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의지서여 칠절지방중유소심 난경정의삼초평 동원삼초론

의지서여 칠절지방중유소심 난경정의삼초평 동원삼초론 중국 명나라 손일규(孫一奎)가 만력(萬歷) 연간에 편집한 의론서. 전 2권. 손일규가 의학을 배워 체험한 것과 견해를 모으고, 『황제내경(黃帝內經)』 원문을 부분적으로 요점만 간추려 기록한 것이다. 내용은 맥상(脈象), 진법(診法), 병기(病機), 약성(藥性) 및 의안을 엮었으며, 모두 60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 해(咳), 천(喘), 효(哮) 등과 유관한 병증의 감별 진단과 치료, 장중경(張仲景) 등 의학자와 그 저술에 대한 평가 등 취할 만한 내용이 많다. 현재 『적수현주(赤水玄珠)』본이 있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3.26 최종저작일 2009.03
18P 미리보기
의지서여 칠절지방중유소심 난경정의삼초평 동원삼초론
  • 미리보기

    소개

    의지서여 칠절지방중유소심 난경정의삼초평 동원삼초론
    중국 명나라 손일규(孫一奎)가 만력(萬歷) 연간에 편집한 의론서. 전 2권. 손일규가 의학을 배워 체험한 것과 견해를 모으고, 『황제내경(黃帝內經)』 원문을 부분적으로 요점만 간추려 기록한 것이다. 내용은 맥상(脈象), 진법(診法), 병기(病機), 약성(藥性) 및 의안을 엮었으며, 모두 60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 해(咳), 천(喘), 효(哮) 등과 유관한 병증의 감별 진단과 치료, 장중경(張仲景) 등 의학자와 그 저술에 대한 평가 등 취할 만한 내용이 많다. 현재 『적수현주(赤水玄珠)』본이 있다.

    목차

    八、 七節之傍中有小心
    九、《難經正義》三焦評
    九、《難經正義》三焦評

    본문내용

    八、 七節之傍中有小心
    7절의 곁에 소심이 있다는 설

    或問、七節之傍、中有小心, 或指下第七節命門穴爲小心者, 有以小心爲志心者、有以小心爲少火、以少火爲相火者、何紛紛之不一耶?
    혹자가 묻길 7절의 곁에 소심이 있다고 하며, 혹자가 7절 아래 명문혈이 소심이라고 하며 소심은 지심이 되며, 소심이 소화라고 하며 소화를 상화라고 여긴다고 하니 어찌 분분하게 한결같지 않습니까?
    請爲悉之.
    청컨대 모두 알길 원합니다.
    生生子曰∶此出《內經·刺禁論》.啟玄子注曰∶“小心者,真心神靈之宮室也。”
    생생자가 말하길 이는 내경 자금론의 계현자 왕빙주에서 말하길 소심은 진심신령의 궁실이라고 했습니다.
    又注《陰陽類論篇》,有曰: 新校正 云∶按《太素》小心作志心,楊上善以志心爲腎神,故乃倒數脊骨下七節認爲小心,顧命門穴乃十四椎間,即以下逆數之,亦在第八節矣,非第七節也。
    또한 음양유론편 주석에 신교정에서 말하길 태소를 살펴보니 소심은 지심으로 되어 있으니 양상선이 지심을 신신으로 여기므로 척추뼈 아래 7마디를 소심이라고 거꾸로 인식하니 고찰하면 명문혈은 14척추 사이에 있으니 아래로 거꾸로 세면 또한 8번째 관절이니 7관절이 아니다.
    又不思《經》曰∶“伏鼓不浮,上空志心”
    또한 내경의 엎드린 북처럼 뜨지 않으니 위로 지심이 빈다고 했다.
    (此陰脈盛而陽氣弱,故上控於心,如奔豚積氣瘕疝之類是也)。
    이는 음맥이 왕성하며 양기가 약하여 그래서 심에 위로 당김이 마치 분독과 적기와 가산의 종류와 같은 것이다.
    啟玄子注曰∶“脈伏鼓擊,而不上浮,是心氣不足,故上控引於心而爲病也。”
    계현자 주석에서 말하길 복맥이 북처럼 치면 위로 뜨지 않음은 이는 심기가 부족하므로 위로 심장에 당겨서 병이 된다고 했다.
    此注良是。
    이 주석은 진실로 옳다.
    設爲腎而言,則當無“上空”二字矣。
    설혹 신이 말이 되면 상공이란 두 글자가 없다.
    此楊上善之誤,故後人即以命門爲小心,認小心爲少火,認少火爲相火,顛倒無限,皆由此一誤也。
    이는 양상선의 오류로 그래서 후대 사람이 명문을 소심이라고 여기며, 소심을 소화라고 인식하며, 소화를 상화라고 인정하면 엎어짐이 한도가 없음이 모두 이로부터 한번 오류가 됨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