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어 14주어위정자의 자세 15아군과 적군을 혼동

21권으로 구성된 춘추시대의 국별(國別) 사서(史書)이며 `국어`라는 제목은 `각국의 역사 이야기`라는 뜻이다. 주어(周語) 3권, 노어(魯語) 2권, 제어(齊語) 1권, 진어(晋語) 9권, 정어(鄭語) 1권, 초어(楚語) 2권, 오어(吳語) 1권, 월어(越語) 2권으로 나누어져 각각 사담집(史談集)의 형태로 기술되어 있다. 각국사(各國史)이긴 하지만 동시대의 주요국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춘추시대 전사(全史)라고 할 수 있다. 옛부터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의 저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이 책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한 사람의 저술이 아닌 각국 사관(史官)의 기록을 한대(漢代)에 와서 편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시기는 주(周) 목왕(穆王) 35년(BC 967)에서 정정왕(貞定王) 16년(BC 453)까지 515년간으로, 〈춘추 春秋〉에 나와 있는 연대(BC 722~481)보다 훨씬 길다. 그러나 각 나라에 대한 정확한 기록인지는 의심이 가는 점이 많은데 제어(齊語)의 내용이 〈관자 管子〉의 소광편(小匡篇)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오래된 주석으로는 삼국시대 오(吳)나라 위소(韋昭)의 것이 남아 있어 널리 쓰이고 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4.03 최종저작일 2009.04
5P 미리보기
국어 14주어위정자의 자세 15아군과 적군을 혼동
  • 미리보기

    소개

    21권으로 구성된 춘추시대의 국별(國別) 사서(史書)이며 `국어`라는 제목은 `각국의 역사 이야기`라는 뜻이다. 주어(周語) 3권, 노어(魯語) 2권, 제어(齊語) 1권, 진어(晋語) 9권, 정어(鄭語) 1권, 초어(楚語) 2권, 오어(吳語) 1권, 월어(越語) 2권으로 나누어져 각각 사담집(史談集)의 형태로 기술되어 있다. 각국사(各國史)이긴 하지만 동시대의 주요국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춘추시대 전사(全史)라고 할 수 있다. 옛부터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의 저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이 책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한 사람의 저술이 아닌 각국 사관(史官)의 기록을 한대(漢代)에 와서 편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시기는 주(周) 목왕(穆王) 35년(BC 967)에서 정정왕(貞定王) 16년(BC 453)까지 515년간으로, 〈춘추 春秋〉에 나와 있는 연대(BC 722~481)보다 훨씬 길다. 그러나 각 나라에 대한 정확한 기록인지는 의심이 가는 점이 많은데 제어(齊語)의 내용이 〈관자 管子〉의 소광편(小匡篇)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오래된 주석으로는 삼국시대 오(吳)나라 위소(韋昭)의 것이 남아 있어 널리 쓰이고 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4周語上:
    주어상
    內史興論晉文公必霸
    내사 흥이 진문공에게 반드시 패자가 될 것이라고 논의함

    襄王使太宰文公及內史興賜晉文公命.
    양왕이 태재 문공과 내사 흥에게 진문공에게 제후의 직위를 명령하였다.
    上卿逆于境,晉侯郊勞,館諸宗廟,饋九牢,設庭燎。
    진문공은 상경을 국경에 보내고 진후는 교외에서 위로하며, 종묘에 여관을 만들고 9뢰를 준비하며, 뜰에 커다란 불인 정료를 설치하였다.
    及期命于武宮,設桑主,布几筵,太宰蒞之,晉侯端委以入。
    무궁에 왕명을 기약하며 상주를 설치하고 궤연을 펴서 태재가 임하게 하며 진제후는 현단과 위모를 가지고 들어갔다.
    太宰以王命命冕服,內史贊之,三命而後即冕服。
    태재는 왕명으로 면복을 입게 하며 내사가 도우며, 3번 명령을 내린 이후에 면복을 입었다.
    既畢,賓、饗、贈、餞如公命侯伯之禮,而加之以宴好。
    의식이 끝나고 빈, 향, 증, 전의 예를 공이 후백에게 명령한 예와 같이 하며 잔치를 좋게 더해주었다.
    內史興歸,以告王曰
    내사 흥이 귀국하여 왕에게 보고하면서 말했다.
    「晉,不可不善也。
    진나라는 좋게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其君必霸,逆王命敬,奉禮義成。
    임금은 반드시 패자가 되어 왕명의 가르침에 공경하며 예의를 받들어 의를 성공했습니다.
    敬王命,順之道也;成禮義,德之則也。
    왕명을 공경하니 순종하는 도리이며, 예의를 완성하니 도덕의 법칙입니다.
    則德以導諸侯,諸侯必歸之。
    덕으로 제후를 인도하니 제후가 반드시 그에게 귀의할 것입니다.
    且禮所以觀忠、信、仁、義也,忠所以分也,仁所以行也,信所以守也,義所以節也。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