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37)
  • 리포트(306)
  • 시험자료(25)
  • 논문(4)
  • 방송통신대(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아/어지다" 검색결과 221-240 / 337건

  • 공무원 시험 한글 맞춤법 통일안 및 예제문제
    (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cf)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자음ㄱ, ㄲ, ㄴ, ㄷ ... 1. 맞춤법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자음 ... (隱匿)②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Non-Ai HUMAN
    | 시험자료 | 3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11.10
  • [국어교육] 한글맞춤법(국립국어원)
    (기역)ㄴ(니은)ㄷ(디귿)ㄹ(리을)ㅁ(미음)ㅂ(비읍)ㅅ(시옷)ㅇ(이응)ㅈ(지읒)ㅊ(치읓)ㅋ(키읔)ㅌ(티읕)ㅍ(피읖)ㅎ(히읗)ㅏ(아)ㅑ(야)ㅓ(어)ㅕ(여)ㅗ(오)ㅛ(요)ㅜ(우)ㅠ(유 ... 로 그걸로나는 난나를 날너는넌너를널무엇을뭣을/무얼/뭘무엇이뭣이/무에제34항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본말 ... ’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본말)(준말)(본말)(준말)꼬아 꽈 꼬았다 꽜다보아 봐 보았다 봤
    Non-Ai HUMAN
    | 리포트 | 5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9.09.04
  • 국어사(우리말 발달사)기말고사 10문제 요약 정리
    ’로 변화- 18C : 1음절에서 ‘ㅏ’③ 모음조화- 양성 ‘아, ?, 오’와 음성 ‘어, 우, 으’의 대립- 중성 ‘이’는 양성과 조화- 15C 엄격 → 16C 문란 → 18C 급격히 ... -’는 접사에 가까우나, 단독어간이 되므로 합성어)② 통사적 합성어- 합성용언ⓐ 아/어 활용형 : 나?-가다, 도라-오다, ?라-디다ⓑ 부사+용언 : 닫-나다, ??-디르다, 츠기-녀기다 ... 국어사 - 기말고사 대비1. 중세국어의 자음변화1) 어두 자음군의 변천① ㅂ계 어두자음군의 변천- 16C ~ 17C : 표기의 동요 → 18C : ㅅ계로 바뀌면서 경음화 완성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4.2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음운의 변동
    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이다.① 합성 명사(순우리말+순우리말, 순우리말+한자어)를 이룰 때,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모음, ㄴ,ㄹ,ㅁ,ㅇ) 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 람], 등 + 불 → 등불[등뿔], 초 + 불 → 촛불[초뿔], 배 + 사공 → 뱃사공[배싸공], 장마 + 비 → 장맛비[장마삐]② '한자어 +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사이시옷을 적 ... ], 외곬[외골], 핥고[할꼬], 앉고[안꼬]2>ㄺ,ㄻ,ㄿ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둘째 자음이 남는다.(단 ㄺ은 ㄱ앞에서는 앞자음 ㄹ로 발음한다.)예)읽지[익지], 삶[삼], 닭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07.03
  • 한국어의 문장 구조 접속과 내포
    한국어의 문장구조15장 문장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 주어와 서술어 -> 이에 목적어나 보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함.이에서 나아가 복잡한 형태의 문장구조를 이루는 접속, 내포 ... 안에 없는 경우b.철수는 지하철에서 우연히 만났던 사람을 또 만났다.-> 관계절 : 임의적인 수식어로서 그것이 없어도 문장 성립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머리명사와 동일지시적인 명사구 ... 에뤄짐.보조 용언 구성의 특징 : 보조용언에 따라 본용언에 일정한 연결어미를 요구②보조용언과 연결어미의 호응 관계-어가다, 계시다, 나가다, 내다, 놓다, 대다, 두다, 드리
    Non-Ai HUMAN
    |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5.22
  • 노랫말속의 한글오용 사례 연구
    은 타동사 어간에 ‘-이’, ‘-히’, ‘-리’, ‘-기’ 등의 접미사를 붙이는 경우와 ‘-아/-어’, ‘-지다’를 붙이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먹이다’, ‘잡히다’, ‘불리 ... 어서 편하네요.3) '러' 불규칙 활용 용언의 오용‘따르다’, ‘들르다’의 경우 ‘-아/-어’와 결합하면 ‘따라’, ‘들러’가 되어 ‘ㅡ’가 탈락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것은 규칙 ... 에 의한 피동과 '-어 지다'에 의한 피동의 표현을 중복하여 ‘쓰여지다’, ‘불리워지다’, ‘보여지다’, ‘바뀌어지다’ 등으로 잘못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중 피동표현인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2.12
  • 향가의 표기 원리와 제망매가 해석
    (의) 浮:훈독(?) 良:음독(어) 落:훈독(디-디다, 지다)尸:음독(ㄹ)→딜(질) 葉:훈독(잎) 如: 훈독(?)一等隱枝良出古 (일등은지량출고)?? 가지라 나고 / 한 가지에 나고一 ... 으매 머뭇거리고此:훈독(이) 矣:음독(의)→이에 有:훈독(잇) 阿:음독(아) 米:음독(매) 次:훈독(머뭇거리다) 遣:음독(고)吾隱去內如辭叱都 (오은거내여사질도)나? 가?다 말ㅅ도 / 나 ... 秋察早隱風未 (어내추찰조은풍미)어느 ?? 이른 ??매 /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於內:음독, (어?-어느) 秋:훈독(??-가을) 察:음독(?) 早:훈독(이르)隱:음독(ㄴ)→이른 風
    Non-Ai HUMAN
    | 리포트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12.03 | 수정일 2013.12.25
  • 충청도 방언 조사
    ), 도치 (도끼), 지랑(간장), 또아리 / 또아뱅이 (또아리)' 등3. 충청도 방언의 예1. 어~ 이 상채누가 갖다 준겨?- 생채 의 충청도 방언2. 밖에 나가 꽤(괘) 털어라! ... 어서 가장 중요한 의사 소통 수단. 지구상에는 적어도 6000 여 개 정도의 언어가 쓰이고 있다. 방언이라는 것은 공통어나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의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용법 ... . '표준어' 에 대한 '사투리' 정도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향 이것은 어디까지나 편견에서 비롯된 잘못된 인식이라 할 수 있다. 한 방언은 그 지역의 역사, 사회, 문화 등을 반영
    Non-Ai HUMAN
    | 리포트 | 2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중세국어문법 총정리
    , 사동이 있으나 중세 국어나 현대 국어와 구분되는 구조적인 문제는 없으나, 다만 피동의 경우 ‘-이,-히,-리,-기’ 형 피동보다 ‘-아/어지다’ 형 피동과 사동에 있어도 사동 접미사 ... 다. ‘r’음이 ‘l’음으로 발음되는 설측음화 현상은 이미 15세기에 나타나고 있다.(다?-+-아>달아(異), 므르-(退)+-어>믈러, 벌에(?)>벌레, 머리(遠)>멀리)11) 자음 ... 에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시-’는 모음 어미 앞에서는 ‘-(으)샤-’로 교체되는데, 이때 모음 어미는 탈락된다. 즉, 어미 ‘-아/어’, ‘-오?/이다.
    Non-Ai HUMAN
    | 리포트 | 3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2.08 | 수정일 2017.03.30
  • [수화][수화의 어원적 의미][수화의 특징][수화의 목적][수화에 대한 상반된 견해][청각장애][청각장애아][농아][청각장애인 의사소통]수화의 어원적 의미, 수화의 특징, 수화의 목적, 수화에 대한 상반된 견해 분석
    수화의 어원적 의미와 수화의 특징 및 수화의 목적 그리고 수화에 대한 상반된 견해 심층 분석Ⅰ. 서론Ⅱ. 수화의 어원적 의미1. 수위에 기초한 어족1) 머리부위2) 눈 부위3 ... ) 코 부위4) 입 부위5) 귀 부위6) 뺨 부위7) 턱 부위8) 목 부위9) 가슴 부위10) 배 부뷩11) 어깨 부위2. 수형에 기초한 의미3. 수동에 기초한 어족1) 수직적 동작2 ... 는 증거도 없다. 뿐 만 아니라 중국 수화는 그 고유성(전통성)에서 한국 수화와 다른 배경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한국 청각장애아 교육 입문기에 중국 수화의 유입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9.03.20
  • 한글 맞춤법 정리
    는다(반짝반짝/번쩍번쩍, 깡충깡충(0)/껑충껑충(큰말), 깡총깡총(x)~ 동이(x)-> ~둥이(0)-> 막둥이(0), 쌍둥이(0)오뚝이(0)2) '아'가 '어'로 바뀐 경우앗 ... 는 독립성이 없기 때문에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음-몇 냥, 몇 리, 모를 리...*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 또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 ... -어리 -> 귀머거리넘(다)+-어 -> 너머막(다)+ 암 -> 마감죽(다)+ 엄 -> 주검묻(다)+ 엄 -> 무덤(안정적 형태 '이')*** 곳곳+이- -> 곳곳이, 낱낱 +이
    Non-Ai HUMAN
    | 리포트 | 1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11.24
  • 국어사(고대국어사, 중기국어사, 근대국어사, 현대국어사)
    다. 다만 피동의 경우 어휘적 공백을 예측하기 어려운'-이.-히.-리.-기-'형의 피동보다 '-아-/어지다'형 피동이, 사동도 접미사형보다는'-게 하다'형 사동이 더 생산적으로 쓰이. ... 가표기로 보인다.(모음체계) 단모음은 '이'를 무관모음으로 후설'아. .오'대 비후설 '어.으.우'모음이 상관적 대립을 이루고, 이러한 대립은 당시 모음조화와 일치한다. 훈민정음 ... 계열은 알타이 공통어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체계를 보여준다.이는 곧 알타이 공통어에서 원시 한국어가 맨 먼저 분리한 후 퉁구스 몽고 터키의 단일시대가 오래 계속되었던 것을 암시하기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1.09 | 수정일 2015.07.19
  • [국어사] 국어사(고대국어사, 중기국어사, 근대국어사, 현대국어사)
    다. 다만 피동의 경우 어휘적 공백을 예측하기 어려운'-이.-히.-리.-기-'형의 피동보다 '-아-/어지다'형 피동이, 사동도 접미사형보다는'-게 하다'형 사동이 더 생산적으로 쓰이. ... 가표기로 보인다.(모음체계) 단모음은 '이'를 무관모음으로 후설'아. .오'대 비후설 '어.으.우'모음이 상관적 대립을 이루고, 이러한 대립은 당시 모음조화와 일치한다. 훈민정음 ... 계열은 알타이 공통어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체계를 보여준다.이는 곧 알타이 공통어에서 원시 한국어가 맨 먼저 분리한 후 퉁구스 몽고 터키의 단일시대가 오래 계속되었던 것을 암시하기
    Non-Ai HUMAN
    |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02
  • [인문어학]사동과 피동
    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잡히다’에서처럼 피동접미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파생적 피동(접미사 피동), ‘잡아지다’에서처럼 피동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어)지다’가 붙어서 이루어진 ... 에게만(순철이한테만) 짐을 지우느냐?이들 예문의 (나)는 주동문 (가)의 사동문이다. 사동문에는 해당 주동문의 주동사 ‘숨다’, ‘돌다’, ‘지다’에 대한 사동사 ‘숨기다’, ‘돌리 ... 성분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자동사나 형용사에서 파생된 사동사가 쓰인 문장에서는 본래의 주어가 목적어가 되며, 타동사에서 파생된 사동사가 쓰인 문장에서는 본래의 주어가 목적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5.30
  • [국어]국어 피동문과 사동문의 오용과 남용
    라고 할 수 있다.피동문을 만드는 데에 반드시 피동접미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피동접미사가 결합하여 被動詞化하지 않고도 능동사의 어간에 (-아/어) 지다 나 (-게) 되다. 가 ... 까지는 피동접미사가 이루어진 파생적 피동(접미사 피동), -(어)지다 가 붙어서 이루어진 통사적 피동, 당하다 와 같이 어휘 자체가 피동 의미를 띠고 있는 어휘적 피동으로 나누 ... /어 +보조 동사 지다 의 형태를 띠는 피동문이다. (이주행, 2004) 이렇게 -지다 를 이용한 피동문의 사례는 다른 피동문보다 훨씬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8) 전국에 건조주의보
    Non-Ai HUMAN
    |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1.16
  • 각 방언의 특징이 담긴 ppt자료입니다.
    ”의 방언구획 견해로 각 지역방언의 특징을 알아보자.방언구획과 관련된 각종 견해『방언구획과 관련된 견해』조선어 연구회(1937) : 경기도방언, 함경도 방언, 평안도방언, 강원도 ... 함경도방언에서는 고고조 단어가 없다.성대폐쇄음 [ʔ]이 있다.[ʔ]은 부정사 '아니'에서 나타나는데 '아니'는 'ㄴ'이 탈락하고 '아'가 비모음이 되는데 그 '아'가 [ʔ]를 동반 ... 하고 발음되는 것이다.어미가 특징적이다.'-지비' : 문말에 쓰이며, 이 어미는 표준어 '-지'에 해당된다. '-슴, -슴메' → '-습니다.' '-ㅂ세' → '-세' '-우다
    Non-Ai HUMAN
    | 리포트 | 3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8.11.23
  • [인문]중세국어의 문법적(통사론적) 특징은 무엇인가(현대국어와 비교)
    다.① 피동문의 형성 방법단형 피동 : 타동사 어근 + 이, 히, 리, 기 →피동사 (보이다, 먹히다, 들리다)장형 피동 : 용언어간 + 어지다 → 피동사(보아지다, 예뻐지다, 높 ... 아지다)단형피동 + 어지다 → 피동사(보여지다, 잡혀지다, 들려지다, 끊겨지다)② 사동문의 형성 방법단형 사동 : 용언어근 + 이, 히, 리, 기, 우, 구, 추→사동사(속이 ... , 가, 께서, 에서목적격 조사 : 을 를보격 조사 : 이 가부사격 조사 : 에, 에서, 으로서서술격 조사 : 이다관형격 조사 : 의호격 조사 : 아 야, 이시여3. 기본 문형기본
    Non-Ai HUMAN
    |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12.21
  • 주시경최현배김두봉정렬모 품사분류
    는 소리를 이르는 기를 다 이름이라-아, 하, 참, 들.끗(終結詞)한 말을 다 맞게 함을 이르는 여러 가지 기를 다 이름이라-다, 이다, 냐, 들2. 최현배(1937, 『우리말본 ... 다피동보조동사(‘입음도움움직씨’): 지다, 되다진행보조동사(‘나아감도움움직씨’): 오다, 가다종결보조동사(‘끝남도움움직씨’): 나다, 내다, 버리다, 말다봉사보조동사(‘섬김도움움직씨 ... 고, 닥아그림씨(형용사)의미상성상형용사(‘속겉그림씨’): 검다, 달다, 시끄럽다, 지리다, 비리다, 미끄럽다, 새롭다존재형용사(‘있음그림씨’): 있다, 계시다, 없다비교형용사(‘견줌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1.04
  • 북한의 맞춤법
    ) 한자(된지읒)ㅏ (아) ㅑ (야) ㅓ (어) ㅕ (여) ㅗ (오) ㅛ (요) ㅜ (우) ㅠ (유) ㅡ (으) ㅣ (이) ㅐ (에)ㅒ (얘) ㅔ (에) ㅖ (예) ㅚ (외) ㅟ (위 ... ㄳㄴㄵㄶㄷ북), 아름다워(남)-아름다와(북) 등.다음은 어미 ‘어’가 ‘여’로 바뀌는 경우로 남북이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다.「조선말규범집」제11항 말줄기가 ≪아, 어, 여≫ 또는 ... , … 개정, 그, 느, 드, … 허용, 된기윽, 된디읃,된비읍, … 개정.(3) 한자어는 본음대로 적게 하여 두음법칙 부정.(良心-량심, 樂園-락원)(4) 어간의 모음이 ‘ㅣ, ㅐ
    Non-Ai HUMAN
    |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5.12
  • 국어사 개설의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 활용
    ??〉??〉?을〉가을ⓑ ㅅ 불규칙 용언 낫+아〉나?〉나아, 짓+어〉지?〉지어ⓒ 울림소리 사이의 사잇소리㉡ 특이한 예로 ‘ㅿ〉ㅈ’(강화)몸?〉몸조(몸소),손?〉손조(손수),한?>한 ... 예. 아옥, 어엿비, 아?, 욕(欲), ?(此)둘째, 보다 적극적인 기능을 가진 것 예. 알-(知의) 활용형 ‘알어늘’, ‘알오는’ ‘알거늘’, ‘알고’ 등으로부터의 변화인데 15 ... ) : 지다(負), 딥(藁) : 집(家)디(地) : 지(止), 텬(天) : 쳔(千)한편 이 시기에 ‘마듸(節), 잔듸(茅), 어드(何處), 드듸다(踏)’ 등은 구개음화 조건이 이루어지
    Non-Ai HUMAN
    | 리포트 | 1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12.11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