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가 강조되었다. 이 타율성 이론은 한국사의 일반 서술뿐 아니라 특수한 관점에서도 강조되었는데, 만선 사관, 반도적 성격론, 사대주의론 등이 그것이다.정체성론은, 한국이 왕조 ... 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일제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은 한국사의 사회 경제적 낙후성을 지적하는 단순성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이렇듯 낙후된 한국 사회를 근대화시키기 위한 그들의 역할 ... 제를 도입하였다. 과거제를 실시한 목적은 후삼국 통일에 크게 기여한 공신 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식견과 능력을 갖춘 새로운 관료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치였다. 공신들은 대부분 무인으로서 후
말기 원나라를 통해서였다. 이미 고려 중기부터 유교를 심성 수양의 도리로까지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무인란 이후 유불일치의 사상 경향이 대두하면서 유학자들 역시 심성 수양 ... 이 달라야 함을 주장하는 남인의 예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론의 차이가 정치적 대립과 결부하여 예송(禮訟)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한편 17세기 후반부터는 이기심성론에서도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