공연하였다.**사무엘베게트**아일랜드 더블린 출생이다. 더블린의 트리니티칼리지를 졸업 ... 어졌고 사실주의 연극도 낭만주의 연극과 함께 이미 근대극에 속하기 때문이다.중세의 소극이래 풍속의 묘사는 프랑스 희극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사회 계층가운데 일반 서민이나 부
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고대에서 사실주의에 이르는 연극의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후에 여러 방면으로 나타난 현대 연극의 조류와 특징 그리고 그 중 흥미로운 부조리극에 대해서 ... 이후의 연극 흐름은 크게 표현주의와 부조리 극으로 찾아 볼 수 있었다. 표현주의는 19C 말∼20C 초에 대두되었다. 이 시기는 근대와 현대의 과도기적 전환기로서 양자론이나 상대 ... 를 추구하는 실존철학과 함께 나타난 연극 사조가 부조리극이다. 부조리극은 사실주의에 안주해왔던 전통적인 연극기법에 반기를 들고 소위 '反 연극'의 기법을 통하여 부조리한 상황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