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기원을 설명한 것이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가 제자해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라고 한다면, 무엇보다도 한자의 제자 방식의 기본이 되는 육서법을 본땄을 것이다. 그런데 송나라 鄭樵 ... 라고 보아진다. 그러나 여기서 한자는 표의믄자임을 상기해봐야 할 것이다. 즉 꼴을 모방하는 데는 '象'자가 쓰이고 '倣'자는 모방이라는 뜻을 가질 때 쓰인다. 그러므로 여기서 은 고
성보다도 제자 방식을 가지고 훈민정음의 기원을 설명한 것이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가 제자해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라고 한다면, 무엇보다도 한자의 제자 방식의 기본이 되는 육서법 ... 새 글자의 소리내기와 쓰임새를 밝힌 '예의 편(예의편)'까지로, 말하자면 훈민정음의 '본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함으로 우매한 백성 ... (音節))를 이룰 수 있다. 이 글자를 가지고 한자음(漢字音)과 우리말을 모두 책에다 옮겨 적을 수 있으며, 글자가 매우 간결하나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 글자를 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