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우리 모두는 이미 환경호르몬에 오염돼 있다.환경호르몬의 발생원으로서 의약품 및 화학약품은 어느 정도 주의하면 피할 수 있지만 농약,쓰레기 소각,폐기물에 의한 다이옥신 ...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우리 자손을 지키자.'환경부가 지난해 4월부터 올 8월까지 전국 113개 지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호르몬의 생태영향 및 잔류실태 조사’결과 국내 생태 ... 는지 조차 불확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호르몬에 대한 기준치가 전혀 마련돼 있지 않아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환경호르몬 전문가인 경성대 류병호 교수(식품공학과)가 최근 펴낸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