됐다.옐친 행정부는 1996년 봄에 지방정부, 특히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한 러시아 시베리아·극동지역을 무마하기 위해 극동·자바이칼 장기발전프로그램 을 제시했다. 그러나 연방정부 ... 지도자들과의 회담에서 과거 5년 전 「극동·자바이칼 장기발전프로그램」이 작성되었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운명이 갖는 의미가 러시아 국내상황뿐만 아니라 국 ... Ⅰ. 서 론{) 한종만·성원용,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2001, 12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5쪽을 요약 정리한 것임시베리아·극동지역
지, 재러동포들에 기반을 둔 운동의 전개를 주장하고 있다.이처럼 자바이칼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와 그 기관지인 대한인정교보 ... 는 1914년 후반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그 세력이 위축되고 결국 1915년 5월 러시아에 의해 해체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 뒤 자바이칼 지역에서 전개된 혁명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5 ... 1917년 10월 혁명이 발발하고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하게 되자 그 영향이 연해주 지역으로 급속히 파급되었다. 독일 스파이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석방된 이동휘와 1918년에 극동인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