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보이는 반면, 부산대, 전남대 등 로스쿨 유치가 긍정적인 지방대들은 입학정원을 확대하지 말자는 주의다. 한편 중위권 대학들은 3000명까지 늘릴 것을 강력히 주장하며, 하위권 대학 ... , 연세대, 한양대, 성균관대, 경북대, 부산대 등이 유리하며, 고등법원 소재 지역을 고려한다면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 전남대가 유리해진다. 각 지자체마다 로스쿨을 배치한다면 도내 ... 들을 흡수하리라는 전망이다.사회 경력이 입학 성적에 직결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공 분야가 특화될수록, 또한 법학과 많은 연계성을 가질수록 유리해진다. 특히 상경계나 공대 출신들의 영역
가 지방에 있을 뿐인데도 이러한 생각을 갖게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 지방대인 부산대의 수능 점수는 배치표상으로 소위 명문대라 불리는 연세대나 고려대의 하위권 학과 점수나 서울소재 ... 다는 데에 있다. 그래서 자기점수 내에서 높은 점수의 학교를 가기 위해 지방의 국공립대학을 갈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산대의 경우는 국립대 이면서 지방대이다. 집이 부산에 있 ... 는 학생이라면 집도 가깝고 점수도 상당히 높은(서울 상위권 대학정도의 점수)점수이다. 만약 이 학교를 지원했을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의 인식은 집안이 어려워서 부산대에 갔구나. 서울
,고려대,포항공대,과기대,경북대,부산대,전남대등 10여개 대학원을 집중 육성하여 전공심화 과정을 가지게 한다는 것이다. 대학교육의 목적이 전문인보다는 폭 넓은 지식을 함양한 교양인 ... 과(4명)는 지원자가 가장 적은 비인기학과 특히 응답자의 78%가 학점을 기준으로 전공을 결정하는 학교행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이 같은 결과는 지난해 12월 초 고려대 공대 학부 ... %(적극 반대25%)가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또 원하는 전공을 할 수 없다면 재수 편입을 하겠다고 말한 학생이30%나 차지했다」이와 같이 학부제의 도입함으로써 문제가 되고 있다.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