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을 받고 있는 여권신장주의는 본질적으로 엘리트주의를 공격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래서 여권신장주의의 주요 적들 중의 하나는 모더니즘이며, 그 프로그램 중에 있는 것 중 ... 의 신체에 대한 여성적 에로티시즘을 강조하고 있다.이렇게 범주와 장르를 혼합하는 것은 1970년대에 모든 예술 분야에서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은 양식이 되었다. 이런 절충의 시기
, 꿈의 해석, 토템과 터부 등 프로이트의 연구는 심리학은 물론이고 종교·도덕·문화·예술 등 모든 영역에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사회적으로는 전통적인 부르주아 모랄이 공격의 대상 ... 들의 불감증으로 인해 에로티시즘을 처절하게 만든다. 그처럼 초현실주의 영화는 관중을 불안하게 하고, 때로는 분개하게 만들기도 했지만, 관중의 감수성과 사고 방식을 뒤흔들어 새로운 시각
에 따라 에로티시즘이 소비와 여가의 산업 경제와 상업 문화에 적극 이용되면서 인간의 성은 한낱 상품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성은 스트레스 해소에서부터 사교, 오락, 유흥, 향략과 퇴폐 ... 가 성적 조작성을 지적하고 문제삼는 일차적 이유라고 볼 수도 있다.기학적이고 자학적인 성,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성이 시장경쟁 속에서 공공연하게 노출되는 현실은 각종 성폭력과 성범죄
. 「분녀」작품 초반에 주인공 분녀는 돼지에게 공격을 당하는 꿈을 꾸는데 이는 명준에게 강간당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것이다.우리도 없는 농장에 아닌 때 웬일인가들 의아하게 여기고 있 ... 적 도덕적으로 타락했다고 부정적으로 보는 데는 무리가 있다. 또한 이효석이 작품 속에 인간의 애욕, 성욕을 그린 점을 단순히 에로티시즘의 경향으로 보는 것도 적절하지 않 ... 다고 여겨진다. 아래의 글을 통해 이효석의 성의식, 작품에 나타난 성욕의 의미를 보다 깊이있게 살펴볼 수 있다.작품의 애욕을 그렸다고 곧 에로티시즘이라고 명명함은 마치 여인(麗人)을 본 즉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