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도, 도시의 성장에 기여한 것은 자동차이다. 자동차는 도로만 있다면 어디에나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도시의 확장(스프롤 현상)은 극에 달했다.이제, 교통 수단의 발전 ... 이책의 부제(副題)는 '과학자의 눈으로 본 도시 이야기'이다. 확실히 과학자들의 눈에 비친 도시는 인문학자들의 눈에 비친 도시와 달랐다. 인문학자들이 '사람'의 관점에서 도시 ... 를 본다면, 과학자들은 '기술'의 관점에서 도시를 본다.'과학적으로 본다면', 도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 이상으로 발전하지 못한다. 그리고 기술의 발전은 도시의 새로운 성장
문제들이 있다. 빈곤, 인종차별, 성차별, 아동학대, 알코올중독, 마약중독, 이혼의 증가, 교육시스템의 실패,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과 부상, 교외 스프롤현상, 의료비용의 상승 ... 적인 접근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문제 해결책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다. 고 주장했다.도시정부는 중심가를 일방통행으로 만들 수 있을까? 라는 매우 간단한 정책문제가 있다. 정책결정자 ... 는 교통(다른 거리의 혼잡함 등을 포함), 시민의 편리함 또는 기업의 이익 등 정책으로 인한 모든 영향력을 알 수는 없다. 심지어 도시를 위해 기존까지 이용되지 않는 전문기술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