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前揭書, 186면..(나)판례(a)일본의 판례일본 최고재판소 1974. 3. 22의 판결 {) 이 판결을 평석한 것으로, 山口純夫, 責任能力のあ未成年者の不法行爲と監督義務者の不法 ... 責任能力 있는 未成年者의 不法行爲에 대한 監督義務者의 책임- 대판(전원합의체) 1994. 2. 8. 〔93 다 13605〕-【參照條文】민법 제 750조(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민법 제 753조(미성년자의 책임능력) 미성년자가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 그 행위의 책임
으로 정함이 상당하다.Ⅲ. 판례평석1. 문제점부양기여분 제도는 1990년 호주 상속인의 상속 가합분의 제도가 삭제되면서 새로이 입법화된 것으로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이 제도가 노친 ... 의 배우자의 역할을 대안하여 왔고 민법상 피상속인의 배우자의 법정상속분은 직계비속의 상속분의 5할을 가산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점 등을 참작하면 청구인의 기여분은 금 1억 5천만원 ... .지 않는 경우에는 상속 결격과 상속권 제도에 의하여 추구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민법도 사적부양을 간접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상속결격 제도 내지 상속권 면제 제도가 입법이 필요
다(위 판례에 대한 평석으로는 하태훈,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형사판례연구[7], 60면 이하; 최신형사판례분석[11], 고시연구 1999,7,218면 이하 참조).(3) 'Ⅲ. 甲 ... 하였으므로 수사)나 칼에 찔린 피해자의 가슴부위에서 많은 피가 흘러나오자 겁을 먹고 그만둔 경우(大判 1999.4.13 99도640)에 자의성을 부정한 판례와는 달리 신음하는 피해자를 보 ... 었더라도 자의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는 논거가 부족하다. 적어도 위 판례들을 언급하면서 동일한 두려움의 경우에 판례와 달리 자의성을 인정한 이유를 설명해야 할 것이
해결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보충적으로만 적용된다.ⅳ) 근거법인격부인론을 인정하는 경우에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학설은 그 근거를 민법 제2조 1항의 信義誠實의 原則違反 또는 민법 제 ... 論을 긍정하였다.Ⅴ 평석1. 대법원 입장원심의 강학상 이른바 법인형해론을 채용하여 입론한 것인 바 그 형해론을 채용함이 가한가 여부의 문제에 들어가기 전에 우선 본건 소외 태원주식회사 ... 여 회사 운영상 필요로 하는 주주총회 등의 철차를 무시하고 등한히 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더구나 1인주주인 소위 1인회사도 해산사유로 보지 않고 존속한다는 것이 대법원판례의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