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864)
  • 리포트(786)
  • 시험자료(47)
  • 자기소개서(9)
  • 방송통신대(9)
  • 논문(8)
  • 서식(5)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컨테이너하역장비" 검색결과 261-280 / 864건

  • 물류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한진의 대응전략
    in logistics ) : 운송 , 보관 , 하역 , 포장 , 시설 , 장비 , 물류 시스템 등 물류의 전 분야에 걸쳐 IT 기술 , 센서 , 정보통신 및 제어 기술을 접목 ... 하는 서비스 강화 민원 채널 다양화 : 주로 ARS 자동응답시스템최근 이슈 개선방 향 물류 IT 및 시설 인프라 개선 내년 1 월 개항을 바라보고 있는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 -3D 기반 ... (1PL) 화주기업이 자신의 물류업무를 자사의 인력 , 장비 , 시설 등 자기자산을 이용하여 물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것 자회 사 물류 (2PL) 화주기업이 자회사나 계열사 등
    리포트 | 1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5.12.22
  • 테이너 운송물류
    도록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음.*컨테이너(Container)란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용구로서 신속한 하역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종류의 운송수단간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 다. 즉, 컨테이너 전용시설 즉, CY, CFS, 하역장비 등의 확보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②컨테이너 용기의 신속한 회수 및 손상방지 등 재고관리에 많은 애로가 발생한다. 특히 ... 컨테이너이다. tank container는 케미칼 등의 위험 및 비위험 액체화물 운송에 사용되며 가열을 위한 장비가 부착된 종류도 있다. 용량은 20,000ℓ ~ 25,000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2.01
  • 하역기기조사
    .2-4. 특수하역기계--------------7p.2-5.컨테이너 하역기계-----------7p.1. 하역기기의 정의각종 짐을 적재, 하역 등의 하역작업을 오로지 기계력에 의해서 ... ), 골리앗크레인(goliath crane), 지브 크레인(jib crane), 스태커(starker),리클레이머(reclaimer)⑤ 컨테이너 하역기계 : 컨테이너 크레인 ... (container crane), 트렌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2.하역기기① 선박
    리포트 | 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1.11.08
  • 인천항 조사 자료 ppt
    21 세기 해양시대의 인천항목 차 인천항의 연혁 인천항의 개항 인천항의 항만운영실태 인천항의 세력권 II. 인천항의 항만시설 현황 내항 외항 갑문시 설 III. 21 세기 해양시대를 향한 인천항의 역할 동북아시아의 Sea Air 수송거점 대중국 및 북한교역의 교두보 수도권을 배후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무역항 환항해권 국제금융 , 무역 , 비즈니스 거점I. 인천항의 연혁 1 . 인천항의 개항 조선정부는 1882 년 5 월 화도진 에서 미국과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한 후 유럽 국가들과 잇달아 통상조약을 체결한 후 1883 년 1 월 인천 제물포항을 개항했다 . 인천항 측량 결과 심한 조수간만의 차로 항구로서 결코 좋은 조건은 아니었지만 , 한양의 관문으로서의 지리적 이점 때문에 개항장으로 결정되고 , 해안가에 외국인 조차지가 조성되었다 . 국제 외교를 위해 총리교섭 통상사무아문과 무역관세의 징수를 위한 해관을 신설 , 인천항 제물포에도 외교 및 통상사무를 담당하는 감리아문과 해군을 신설하였다 . 2. 인천항의 항만운영실태 인천항은 수도권의 관문항으로써 우리나라 최대의 원자재 수입항이다 . 인천 , 성남 , 구로 , 부평 , 시화 등 경인공업지대 및 수도권지역에 각종 원자재를 공급하고 , 수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일대에서 필요로 하는 소비물자의 적기 공급 등 국가경제발전에 중추적 역할 담당한다 . 그러나 인천항의 시설확보율은 77.0% 에 불과하여 심각한 체선 · 체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 특히 , 선거내항 , 북항 , 남항 , 연안항의 각 부두가 전용화 되지 않아 운영효율이 저하되었고 또한 , 선거 내에서 하역된 비 가공 화물의 도심지 통과로 인해 교통혼잡 , 소음 , 분진 등 환경문제가 발생하였다 .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두 별 기능을 전문화하고 , 재정비를 시행하는 한편 , 급증하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인천 남외항을 적극 개발하여야 한다 .개항직후 인천항 현 재 인천항동북아 세력권 3. 인천항의 세력권 ○ 직접세력권 : 수도권 전역 ( 인천광역시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 인천광역시 : 8 개구 , 2 개군 - 서울특별시 : 25 개구 - 경 기 도 : 23 개시 , 8 개군 ○ 간접세력권 : 중부권역 - 강원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대전광역시 동북아 세력권II. 인천항의 항만시설 현황 1. 내항 1 ) 제 1 부두 부대시설로는 상옥 3 동 (11,250 ㎡ ) 과 야적장 14 개소 (171,851 ㎡ ) 가 있고 연간 하역능력은 4,601 천 톤에 이른다 . 주요 취급화물은 잡화 , 산물 , 원목 등이며 , 일부시설을 제외하고는 공영부두로 운영하고 있다 . 2 ) 제 2 부두 부대시설로는 상옥 5 동 (23,148 ㎡ ) 과 야적장 11 개소 (111,144 ㎡ ) 가 있는데 , 인천항 상옥시설의 약 45% 가 2 부두에 집중되어 있다 . 연간 하역능력은 4,229 천 톤이며 주요 취급화물은 산물 , 철재 , 원목 등이며 한염해운 ( 주 ), 우련통운 ( 주 ), ( 주 ) 동방 등 3 개 업체에서 임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 3 ) 제 3 부두 부대시설로는 상옥 2 동 (10,080 ㎡ ) 과 야적장 7 개소 (69,090 ㎡ ) 가 있고 연간 하역능력은 3,322 천 톤이다 . 주요 취급화물은 산물 , 철재 , 원목 등이며 세방기업 ( 주 ), ( 주 ) 동부고속 , ( 주 ) 한진 등 3 개 업체에서 임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4) 제 4 부두 최신 하역장비가 설치된 제 4 부두는 국제화물 운송의 컨테이너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컨테이너화물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하역을 위하여 ( 주 ) 한진 및 대한통운 ( 주 ) 의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건설한 부두로서 , 동 부두에는 직접 선박 안으로 트레일러가 출입할 수 있는 자동적하장치 (Roll on - Roll off Ramp) 가 설치되어 있어 컨테이너 및 중량화물을 직접 하역하므로써 신속한 양 , 적하가 가능하다 . 5 ) 제 5 부두 연간 하역능력은 3,920 천 톤이다 . 부대시설로는 야적장 9 개소 (190,092 ㎡ ) 가 있고 연간 하역능력은 3,920 천 톤이다 . 주요 취급화물은 자동차 , 양곡 , 원목 등이며 ( 주 ) 선광공사 , 대한통운 ( 주 ) 등 2 개 업체에서 임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부두위치 ( 참조자 료 ) 1 부두 2 부두 3 부두 4 부두인천항 컨테이너터미널 장비 현황2 . 외항 외항은 인천항 갑문 밖의 모든 항만시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이중 북항은 물양장과 돌핀 , 브이 등 접안 및 하역시설을 갖추고 원목 및 유류를 주로 취급하고 있다 . 남항은 잔교 2 기 , 돌핀 7 기 등의 접안 및 하역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 잔교는 연안화물 전용 소형선박 계류시설로 이용되고 있으며 돌핀은 가스 , 유류 등의 하역에 이용되고 있다 . 연안부두는 잔교 7 기를 구비하여 서해도서를 운항하는 9 개 항로의 여객선과 어선 , 예선 , 통선 및 잡종선의 계류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호안에는 대규모 어획물의 냉동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 석탄부두는 100 천 톤급 선박이 접안하여 연간 3,024 천톤의 수입석탄을 처리할 수 있는 돌핀과 야적장 그리고 현대적 하역장비와 벨트컨베어 시설이 설치된 석탄전용부두이다 .외항 ( 참조자료 )3. 갑문시설 갑문시설은 최고 10m 에 달하는 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항상 항내 5 만 톤급 이하의 선박이 접안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10 ˜ 14m 의 수심을 확보하고 갑거에서 수위를 조절하여 선박들을 내항과 외항으로 입 · 출항시키는 시설이다 . 갑문시설의 규모는 5 만 톤급과 1 만 톤급 선박이 동시에 입 · 출항할 수 있는 2 기의 갑거가 있고 , 갑거문짝은 롤링게이트 (Rolling Gate) 형식을 취한 현대적인 시설로 외항 측에 5 만 톤급 , 1 만 톤급 각각 2 련의 문짝이 있으며 , 내항 측에 5 만 톤급 2 련 , 1 만 톤급 1 련이 있고 , 고장이나 정기정비를 대비하여 외항 측 문짝 1 련과 내항측 문짝 1 련은 상비문짝으로 설치되어 있다 . 갑거문짝은 동력에 의해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수동식시설도 구비하고 있다 . 문짝의 개폐에 소요되는 시간은 5 만 톤급의 경우 6 분 , 1 만 톤급의 경우 4 분정도 걸리고 , 갑문 내 , 외측의 수위를 조절하는데 평균 30 분이 소요된다 .인천항 갑문 시설 현황1. 동북아시아의 Sea Air 수송거점 인천항은 인천국제공항과의 연계를 통해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을 연계하는 국제물류의 중심거점으로 도약 가능하다 . 2 . 대중국 및 북한교역의 교두보 중국 최대의 산업지역인 동 · 북구 지역에 근접해 있는 인천항은 중국 진출을 위한 최적의 입지여건 보유하고 있다 . 3 . 수도권을 배후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무역항 우리나라 최대 소비지인 수도권 및 경인공업지대를 배후로 하는 수도권 최대항만으로 각종 원료 · 재료를 공급하는 물류거점 기능을 수행한다 . 4 . 환황해권 국제금융 · 무역 · 비즈니스 거점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경유하면 전 세계로 연결될 수 있어 무역과 국제비즈니스 중심지로서 발전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 III. 21 세기 해양시대를 향한 인천항의 역할결 론 적극적인 바다경영은 21 세기 국가의 생존 · 발전전략이다 . 해양으로의 진출 은 21 세기 우리나라의 생존과 번영을 확보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제이고 , 인류가 풀어야 할 숙명적 과제인 식량문제 , 자원문제 , 공간문제 ,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다 . 앨빈토플러는 해양산업을 정보통신 , 우주개발 , 생명공학과 함께 제 3 의 물결을 주도할 4 대 핵심산업의 하나로 제시하며 바다 경영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 21 세기 국가의 생존과 번영이 바다에 있다는 범국민적 공감대 없이는 불가능하며 , 국민들에게 바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장기적인 해양강국의 비전과 철학을 제시하고자「바다헌장」을 제정 · 선포를 한다 . 장보고 대사 중 해양개척정신은 국민들에게 고취시키고자 노력하려는 뜻이 담겨있다 . 우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역할을 기대하며 , 우리나라는 풍부한 해양자원과 우수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바다를 경영해 나가면 분명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우리 모두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에 여러분께서도 애정을 가지고 많은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출처 참고문헌 김진혁 (2003), 물류산업의 현황과 과제 , 삼성경제연구소 백병성 , 동북아 물류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천항의 기능과 역할 인천항 물류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광현 ,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물류 클러스터 구축에 관한 연구 ,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인천지방해양수산처 (1997), 인천항백서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5), 2005 년도 세계 주요항만 물동량 , 시설 , 개발계획 현황 및 분석 현대경제연구원 (2003), HUB 허브한반도 , 거름Q ATHANK YOU 조원 : 0562063 전갑훈 , 0662015 김정 섭 , 0662003 권순기 , 0762018 노종걸{nameOfApplication=Show}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3.11
  • 물류위험 관리 Logistics Risk Management
    , 해적 , 선박 압류 물품의 도난 , 컨테이너 파손 , 온도관리 실패 하역 파업 , 기상악화 , 기계장애 , 선석 확보 지연 통관 통관불가 상품 , 관세적용 차이 , 서류미비 ... 및 도난 : 화물의 강탈 , 절도 , 부족 화물의 부족 : 도착 및 보관화물의 부족 오류 : 잘못된 화물의 출고 및 인계 화재 : 화재에 의한 화물 , 건물 , 인명 , 장비
    리포트 | 3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8.11.27
  • 항공화물탑재방식과운송절차
    물 탑재방식 Bulk Loading (2) 팔레트탑재방식 Pallet Loading (3) 컨테이너 탑재 Container Loading 3. 항공화물 적재방법실화물 탑재방식 ... 의 하점 1. 단위탑재수송용기 장점 단점 1. 팔레트나 컨테이너와 같은 ULD 탑재는 운송 화물의 단위화로 지상 조업시간이나 하역시간을 단축시켜준다 . 2. 항공기 가동률을 향상 ... 항공화물의 운송방식과 탑재절차목 차1. 단위탑재수송용기 (ULD) 항공화물용 컨테이너 1. 단위탑재수송용기 팔레트 ( Pallet ) 이글루 ( Igloo )) 화물전용기를 제외
    리포트 | 40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2.03.16
  • [선착장][부두][임대료][TOC제도][부두운영회사제도]선착장(부두)의 정의, 선착장(부두)의 임대료, 선착장(부두)의 운영, 선착장(부두)의 TOC제도(부두운영회사제도) 분석
    단계별로 20피트 적컨테이너 하역 기본요금의 50% - 0%(대한통운은 100% - 0%) 범위내에서 체감비율형태로 부과하고 있다.현재 컨테이너전용부두의 임대요율체계를 요약 ...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프로젝트 금융을 받아 본 경험은 두건 정도에 불과하다. 외국계 은행융자를 받은 것도「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을 제외하면 전무한 실정이 ... 으로부터52명- 노무직 2,073명(지게차, 윈치맨, 크레인, 트레일러 기사)- 합계 3,824명ㅇ 장비(지게차, 트럭, 크레인)7) 진출형태ㅇ 기본적으로는 현지국 하역회사와 하청계약ㅇ
    리포트 | 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7.25
  • 하역기기를 조사하고 설명하시오.
    전지영과 표시를 상징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의 선박 및 하역속도는 선박의 취급속도와 부두 전체 화물의 처리능력의 한계를 결정하기도 한다.컨테이너 트렌스퍼 크레인(CONTAINER ... TRANSFER CRANE)은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정치된 컨테이너를 Chassis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장비이다.TRANSFER ... CRANE에는 Rubber Tire(RTTC)식과 Rail(RTC) 식의 2종이 있으나, 현재는 RTTC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컨테이너 또는 벌크화물 이외의 일반 중량물을 운반하는 크레인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1.16
  • 테이너 부두 시설 및 컨테이너 기기 조사
    - 목 차 -1. 컨테이너 부두 시설1) Container Berth (계안선)2) Apron (안벽도로-Wharf Surface, Quay Surface)3) Marshaling Yard (컨테이너 계류장)4) CY (컨테이너 적치장-Container Yard)5) CFS (컨테이너 화물집화소-Container Freight Station)6) Control Tower (통제관제소)7) Maintenance Shop (기기수리소)8) Administration Office (행정사무실)9) Container Yard Gate (컨테이너 반출입 확인소)10)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2. 컨테이너 기기1) Gantry Crane (대형 고가 이동기중기-Wharf Crane)2) Straddle Carrier (하역기계차량)3) Chassis (샤시)4) Tractor (트랙터)5) Winch Crane (윈치 기중기)6) T/C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7) Fork Lifter (포크 리프터)< 컨테이너 부두 시설 및 컨테이너 기기 조사 >1. 컨테이너 부두 시설1) Container Berth (계안선)이것은 컨테이너선이 안전하게 부상하고 와서 닿을 수 있는 부두와 바다의 경계선을 말한다. 컨테이너선이 만적시에도 충분히 안전하게 부상할 수 있는 수심의 유지(약 15m)가 필요하며 적정한 암벽의 길이(약 300m)도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2) Apron (안벽도로-Wharf Surface, Quay Surface)이것은 부두 여러 부분 중에서 선박, 즉 바다와 가장 가까이 접해 있고 암벽(Quay line)에 따라 포장된 부분이다. 이 Apron에는 컨테이너전용 대형 고가 이동기중기(Gantry crane)를 안벽도로(Quay line) 전체에 걸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중기용용 궤도(Rail)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계안선과 안벽도로 >3) Marshaling Yard (컨테이너 계류장)이것은 컨테이너선에 직접 적재와 하역을 하는 컨테이너를 정렬해 두는 넓은 장소로 조화장이라 하며, Apron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컨테이너의 입항 전에 선적해야 하는 컨테이너하역순서에 따라 정렬시키고 동시에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양륙되는 컨테이너에 필요한 장소를 준비하는 곳이다.< 컨테이너 계류장 >4) CY (컨테이너 적치장-Container Yard)이것은 컨테이너의 인수나 인도 및 보관을 하는 야적장으로 컨테이너 계류장(Marshalling Yard), 안벽도로(Apron), 컨테이너 샤시(Container Chassis), 트랙터 장치장을 포함하는 가장 넓은 영역이다. 컨테이너 한 개에 만재되는 만재화물(FCL-Full Container Load)의 인도와 인수는 이곳에서 이루어지고 해상운송인으로서의 책임은 여기에서 시종된다. 실무적으로는 컨테이너 터미널(Container Terminal)을 CY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CY는 컨테이너 터미널(Container Terminal)의 일부이다.< 컨테이너 적치장 - CY >5) CFS (컨테이너 화물집화소-Container Freight Station)이것은 컨테이너 1개를 채울 수 없는 소량화물의 인수, 인도, 보관 또는 LCL화물을 컨테이너 안에 적입(Stuffing, Vanning)하거나 끄집어내는(Unstuffing, Devanning) 장치작업을 하는 장소를 CFS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송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화물의 출하지에서 최종목적지까지 소위 문전에서 문전까지(Door to Door) 직접 운송되는 것이지만 소량의 LCL화물의 경우에는 이 CFS에 우선적으로 집하하여 목적지나 수화인별로 분류한 다음 컨테이너에 적입하거나 또는 LCL화물을 컨테이너에서 끄집어내어 수화인에게 인도하게 된다.< 컨테이너 화물 집화소 - CFS >6) Control Tower (통제관제소)이것은 Control Center라고도 부르고, 컨테이너 적치장(Container Yard)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CY전체의 작업을 총괄하는 지령실로서 본선하역 작업은 물론 CY내의 작업계획, 컨테이너배치계획 등을 지시감독을 하는 곳이다.7) Maintenance Shop (기기수리소)이것은 CY에 있는 여러 종류의 하역기기나 운송 관련기기의 점검, 수리, 정비하는 곳이다.8) Administration Office (행정사무실)Container Yard 운영요원(CY요원)이 Yard경영을 위한 행정사무를 수행하는 곳이다.9) Container Yard Gate (컨테이너 반출입 확인소)이것은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화물의 인수, 인도를 하는 장소이다. 이 Gate통과시의 컨테이너 이상유무 등의 현상확인, 통관봉인(Seal)의 유무, 컨테이너중량의 측정, 컨테이너화물의 인수에 필요한 서류의 확인 등이 행하여지고 해·육 일관운송책임체계의 접점으로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10)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이것은 컨테이너 야드(CY-Container Yard)를 포함한 전체 운영시설로 컨테이너 수송방식에 있어서의 해상수송과 육상수송의 접지로서 항만 앞쪽에 위치하여 본선하역, 하역준비, 화물보관,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화물의 인수 그 밖에 각종 기계의 관리, 보관 등을 다루는 일련의 시설을 갖춘 지역이다. 터미널 운영은 선사 자체가 하나의 사업으로 자영 또는 임대운영 경우도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단체의 항만관리자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2. 컨테이너 기기1) Gantry Crane (대형 고가 이동기중기-Wharf Crane)이것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한 전용크레인으로 apron에 부설된 철도 위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선적 및 양하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기중기이다. 부속기기로 집게(Spreader), 고리(Hook)을 부착하여 20피트 내지 40피트짜리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1안벽에 2대가 설치되지만 컨테이너 부두의 규모에 따라 컨테이너 하역처리 시설이 다르기 때문에 2대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70년대 말(80년대 초) 13열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최근에는 22열 취급 장비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기존 크레인의 처리능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듀얼 호이스트, 듀얼 트롤리, 상하 이동 거더, 샤시 가이드 설치 등 컨테이너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단 기술이 속속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40피트 컨테이너 3대를 동시 양하작업 할 수 있는 Triple(중국 Mawan 터미널)장비가 실제 도입되었다.< 대형 고기 이동기중기 - Gantry Crane>2) Straddle Carrier (하역기계차량)이것은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끼우고 운반하는 차량으로서 기동성이 좋은 대형 하역기계이다.3) Chassis (샤시)이것은 컨테이너 샤시라고 부르고,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차대를 말하며 tractor에 연결되어 이동한다. 즉, 육상을 운행하는 밴 트레일러(Van Trailer)에서 컨테이너가 탑재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6.20
  • 물류시설과 한국물류시설의 현황
    학과 : 유통물류과 과목 : 보관하역론 물류시설과 한국물류시설의 현황물류 시설의 의의 운송 · 보관 · 하역 등 화물의 유통을 위한 항만 · 철도 · 공항 · 화물터미널 및 창고 등의 총칭 물류 시설의 역할 공급과 수요의 완충 또는 조정 역할 배송기지 역할과 운송비 절감 검품 기능 신속 , 정확한 배송에 이한 고객서비스 향상 물류의 효율화 교차 운송 방지물류 시설의 종류유통단지 정의 : 화물터미널 , 집배송단지 , 도소매단지 등 유통시설과 정보 , 금융 , 입주자 편의시설 등과 같은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 , 육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토지의 총칭 도입배경 과거의 유통시설간의 연계성부족을 해결하기 위함과 동시에 원스톱 서비스 등 새로이 추구 되는 서비스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하게 됨 . 유통단지개발촉진법의 제정으로 유통단지개발제도를 도입하고 있음 .물류 시설의 종류복합화물터미널 목적 운송비 절감 자원의 효율적 배분 운송산업 활성화 물류 시스템 개선 사회적 제 비용 감소 정의 화물의 집화 · 하역 · 분류 · 외부포장 · 보관 · 통관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며 동시에 2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간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화물터미널복합화물터미널 기대효과 운송 수단간 합리적 배분 주요 결절점 역할의 운송망 형성 도심의 교통체증 완화 화물정보망의 구축 화물의 집화 · 운송 · 배송 기능을 체계화 기능 터미널 기능의 실현 혼재 기능의 강화 유통 보관기능의 구비 변형 기능 정보 센터의 기능물류 시설의 종류배송센터 기능 고객에 대한 신속한 배송체제 수립 각 제조사의 상품을 혼재 배송 개별 점포의 상품을 혼재 배송 정의 집배송센터 또는 집배센터라고 하며 개별기업 또는 협의체에서 유통창고의 집배송기능을 강조한 데서 나온 용어배송센터 분류형태 집중배치형 : 공동 구입 및 관리 일원화 , 계획배송 목적 분산배치형 : 정보시스템 결합 후 배송운영 목적 중앙과 주변 연결배치형 : 중앙을 보급거점으로 주변지를 고객 배송 거점으로 배치 전략창고형 : 지역 블록을 설정 , 1 개소에 4~5 개의 배송센터 설치 운영 형태물류 시설의 종류공동 집 · 배송센터 구 분 공동건물식 : 하나의 건물에 다수 업체 연간식 : 연립식 건물에 집단화 가구식 : 하나의 단지를 구획화 . 업체설립 정의 동종 또는 이종업체간 유통업체들이 대규모 유통단지를 조성한 것 . 상류 기능과 물류 기능을 포함 . 대표적인 물류공동화 시설물류 시설의 종류컨테이너터미널 조건 터미널에 위치 컨테이너선의 안전항해 , 이접안 , 계유를 보장 하역용 겐트리 크레인 보유 컨테이너를 신속하게 수도하는 능력의 보유 컨테이너 검사 시설 및 조직 보유 발달된 도로망이나 철도망 보유 정의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의 접점에 있는 항구 앞 장소로서 본선하역 , 하역준비 , 화물보관 ,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화물의 접수 , 각종 기계의 보관에 관련되는 일련의 장비를 갖춘 지역 .물류 시설의 종류ICD( 내륙 컨테이너 터미널 ) 정의 여러 화물을 다룰 수 있는 공적권한을 지니고 있으며 고정설비를 갖추고 세관 미통과 상품에 대한 일시적 저장과 취급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세관 통제하에 수출 및 연계운송을 위하여 일시적 장치 , 보관 , 상륙 등을 담당하는 장소 . 최근에는 통관기능을 담당하기도 함 .물류 시설의 종류SP 와 DP SP 의 정의 Stock Point, 재고품의 보관거점으로 예상수요에 대한 보관거점 . 원료를 쌓아두거나 완성품 , 폐기물 등을 쌓아두는 장소 DP 의 정의 Depot, 국내용 2 차 창고를 총칭 또는 CFS 를 의미하는 경우로도 사용 . 국내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음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수도권 - 군포복합물류터미널 1998 년 운영 시작 (33 만 7,000 ㎡부지 ) 2012 년까지 32 만 6,000 ㎡ 추가 계획 연간 565 만톤 물량 처리 능력 보유 ( 차후 1,146 만톤 ) 화물 취급장 9 개동 , 배송센터 2 개동 운영중 2 개동 화물 취급장 , 7 개동 배송센터 , 2 개동 복합창고 구축 예정 중수도권 - 의왕 ICD 1998 년 운영 시작 (75 만 3,000 ㎡ 부지 ) 연간 처리능력 137 만 TEU 2 개 터미널로 구성 CY 41 만 9,000 ㎡ CFS 3 개동 , 철도 선로 11 개선 구축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부산권 – 양산 ICD 총 126 만 7,000 ㎡의 면적 (ICD 78 만 1,820 ㎡ / 복합물류터미널 32 만 ㎡ ) 1998 년 운영되던 복합물류터미널에 ICD 기능 추가 화물 취급장 7 개동 , 배송센터 6 개동 보유 연간 371 만톤의 화물 처리 CY 10 단지 , CFS 16 개동 , GATE 10 개동 세관검사장 보유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호남권 장성군에 건립 중 . 2005 년 1 단계 운영을 시작으로 2010 년 기준 2 단계 진행중 10 년 말 기준 총 20 만 8,000 ㎡의 부지 화물 취급장 7 개동 , 배송센터 12 개동 , 철송 취급장 1 동 , 컨테이너 작업장 2 동 보유 처리능력은 05 년 기준 연간 470 만 톤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중부권 - 청원연기내륙기지 청원군과 연기군 일원 총 10 만 9,000 ㎡의 부지 연간 236 만톤 , 35 만 TEU 처리 능력 화물 취급장 4 개동 , 배송센터 4 개동 , 컨테이너작업장 1 개동 보유 경부선 부강역부터 2.9km 의 인입철도 , 청원 IC 로부터 6km 의 진입도로 구축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영남권 경북 칠곡군 위치 총 16 만 7,000 ㎡의 부지 화물 취급장 7 개동 , 배송센터 3 개동 철송 취급장 , 컨테이너 작업장 CY 보유 연간 375 만톤 , 33 만 TEU 처리능력국내 물류 시설 현황 – 5 대 권역계획 예정 부지 경기도 파주와 평택에 수도권 북부 , 남부 내륙기지 건설 예정중 수도권 북부 단지는 공사 중으로 총 16 만 1,000 ㎥ 연간 170 만톤 , 23 만 TEU 처리능력 2013 년 운영계획 수도권 남부 단지는 연간 261 만톤 , 65.7 만 TEU 처리능력참고문헌 물류의 이해 / 추창엽 , 홍영준 공저 / 두남 출판사 국토해양부 ( http://www.mltm.go.kr/ )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82750 mobile categoryId=2937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85146 mobile categoryId=2898) http://www.monthlymaritime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6119감사합니다 .{nameOfApplication=Show}
    리포트 | 3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12.04
  • 보관하역론(항공하역)의 모든 것
    을 사용하여 항공기에 고정시킨다.(2) Certified Aircrft Containers(항공화물용 컨테이너)파렛트가 항공기에 고정되는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컨테이너의 밑바닥이 항공 ... 에 화물을 적재해 놓고 항공기에 탑재할 때는 Lift Loader와 Roller Bed를 사용하여 기내의 정위치에 고정시킨다.(3) Container Loading(컨테이너 탑재)화물 ... . 물용 컨테이너와 파렛트 및 이글루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항공화물을 담기 위한 컨테이너나 파렛트를 말한다. 즉 ULD란 종래의 벌크화물을 항공기의 탑재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일종
    리포트 | 1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9.12.01
  • 파렛트 풀 e-비즈니스 물류 2조
    시스템과 컨테이너풀 시스템은 전 산업계 35,000여 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운영중에 있음. - 단 1매의 파렛트나 컨테이너라도 전국 어디에나 신속하게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 ... ,수송 보관 하는 방법 Containerization – 각종 container 에 상품을 적재하여 하역,수송 보관하는 방 법2. 파렛트 풀 시스템 – 일관 파렛트화◈ 일관 파렛트 ... 화의 필요성 1.하역인원/하역시간 90% 감축 가능 2.수송장비의 운행효율 향상 3.포장비 절감 4.보관능력 향상과 재고감축  보관비 절감 5.작업능력 향상일관 파렛트화?◈ 일관
    리포트 | 1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1.11.13
  • RFID에 대하여-물류관리론
    물류의 혁신과 발전을 가져온 발명(inventions)-RFID에 대하여-12093317 박혜진1.서론1.1 RFID의 개념1.2 RFID의 발전과정1.3 RFID의 작동원리2.본론2.1 물류에서의 RFID의 적용분야-항만컨테이너물류2.2 기업 Case Study-해외사례2.3 기업 Case Study-국내사례3.결론 : Summary & RFID의 전망과 발전방안1.서론신제품의 개발 및 판매를 통한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은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특히 교통난과 유류비, 인건비의 상승으로 유통비용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요즘, 무선인식 기술을 통해 유통비용과 재고관리 비용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재고와 제조 유통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 오던 바코드(barcode)를 대체하여 물류유통의 혁명을 초래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RFID는 비접촉 무선인식 기술로 바코드의 느린 인식속도, 인식률, 저장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응용이 가능한 분야이다. 하지만 국내의 RFID에 대한 기술 및 자본의 투자는 해외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RFID 핵심 기술과 시장 규모도 해외 시장에 비해 열악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산업전반에 걸쳐 RFID 기술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전반에 미칠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현재까지 RFID에 대한 국제 표준과 국내 표준이 확정되지 않았고, 유한한 주파수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정도 필요한 실정이다.1.1 RFID의 개념RFID를 우리말로 풀이를 한다면 ‘전파식별’이다. 즉 RF인 Radio Frequency ‘라디오파’(전파)를 통해서 사물과 사람을 식별하고 그것을 여러 분야에 응용하는 것이 바로 RFID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 태그에 사용 목적에 알맞은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판독기에 해당하는 RFID 리더를 통하여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 되어 90년대에 들어 무선기술의 발전으로 저가격 고성능의 태그가 개발되면서 카드, 레이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무선인식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솔루션이 개발되어, 전자화폐, 물류관리, 보안시스템 등의 핵심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RFID 기술이 사물을 인터넷을 통하여 식별하고 응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하면 물리공간들의 객체들을 전자공간에 연동시켜 인터넷에 새로운 차원의 확장을 제공하며, 향후 RFID 태그와 센서의 연동은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결합을 보다 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RFID는 유비쿼터스 환경구현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1.3 RFID의 작동원리RFID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태그에 활용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고 박스, 팔렛트, 자동차 등에 부착한다. 그 다음 게이트, 계산대, 톨게이트 등에 부착된 리더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주파수가 태그에 접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하고 안테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변조하여 리더로 전달한다. 리더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전달한다.Source : http://www.rfiddb.or.kr/userTemplate.one2.본론2.1 물류에서의 RFID의 적용분야-항만컨테이너물류이처럼 RFID 원리를 쓸 수 있는 적용분야는 무한하지만 물류에서의 중요성과 활약이 더욱 돋보인다고 볼 수 있다. 항만컨테이너물류가 그 예이다. 아래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국토해양부에서 진행한 RFID를 활용한 항만 물류 효율화 사업이다.1) RFID를 활용한 항만물류효율화사업 (국토해양부, 2004∼2006)국토해양부에서는 2004년~2006년 총5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1단계 ‘RFID기반의항만효율화사업’을 싸이버로지텍에 위탁하여 진행하였다. 싸이버로지텍은 1단계 사업에서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RFID 하드웨어 업체인 케이피씨의 433k) 기반의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2007년에는 광양, 인천지역 등 10개소에 확대 구축해 전국 컨테이너 항만에도 확대, 지능형 u-Port 시스템을 구축했었다. 이에 2006년에 부착한 13,500여개의 컨테이너 차량용 태그 인식율이 93%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3,000여대에 추가 부착함으로서 고도화하게 되었다.source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5327전국 항만출입 컨테이너 차량에 RFID 부착 확대2009년 08월 20일 / 백지영 기자 jyp@ddaily.co.kr-올해 말 완료..연간 18억원 하역비 절감 등 효과 기대올해 내로 전국 컨테이너 항만에 출입하는 운반 차량에 전자태그(RFID)가 부착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전국 컨테이너 항만에 출입하는 컨테이너운반 차량 2만대 중 RFID태그가 부착되지 않은 3000여대에 추가로 부착해 현재 93%의 인식율을 99%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킨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에 앞서 1만 7000대(85%)의 차량에 전자태그(RFID)를 부착해 컨테이너 부두의 하역과 야드 활용을 효율화한 바 있다. 국토부는 지난 2006년 부산·경남지역의 11개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에 RFID/USN 기반의 게이트자동화시스템을 구축했으며, 2007년에는 광양·인천지역 등 10개소에 확대 구축한 바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말 RFID 기반 항만물류인프라 고도화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18억원의 하역비가 절감되고 선박 1척당 체류시간이 평균 2시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어, 이는 대형선박 5척이 동시 접안할 수 있는 부두를 새로 건설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라고 설명했다. 또 선박의 부두 체류시간 단축과 야드 트랙터의 운행을 줄임으로써 연간 약 17만톤의 탄소배출량도 감축될 전망이다.source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53277관련뉴스기사)2.2 기업 Case Study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며, 베네통 산하의 시슬리 브랜드는 기존의 바코드를 모두 필립스의 스마트 태그로 교체하였다. 베네통은 소비자들이 감지할 수 없는 소형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회사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소비자들이 제품 재고상태 등을 살펴본 후 신속히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3) 미국 월마트의 퓨처스토어월마트에서 추진한 퓨처스토어 모델은 다음과 같다. 퓨처스토어 에서는 손님이 카트에 장착된 컴퓨터로 바코드를 직접 읽고, 계산원의 도움 없이 셀프 체크 아웃한다. 또한 공급업체로부터 상품이 매장으로 들어오면서 전자태그가 작동하여 상품별로 원산지, 조리법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세일기간에는 물건을 놓는 선반에 부착된 전자가격표를 이용하여 가격을 쉽게 바꿀 수도 있다.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구입할 때 직원은 물품 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물품 하나하나를 바코드로 스캔할 필요가 없이 쇼핑카트를 센서에 통과 시키면 즉시 구입한 물품의 명세와 가격이 산출된다. 식품의 경우 유통경로,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수록한 태그가 부착되어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은 신속, 정확하게 필요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고, 식중독 등 사고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고객이 수행하기 위해서 매장 입구에 비치된 쇼핑카트 앞에는 노트북만한 컴퓨터가 달려 있다. 고객은 컴퓨터 화면에서 원하는 물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르면 그 물건의 위치와 가격이 화면에 표시된다. 동시에 할인점 사무실의 메인 컴퓨터 모니터에는 현재 고객 몇 명이 쇼핑인데 어떤 제품이 진열대에 몇 개 남아 있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스크린에 표시된다.2.3 기업 Case Study-국내사례한국의 도입사례우리나라의 RFID관련 산업은 주요부품을 수입하여 단순 조립하거나 핵심 칩을 해외에서 수입하여 재가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RFID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선진국에 비해 늦어지므로 국내 RFID 도입 노력 또한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RFI 불편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2) 농심의 식품이력추적관리 시스템농심은 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전사적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를 위해 식품 안전에 대한 정보추적, 원인분석 및 상시 대응체계를 전사적 프로세스로 확립하기 위해 2005년부터 식품이력추적관리 시스템(NTRS : NongshimTRaceability System)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원료를 공급하고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식품이력 추적 관리망을 형성해 식품이력, 생산 및 유통 경로 투명화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식품안전 위해요소를 사전 예방하고 사후 긴급 대응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 통합시스템은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대한 원인분석을 통해 사전예방 활동을 지원하며, 식품문제 발생 시 식품회수(Recall)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식품회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 식품 신뢰도의 부정적 영을 제거해 관리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3) CJ GLS의 U택배 구상과 화물박스 전자태그종합 물류업체인 CJ GLS는 고급형 맞춤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유동물량과 송수하인의 주소를 정확 파악하고, 최적의 인력과 장비투입으로 물량처리를 지능화 하고 있다. 이는 U택배차량, U운송장, U무인창구 등 세 부분으로 진행되고 있다. U택배차량은 위치추정시스템(GPS), 지리정보시스템(GIS), 지능형교통시스템(ITS)과 연결되어 최적의 운송경로를 자체 분석하여 수행하게 되며, U터미널에서는 태그가 부착된 택배물의 정보를 읽어 도착지별 자동분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U-PDA를 이용
    리포트 | 12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3.09.01
  • scm 89가지 기기 분석
    Skid Boxes 구조 : 짐받이대의 네 귀에는 다리가 달려 있어 바닥면과의 사이에 핸드리프트 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밀어넣어 들어올린 다음 , 이동 ·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 용도 : 스키드는 파렛트 형식의 포장형태로 주로 포장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 무게중심이 안정적이고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화물에 많이 쓰이고 있다 . 산업구조물 , 기계류등을 포장할 때 많이 쓰이며 , 특성에 따라 진공포장을 병행하기도 한다 . 특징 : 무게중심이 안정적이고 대형제품 및 중량 물 제품으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물 , 습기 , 먼지 등 별로 변질될 우려가 없는 대형 중량 물 제품은 스키드포장 (SKID PACKING) 이 적합하다Plastic Reusable Tote Pans 구조 : 손잡이가 저중심 설계로 되어 있으며 뚜겅이 있어 적재하여 본관 하기 편리하다 . 고하중 적재가 가능하다 . 용도 : 각종 자재 창고 , 공장등에서 보관 , 폐기물 취급 등 다용도로 사용가능하다 . 특징 : 강화된바닥 프레임 처리로 중량이 큰 내용물을 넣은채 끌어서 운반 가능하다 .Stretchwrap Equipment 1. 구조 기능에 따라 수동과 반자동 , 자동 , 전자동 등으로 나뉜다 . 방식에 따라 자동과 전자동은 턴테이블 타입 , 암타입 , 링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 반자동은 턴테이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 수동은 그립형 , J 자 장착형 , 스틱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2. 주용도 스트레치 필름으로 보호 또는 고정 등의 목적으로 대상 포장물을 감을 수 있게 해 주는 기기를 일컫는 말이다 . 3. 특징 공업용 랩 ( 스트레치 필름 ) 을 장착해서 랩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구이다 . 기존 방식 대비해서 작업자가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Carton Palletizer 구조 스탠리 저소비 전력화를 실행하는 고급 계층 형 팔레트 디자 인으로 되어 있다 . 용도 압출 전송, 배열, 팔레트, 팔레트 업로드 고체 팔레트가 자동 화로 되어 있 다 . 특징 양식 경사각 등이 평 컨베이어 벨트에 비해 유심히 신경써야 한다Roller Conveyor 구조 롤러의 재료로는 주철제 ( 鑄鐵製 ) 인 것도 있으나 대부분 강관 ( 鋼管 ) 으로 되어있고 운반용 벨트컨베이어를 받히고 있는 롤러를 말한다 . 용도 산업의 발달로 컨베이어가 등장하면서 컨베이어벨트를 받혀주는 부품이며 , 컨베이어는 공장 내에서의 부품의 운반 , 반제품 ( 半製品 ) 의 이동 , 광산 · 항만 등에서의 석탄 · 광석 · 화물의 운반 , 건설현장에서의 흙과 모래의 운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특징 컨베이어는 고무 · 직물 · 철망 ·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 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 탄광에서는 고무 벨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Skate Wheel Conveyor 구조 롤러 컨베이어 는 양쪽에 견고한 빔을 배치하고 , 여기저기를 도리로 붙이지 않고 사다리 형상으로 조립된 틀에 다수의 롤러를 배열해 짐을 인력으로 밀거나 , 컨베이어를 경사 시켜서 중력에 의해 활주시키거나 , 동력 에 의해 롤러를 회전시키거나 해서 운반 한다 . 용도 중량 물 운반에는 롤러 컨베이어가 적합하고 , 경량물의 운반에는 휠 컨베이어가 이용된다 . 이런 종류의 컨베이어는 조립ㆍ가공 라인의 컨베이어로서 자동차 공업 , 전기공업 등 모든 생산현장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 컨베이어 위에 있어서 조립ㆍ가공작업을 흐름 작업 으로 할 수 있다 . 특징 휠 컨베이어는 롤러 대신에 작은 롤러를 다수 배열된 것이다 .Slat Conveyor 구조 운반 매개체의 핵심인 slat 가 단단하고 휨 변형이 적게 설계하였다 . Side chain 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게 제작하였다 . 용도 무거운 제품을 이송할 때 belt conveyor 대용으로 사용된다 . 목재 , palet 등 중량물의 제품이나 형질이 불규칙한 제품의 이송이 적합하다 . 특징 경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slat 에 알루미늄 파이프가 이용된다 .Chain Conveflector Arm Sorter 구조 : 레일위에 이송하는 물품이 갈림길에서 움직이는 Deflector arm 에 의해 분류되어 나뉜다 . 용도 : 물품을 위치에 맞게 분류할때 쓰인다 . 특징 :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진다 .Push Diverter 구조 : 제품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며 방식에 따라 공기 압방식 , 전기 솔레노이드 방식 , 유아방식 , 전동기 방식이 있음 . 용도 : 컨베이어 위에서 물건을 목적지로 보내기 위해 밀고 당겨서 물품을 분류한다 . 특징 : 설비의 사용환경 및 생산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방식을 채용해야한다 . 비교적 걸비 비용이 많이 든다 .Sliding Shoe Sorter 구조 : 컨베이어 위의 슬라이딩 슈가 빠르게 제품을 분류한다 . 용도 : 컨베이어 위의 제품을 분류하는데 사용한다 . 특징 : 높은 산출량을 달성하고 운영 비용이 적다 . 일상적인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 .Pop-up Wheel Sorter 구조 :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 롤러 사이에 위치한 휠 롤러가 위로 올라와 원하는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을 전화해 주는 형태 용도 : 컨베이어 벨트의 전환점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중인 제품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 . 특징 : 보수유지가 쉽고 분당 100 개의 화물 분류가 가능하다 . 저렴한 주간속도 분류 시스템이다 .Pop-up Belt 구조 : 밑에서 올라오는 벨트가 화물을 좌우 90 도 방향으로 진로를 바꾸어 컨베이어 위의 화물의 진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바꾼다 . 용도 : 작고 다양한 종류의 화물이 적당하다 . 특징 : 속도는 표준 15~60fpmPop-up Chain 구조 : 롤러 사이에 2 개의 팝업 체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아래에 있다가 방향을 전환할때만 올라와서 방향을 전환시킨다 . 용도 : 팔렛 등의 규격화된 제품 분류가 적당하다 . 특징 : 컨베이어 프레임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는다 .Pop-up Roller Sorter 구조 : 여러 개의 벨트 사이에 팝업 롤 가지고 있다 . 용도 기본 팔렛 잭과 다르게 팔렛형태로 디자인되어 직접 트럭에 적재할 수 있다 . 특징 월키는 레이몬드 지게차 고유등록 이름 이며 이 트럭은 탑승용 전동트럭 이 다 .Walkie Stacker 구조 단위하물들을 쌓거나 저장고에 넣을 수 있도록 팔렛잭의 들어올리는 능력을 증가시킨 물류기기 용 도 팔렛을 짧은 거리에 걸쳐 끌어올리고 저장하고 , 운반한다 . 특징 적은 처리량 , 짧은 이동거리 , 낮은 수지 저장높이에 이용하며 적은 비용이 든다Walkie Reach Straddle Truck 구조 높은 위치에 차대 ( 車臺 )(chassis) 가 있고 적재 및 하역 컨트롤을 최대한 쉽게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 고도 위치에 적재된 물품 보완 작업 용도 제한된 장소에서 수직으로 작업 할 수 있다 . 원목 따위 긴 중량물을 운반에 용이하다 . 특징 장거리 수평적 운송과 고도 위치에 적재된 물품 보완 작업에 용이하다 .Stand-up Rider Pallet Truck 구조 포크 바닥이 정착된 콘트롤 핸들로 디자인인 이 모터형 핸드 트럭은 팔레트 적재 하역을 전자식으로 가능케 한다 . 용도 팔렛 잭에서 전자식으로 바뀐 것으로 좀더 무게가 나가는 팔렛에 올린 수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에 쓰인다 . 특징 운전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트럭 기능을 조정 가능하고 마운트형 핸들 ( 운영 자세 최적화시키고 , 안전 공간 확보 ) 과 같은 인체공학적 기술이 특징 .Stand-up Rider Tow Tractor 구조 : 트럭은 낮은 층에 있는 오더 픽업 및 수평적 운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작 되었고 로보트적으로 용접된 강철 프레임의 단단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 용도 : 고강도 무게와 트랙터 작업 환경에도 사용 가능하다 . 주된 용도는 수평 이동 및 저층 픽업이다 . 특징 : 수직 조정 가능한 콘트롤 핸들 디자인으로 인해 높은 기동성을 유지하며 이동 , 핸들 및 경적 콘트롤로 운전이 용이하다 .Sit-down Rider Counterbalanced Lift와 , 그 장비를 통제하는 장치의 복합체이다 .Automatic Dispenser 구조 : 소형화물을 적재 및 불출하는 기계로서 단위 제품을 컨베이어에 올려 놓음으로서 불출한다 . 용도 : 균일 크기와 모양의 소형화물을 취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특징 : 제품 사이즈에 따라 각각 운용하는 기기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폭을 갖는다Sample Automatic Identification Product Codes 구조 : . 일반 상품 , 케이스 , 파렛트 , 물류자산 등 사실상 거의 모든 품목을 대상으로 개별상품을 식별할 수 있다 . 종이 라벨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 용도 : 제품을 식별하기 위해 제품에 붙인다 . 특징 : 무선 식별이 가능한 전자태그 (RFID tag) 에 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종이 라벨에 인쇄하는 기존 코딩 방식 임으로 효율성이 떨어진다 .Contact Reader 구조 : 단말기와 선으로 이어진 입력잘치로 이루어져있다 . 용도 : 굵은 선과 가는 선의 조합으로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기기의입력 단말장치로서 사용된다 . 특징 : 물품에 직접 들고 바코드를 대고 찍어야 한다 . 유효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Handheld Bar Code Scanner 구조 : 굵은 선과 가는 선의 조합으로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 컴퓨터의 입력 단말장치로서 사용된다 . 바코드의 판독에는 광학식의 바코드 센서 가 사용된다 . 용도 :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시의 정보를 급속히 처리하기 위해서 식품이나 잡화류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판매시점 정보관리 (POS : point of sales) 시스템의 단말로서 보급되었다 . 특징 : 물품에 직접 들고 바코드를 향해서 레이저를 쏴야 인식이 된다 . 유효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Stationary Bar Code Scanner 구조 : 바코드 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 . 빛에 의해 바코드의 형태를 읽어내어 , 디지털 데이터로서 컴퓨터에 송신한다 . 이기기w}
    리포트 | 45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6.06.02
  • 국제운송의 형태,의의.선박,해상운송업체 실제사례의 ppt와 한글파일 자료
    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도록 만든 선박전용선 화물특성을 고려 선박구조, 하역장비, 보관시설 등을특별히 설계한 선박의 총칭해상운송 무역통계년도별 수출입 동향품목별 수출입 동향 ... 음 4. 컨테이너 운송 유닛 로드 시스템에 의한 협동일관운송이 보편화되면서 국제복합운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하역비, 포장비, 보관비 등의 물류비 절감효과가 큼Ⅱ. 해상운송 ... 선하증권Ⅰ. 해상운송의 의의Ⅱ. 해상운송의 형태Ⅳ. 해상운송업체 소개Ⅴ. Q AⅢ. 해상운송 선박선박의 종류화물선건화물선일반화물선정기선컨테이너선 일반정기선부정기선일반부정기선 포장적재화물
    리포트 | 2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03.12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수입통관절차와 수입신고
    될 보세구역에 입고하기 전에 수입신고 하는 것 • 보세구역 : 보세창고, 부두밖 컨테이너 보세창고, 컨테이너내륙통관기지, 선상도 포함 • 도착예정 보세구역 관할 세관• 수입물품을 보세 ... 와 장비의 확보, 개포장을 위한 작업인부의 배치 등 검사준비를 요구할 수 있다. 이때 검사준비가 되지 않아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검사순위를 조정하여 검사준비가 된 때에 검사 ... 으로 정하는 관세채권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 해당하는 자*6수입신고반출의 금지신고수리전에는 운송수단, 관세통로, 하역통로 또는 관세법에 따른 장치 장소로부터 신고된 물품을 반출
    리포트 | 2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7.03.21
  • 테이너가 무역에 미친 영향
    구 인해 컨테이너가 배 안의 공간을 너무 많이 사용하였고, 이에 배 안의 물건을 그대로 쌓는 것이 물류에 있어 더 유리하였다. 세 번째로 컨테이너를 사용할 때는 하역인부들을 쓰 ... 는 데 많은 돈을 지출해야 했다. 컨테이너를 정리해야 할 때는 많은 비싼 하역인부들을 동원해야 했기에 회사 입장에서는 돈이 상당히 많이 들었다. 네 번째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해외 ... 된 해운 기업을 인수하였고, 기중기와 같은 장비를 정비하여 컨테이너를 사용한 운송 방법을 실행에 옮겼다. 이에 1956년 4월 26일 기중기를 사용하여 거대한 컨테이너를 아이디얼X호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9.1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우리나라 국제운송시스템의 현황과 과제
    *목차1. 한국의 국제운송 시스템3. 운송 시스템 현황과 과제2. 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 ①TKR -경제적 효과 -대륙 철도망 연계 이점 -TKR 구축 장단점 -예상 발전 가능성4. 종합적인 결론①RFS ②RSR ③한진그룹 복합화물 운용 시스템① 현황 ② 과제한국의 운송 시스템 RFS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1 RFS란?기존의 복합운송방식인 해상-항공연계운송(Sea Air)방식 향상, 개선 팍스글로벌카고 포워딩업체 플라잉익스프레스 트럭운송-칭다오항 위동항운 카훼리운송 -인천항 인천공항공사,아시아나 항공운송-목적지공항조선일보 인터넷판 (07.04.11 )한국의 운송 시스템 RFS 기대효과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1 RFS란?기대효과 한·중간 화물 물동량 상승 기대 화물운송능력 상승 기대한국의 운송 시스템 RFS 기대효과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1 RFS란?RFS 라는 운송시스템의 구축은 크게 화물물동량 증가와 한중간 운송 능력의 상승을 기대하게 한다. 2007년부터 시행하게 되면서 계속해서 현재 지역적 범위 를 넓혀나가고 있는 추세이다.한국의 운송 시스템 RFS 도입 배경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2 RFS 도입 배경새로운 복합운송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제기 중국출발 환적 항공화물 유치→인천공항의 허브화 가속 국내외 물류체계의 효율성 향상기존의 Sea Air 방식보다 상·하역 작업 생략 화물 손상률 감소 화물운송시간 6.2시간 단축기존의 Air Air 방식보다 화물 1kg당 0.3$ 물류비 절감 예상한국의 운송 시스템 RFS 전망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3 RFS 실행과 전망한국의 운송 시스템 문제점과 한계한·중 트럭복합일관수송체계(RFS) 1.4 RFS 문제점 및 한계문제점 Sea Air 화물로 제한 - Sea Air 화물 대부분은 중국 발 한국(인천공항) 경유 항공화물로서, 양국간 물량 불균형에 따른 수익성 저하 장비부족, 유동적 경기 침체에 따른 RFS 수요 감소 - 중국 : ULD 탑재로 트럭운송업체를 한정 - 독점형태로 물동량 집하, 탄력적 대응에 한계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ail Sea Rail) 2.1 도입 배경고부가가치 상품 위주의 수∙출입 분야 수출제품 대부분이 소량 다빈도 해상운송 비효율 지난해 상반기, 수출항공물류 135만 톤 中 22만 톤이 일본물량 항공운송요금 비용 지출 과다 – 운송비 절감 목적 Korail Logis, 고려 페리, JR화물, 일본통운 등과 합작으로 한∙일 해상 육상운송이 수출입 물류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SR) 2.2 운송 과정※ 항공기 (수도권~인천~동경) 1~2일, 컨테이너선 (수도권~부산~동경) 5일RSR 서비스를 2007년 3월 26일부터 개시운송과정을 살펴보시면 전국에서 부산으로 철도망을 활용해 운송하고 부산에서 일본 본토항구까지 페리선을 이용해 고속으로 옮김. 그 후에 일본철도망을 이용해서 목적지까지 가는데, 소요시간을 기존 운송방식과 비교해보면 항공화물 운송보다는 느리지만 2일정도면 운송이 완료되는 비교적 빠른 시스템을 갖췄다고 할 수 있음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SR) 2.3 기대효과 및 전망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SR) 2.3 기대효과 및 전망운송시간 단축부가가치 창출시간 및 비용 절감서울에서 동경 까지 운송시간을 50시간으로 단축항공운임의 30% 가격국제물류의 새로운 트랜드를 선도하는 고객맞춤식 물류서비스 제공양국의 내륙 항만간 철도중심 물류수송 네트워크 구축 고부가가치 운송상품 개발을 통한 국제철도운송시장 개척 수송시간 단축으로 화주의 Needs에 부응하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 철도수송 활성화를 통한 양국 국가 물류비 절감에 기여 교토협약 발효에 대응한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기 대 효 과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SR) 2.4 문제점 및 개선방안한국 : 일본 규격 12ft 컨테이너 운송 위해 Mu및 시스템 기 구축 - 한국 : 20ft, 40ft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으로 기존 샤시를 사용문 제 점한국의 운송 시스템2. 한∙일 철도∙해상 복합운송 서비스(RSR) 2.4 문제점 및 개선방안관련 비용 인하 및 시간 단축 - 예치금, 수수료, 보험료 형태의 관련 비용 인하 노력 → 실질적 비용 절감 효과, 영세 화주의 이용 유도 - 등록절차, 통관절차 개선 통한 운송시간 단축 → 등록관청 변경(시도지사 →관할세관), 전용 통관시설 설치 등 홍보 강화 - 한중일 해륙복합운송 적합 품목, 장점, 비용절감 등 이해당사자(화주, 카페리 선사, 육상운송업체 등) 대상 홍보 확대 → 홍보 활동 강화 통한 전환 수요 창출 가능 ex) 충격과 습도에 민감한 고가 전자제품 수요자는 카페리 해상운송의 안정성 인지도가 미약한 상황개 선 방 안소량 다빈도 물품으로 한회사에서 운송계약을 맺을수도 있겠지만, DHL과 같은 국제특송 업체나 포워딩 업체들도 화주들에게서 물품을 모아서 서비스를 할 수 있게 RSR가 활용될 수 있다.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12피트용기 역시 포워딩 업체에게는 유리한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앞으로는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운송시스템의 활용이 더 다변화될 것이다.한국의 운송 시스템3. 대한항공 화물 운용 시스템 3.1 대한항공 경쟁력 재고 전략24시간 운영체제를 통한 신속한 접수 및 인도바코드 및 최첨단 터미널 운영시스템을 통한 자동화트럭독(Truck dock) 설치를 통한 대기시간 단축고객요구 사항에 맟춘 별도의 특수화물처리한국의 운송 시스템3. 대한항공 식 화물 운용 시스템 3.2 트럭킹 서비스와 다자간 협력 운송 시스템 구축-트럭킹 서비스: 화물전용기가 취항하는 주요도시에서 인근도시 및 미취항 도시까지 트럭으로 운반해주는 것→ 유라시아 대륙에서의 물류시장 개척을 위한 그룹 내의 협력으로 운송 시스템 구축한진, 우즈벡~모스크바 대륙간 트럭킹 개시 (2011.6.20)한반도와 중앙아시아 및 유럽의 연결을 목표로 추진하는 철도 노선한국의 주는 등 TKR이 구축이 되면 한반도의 물류에 큰 영향을 끼칠수 있다고 예상된다.TKR(Trans-Korean Railway)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현대경제연구원(2009)한반도 종단철도 (TKR) 1.1 TKR이란?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1 TKR이란?TKR이 구축이되 여러 철길과 연결이되면 최종적으로는 유럽까지 이을 수 있는 철도수송 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라시아 경제협력 이 가속화되는 인프라를 구축할수 있다는 큰 이점을 얻게 된다. 낙관적으로 전망하자면 한반도 전체를 동북아의 물류중심지로 만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 기업들의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통일전에 구축된다면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에도 기여 할수 있을 것이다.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2 TKR의 경제적 효과남한(약 1억 달러) 북한(약 1억 5천 달러)의 경제적 효과 창출 현재 해상운송에 의존하고 있는 남북교역의 물류비가 1/5수준 (현재 1 TEU 당 1000 달러 수준에서 200달러 수준)으로 절감 TCR, TSR 등 대륙철도망 연계로 인한 통과운송수입을 통해 중간수입을 얻을 수 있다. /철도 연결로 관광산업이 발달로 인한 파생효과 기대 → 안정적 외화수입원으로서의 역할 가능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3 TKR의 연계TKR 개설시 각 철도와의 연계망 구축 가능 개별 철도망 연계 장단점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3 TKR-TSR 의 연계1)단순한 해상 항로를 대신하는 육상 운송로의 확보를 넘어서 러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의 활성화 통로 2) TKR- TSR 연결은 해상운송이 독점해온 물류운송체계를 철도 운송과 분담시켜 양 수송수단의 경쟁 유발 가능 3)TSR의 현재 주 고객은 일본과 한국의 화주들 연계시 운임의 큰 폭 감소로 직접적인 수혜*TSR: 시베리아 횡단철도단점 : 상대적으로 긴 철도망 낮은 기온으로 인한 운송품목는 최적의 노선 3)TSR은 냉대지역인 시베리아 지역을 통과함에 따라 동절기에 TCR은 결빙에 의한 파손을 크게 줄일 수 있음단점 : 중국내 물류량 증가로 철도망 포화 사회주의 국가 영향으로 불안정성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3 TKR의 연계*TMR: 만주횡단철도/ TMGR: 몽고횡단철도1) TSR 과 TCR의 단점 보완 가능 2) 거리단축으로 경제성 실현 가능 3) 활용 여부에 따라 물류의 탄력적 이동 가능단점 : 광궤의 차이로 인한 환적에서 비용소요 환적 과정에서 화물이 지연될 가능성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4 TKR의 장점수송기간의 단축, 수송요금의 절감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 물류 중심국가 역내 외국인투자의 활성화 남북교류를 통한 이질감 해소 철도 산업과 관련된 연관산업의 확충 및 고용창출의 효과 유럽내륙지역으로의 접근성 확보 중동항로의 대체경로로의 잠재력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4 TKR의 단점급변하는 국제정세로 인한 영향 무역과 운송의 분야의 동북아 지역 패권 다툼의 우려 어떤 지역에서 어떤 지역으로 철도를 연결할 것인지에 대한 갈등 우려 각 국과 철도 운영방식에 대한 갈등 철도 건설에 필요한 막대한 기초자원 분담의 문제 발생 가능 남북간 정치적 난제 해결 없이는 불가능한국의 미래 운송 시스템한반도 종단철도 (TKR) 1.5 TKR의 발전 가능성TKR은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유라시아 지역의 자원 부국, 저개발 국가에 대한 경제 협력이 기대된다.중국 등의 대대적 항만개발로 환적물량 감소 한국기업의 해외이전 증가 →국내기반 물동량 증가율 정체 →글로벌 선사 국내기항 회피 → 항만 서비스 질이 하락 항만의 경쟁력 약화 악순환 고리 끊어야 고부가가치 항만 개발 외부환경 실시간 대응 가능 물류시스템 구축한국 운송 시스템 현황과 과제동북아 물류허브 전략 빨간불지나치게 도로운송에만 의존 부산항 컨테이너 화물 편중 현상 도로와 철도가 각각 88%,
    리포트 | 41페이지 | 3,800원 | 등록일 2015.11.18
  • 녹색물류란 물류활동
    , 운반, 하역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의 단축 및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여 물류 효율화 및 합리화 등 기업경쟁력의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성가 ... 녹색물류 시스템 구축사례목 차Ⅰ 서론녹색물류란Ⅱ 본론1. 기업소개 2. 한국컨테이너풀의 녹색혁신 전략3. 한국컨테이너풀의 녹색혁신 사례1) 추진배경2) 녹색혁신 추진내용3) 녹색 ... 을 마련하여 2010년 중 시범사업을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시행을 준비하고 있음을 밝혔다.기업의 녹색 경영Ⅱ 본론1. 기업소개한국컨테이너풀(주)는 한국을 대표하는 물류표준화 기업이
    리포트 | 10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2.10.18
  • [A+ 리포트] 우리나라 수출물류비 절감 방안
    점을 두는 분야는 컨테이너 활용도를 높이는 것과 부산항과 광양항 가운데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곳을 찾는 데 있다. 컨테이너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타이어 적재 방법 ... 을 개선시켜 되도록 많은 양을 컨테이너에 싣고, 수출량을 조절해 컨테이너를 꽉 채울 수 있도록 노력한다. 수입 원자재를 실고 온 컨테이너에 다시 타이어를 실어 항만으로 운송하게 함 ... 물류비 절감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Ⅱ. 본론1. 우리나라 물류 현황국가 물류비는 화물의 수송, 보관, 하역 등 국민경제의 물류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거시 경제적 비용을 의미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11.09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