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우리 글로 표현되지 못하고 향찰(鄕札) 및 이두(吏讀), 곧 한자(漢字)의 음(音:소리)과 훈(訓:새김)을 빌어서 표기되었다. 전래 문헌에 의하면 향가의 뜻은 사뇌가(詞腦 ... 들의 이설이 있으나, 이를 모두 ‘ ’의 차자(借字)로 보고, ‘ ’는 동방(東方)이라는 뜻이므로 사뇌가는 ‘동방의 가요’라는 뜻으로 향가와 동의어(同義語)로 본다.(3) 향가 ... 상 특성향가의 형식상 특징은 종장(終章)이 2구로 이루어지고 처음에 반드시 ‘아으[阿也]’의 영탄구(詠嘆句)가 붙어 있다는 점인데, 이는 후에 발생한 시조(時調)의 종장 첫구에 흔히
(鄕札) 및 이두(吏讀), 곧 한자(漢字)의 음(音:소리)과 훈(訓:새김)을 빌어서 표기되었다. 전래 문헌에 의하면 향가의 뜻은 사뇌가(詞腦歌) ·도솔가(兜率歌) 또는 국풍(國風 ... ’의 차자(借字)로 보고, ‘痛ゑ’는 동방(東方)이라는 뜻이므로 사뇌가는 ‘동방의 가요’라는 뜻으로 향가와 동의어(同義語)로 본다.향가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서동요(薯童謠 ... 의 형식상 특징은 종장(終章)이 2구로 이루어지고 처음에 반드시 ‘아으[阿也]’의 영탄구(詠嘆句)가 붙어 있다는 점인데, 이는 후에 발생한 시조(時調)의 종장 첫구에 흔히 나타나
차자표기를 대신하는 국문3국문문학의 시대의 출발-조선후기에 이르러서 시민을 위시한 하층민중이 문자생활을 국문으로 하고 현실인식과 흥미를 아울러 갖춘 문학을 요구하게 되자 국문문학이 ... 에서 공식적으로 불렀 기에 그렇게 이름지었을 듯함-개인의 노래가 이루어짐-충효를 알아주지 않는 부당한 처사를 원망한 것이다.◈향가-정의㉠향찰로 표기된 우리말 노래㉡우리말로 된 최초의 기록 ... 의도국가적인 이념을 굳히는 데 사용세종 자신이나 왕실의 가족이 내심의 위안을 얻는 데 쓰임특징·영웅의 세계를 그림-일상성 배제·후대의 소설에서 주인공의 시련과 투쟁이 전개되는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