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을 희화화하며, 도덕적 메세지를 모호하게하고, 환상과 현실의 경계가 붕괴되었으며, 블랙유머와 주인공 아닌 주인공의 등장, 요컨데 부조리에 대해서가 아니라 부조리 그 자체인 소설 ... 는 「예술소설」이라는 특징으로 불리우는 모더니즘 소설에 대해 사망선고를 내리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이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가장 전형적이고 유일한 문학형태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존
은 30년대 문학에 다양성과 차이를 제공해 주는 장점도 갖고 있었다. 또 일군의 작가들은 당대를 어둠과 폭력과 광기의 시대로 파악하고 블랙유머가 가미된 폭력소설을 쓰거나, 개인 ... 에 관심을 갖는 리얼리즘적인 사회저항소설로 바뀌게 되었으며, 자본주의에 대한 환멸은 사회주의에 대한 동경으로 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청은, 심지어 Faulkner ... 나 Hemingway나 Fitzgerald 같은 20년대 작가들까지도 자신들의 문학적 성향이나 신념이나 재질과는 정반대인 30년대식 소설을 쓰도록 강요했다. 예컨대 Faulkner
서론'더블린 사람들' (Dubliners) 은 제임스 조이스의 최초의 소설로서 그의 청년기인 1904년과 1907년(22세∼25세)사이에 쓰여진 작품이다. '더블린 사람 ... 한다."Dubliners" 의 마지막 작품인 'The Dead' 는 제임스 조이스의 대표적 단편일 뿐 아니라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단편 소설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다른 14개 ... 에 아일랜드 서부 해안에 위치한 Aran 섬으로 여행을 가자는 제의를 한다. 뒤이어 그는 연설을 하는데 그 내용은 구세대가 가지고 있는 아일랜드 특유의 환대, 유머, 인간미 등의 미덕
와 블랙유머적인 개그 등이 바로 잘 만든 영국 영화에서 대부분 발견되는 특성들이다.이런 특성은 헐리우드 영화에 영국영화가 완전히 주도권을 뺏기고 나서 보다 강화되는 듯하다. 최근 ... 역할을 수행했다.아일랜드 출신의 소설가이며 시나리오 작가인 재능 있는 영화감독 닐 조단의 최신작 『크라잉 게임』도 바로 그런 영화중의 하나다. 90년대로 접어들면서 우리들의 세상
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엽기라는 말은 우리 사회가 수용하고 있는 하위문화(subculture) 양식들과 관련을 맺고 있다. 엽기라는 용어는 심한 부조리를 동반하는 블랙유머, 포토샵 ... (Grotesque) 신체’라는 개념을 대두시킨 프랑소와 라블레(Francois Rablais)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도 엽기의 양상을 띠고 있다고 봐야 한다.완벽한 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