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너의 역사, 노베르트 엘리아스, 신서원 (52~68p, 121~133p)
· 궁정사회, 노베르트 엘리아스, 한길사 (68~72p, 89-92p)
·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 이광숙, 서울대학교 출판부 (88~112p)
· 사소한 것들의 역사 1권, 와타히키 히로시, 자작 (67-89p, 121~156p)
· 식탁위의 쾌락(맛있는 역사), 하이드룬 메르클레, 열대림 (46-84p, 155-189p)
· 설탕과 권력, 시드니 민츠, 지호 (78-94p)
· 카트린드메디치, Jean Orieux, 들녘 (76-122p)
· 유럽 식문화 연구, 한국 조리학회지
· FEAST, 로이 스트롱, 넥서스 (56-87p, 167-223p,)
· Versailles, 알랭 푸즈투 외4명, 창해 (6-19p, 44-46p)
· Gourmet, 클레르 부알로, 창해 (23-56p, 62-83p)
· EEBO (banquet, feast, royal feast, festival)
· 원융희, 세계의 음식 문화, 자작나무, 1999, p.316.
· Dunne·Southern Accents, the epicurean collector, Bulfinch, 2002, p.152.
· 시공사, Table Setting casa living, 2000, p.59.p.64.
· 헨리 페트로스키 저 ; 이희재 역, 상게서, p.242.
· 具千書 , 세계의 식생활 문화, 향문사, 1994, p.249, 251
· Margaret Visser, the rituals of dinner, Penguin Books, 1991, p.169.
· 헨리 페트로스키 저 : 이희재 역, 상게서, p.26, 27, 30
· 이종문화사 편역 , 세계 장식 미술 (4), 이종문화사, 2000, p.403, 404
· 木村子み, 상게서, p.89, 90
· fork라는 말은 농부의 건초용 포크를 의미하는 라틴어의 풀카(furca)에서 유래 (木村子み, p90)
· 박영수, 유행 속에 숨어 있는 역사의 비밀 (고대.중세편), 살림, 1998, p.312, 314
· 임영상, 최영수, 노명환, 음식으로 본 서양문화, 대한교과서, 1997, p.34.