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중 하나에 설정3 저당권의 실행으로 토지 또는 건물만 경락4 경매로 건물 또는 토지소유자가 각각 다름(3) 가등기담보권의 실행에 의한 법정지상권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동일인 ... 하는 원칙(제185조)2. 근거(1) 공시원칙의 관철(2) 물권거래의 간이화와 안전3. 민법 제185조의 해석(1) 보충적 효력설제1조와 같이 관습법은 보충적 효력만 인정. 따라서 법률 ... 에 정한 물권과 다른 물권은 불인정(2) 대등적 효력설제1조의 예외. 법률에 정한 물권과 다른 물권도 관습법에선 인정(3) 변경적 효력설관습법에 더 강한 효력을 인정하는 설. 법률
(私法)에 있어서 '상법', '근로기준법', '저작권법', '부동산등기법', '호적법', '신원보증법', '공탁법', '유실물법', '가등기담보등에 관한 법률'과 같은 특별사법 ... 함으로써 부수적 의무와 이에 상응하는 권리를 발생케 한다. 또한 법률행위의 전제가 된 어떠한 상황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거나 그 상황이 변경 혹은 소멸된 경우에 법률행위의 효력을 그대로
의 부동산물권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부동산명의신탁은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명의신탁 계약은 무효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상호명의신탁이나 양도담보, 가등기담보의 등기, 신탁법 또는 ... 상 명의신탁의 효력1. 부동산실명제의 실시배경 및 적용대상2. 부동산실명제에 따른 명의신탁의 효력3. 명의신탁 유형에 따른 법률관계Ⅰ. 서설- 원래 부동산 명의신탁제도는 일제 강점 ... . 선고 96다12009등이 있다. 또한 소유권 외에 지상권, 전세권 등 용익물권도 가능하다. 대법원 1998. 9. 4. 선고 98다20981“전세권이 담보물권적 성격을 아울러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